주체

 

1. 고유어
2. 主體
2.1. 운동권(?) 용어
2.2. 기년법
3. 酒滯
4. 3대 황제 성조 영락제의 본명


1. 고유어


짐스럽거나 귀찮은 것을 능히 처리함. 일상생활에서는 주로 '주체를 못하다', '주체할 수가 없다' 따위로 쓰인다.

2. 主體


어떤 단체나 물건의 주가 되는 부분, 또는 사물의 작용이나 어떤 행동의 주가 되는 것을 말한다.
변증법적 유물론에서는 사회변혁을 주도하는 계급의 구성원을 의미하는 말로 쓰인다.
주체사상의 주체가 이 주체다. 다른 나라의 사회주의가 아닌 '김일성 주체'의 사상이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자기네들이 독자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물건에는 하나같이 '주체'가 붙는다. 주체농법, 주체섬유, 주체비료 등등...

2.1. 운동권(?) 용어


2번 항목에서 따왔고 뜻도 사실 별 차이는 없다. 사전적인 정의로 이해해도 문제는 없고 운동권에서 많이 쓰이는 말인 만큼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사용되는 '주체'에서 따온 것인 듯. '대장'이나 '담당'의 뜻으로 쓰인다. 학교에서 행사나 임시단체를 만들었을 때 그 장을 'OO주체'라고 부르거나, 단체 내에서 맡은 역할에 따라 'XX주체'라고 불러준다. 가령 새터를 준비할 때 총책임자를 '새터주체'라고 부른다거나, 단체에서 회계를 맡은 사람을 '회계주체'라고 부른다거나.
사실 운동권 용어라고 하기도 애매한 게 비권에서도 자주 쓴다. 아니 사실 이제 대학가의 운동권 문화가 많이 쇠퇴했고 그런 거에 관심없는 보통 대학생들은 운동권-비권을 나누기는 커녕 그게 뭔지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주체라는 단어도 원래 의미가 변증법적 유물론이랑 관련이 있든지 말든지 그냥 사전적 정의나 '담당자' 정도의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애초에 딱 봤을 때 무슨 뜻인지 이해가 안 되는 것도 아니니...
새터나 농활 같은 운동권 문화에 뿌리를 둔 행사들도 이제는 운동권 색깔이 많이 희석됐지만 '주체'라는 단어는 여전히 쓰이고 있다. 아마 요즘의 대학생들이 주체라는 단어를 듣는 건 신입생으로서 새터에 참여했을 때가 처음일 것이다. 그래도 원래 뿌리가 운동권 용어라 그런 냄새(?)가 나서 그런 건지 아니면 단순히 뜻이 직관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해서인지 대학/과에 따라서는 주체라는 말 대신 그냥 '장'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있다. 새터주체 대신 새기단장(새터기획단장)이라든지...
그래도 농활에서는 아직도 대부분 주체라는 단어를 쓰는 듯하다. 여기서는 다양한 주체를 정해서 역할을 배분하는 게 관례. 교양주체, 청소주체, 요리주체 같은 것에서부터 벌레주체, 신발주체, 기상주체, 핸드폰주체 등등... 농활의 주체에 관해서는 농민학생연대활동 항목을 참조.
주체사상이란 녀석 때문에 운동권 용어로서 '주체'라는 단어가 NL에서만 쓰이는 줄 아는 사람도 있는데[1] 전혀 그렇지 않고 PD에서도 잘만 쓴다. 애초에 앞에서 말했듯이 비권에서도 쓴다...

2.2. 기년법


김일성이 탄생한 서기 1912년을 원년으로 한다.
환산법은 서기 연도에서 1911을 뺀다.
자세한 내용은 주체연호참조.

3. 酒滯


한의학에서 술을 마셔서 생기는 체증을 의미한다.

4. 3대 황제 성조 영락제의 본명


朱棣. 영락제 문서 참고.

[1] 현재의 NL계 단체들의 성격과는 별개로 과거의 NL 주류와 주체사상이 관련이 없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물론 비주사 NL도 분명이 있었고 현재에 와서야 딱히 그런 거 논하는 게 의미없게 되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