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모음

 

中母音 / mid vowel

1. 개요
2. 조음 방법
2.1. 전설 평순 중모음
2.2. 전설 원순 중모음
2.3. 중설 중모음
2.4. 후설 평순 중모음
2.5. 후설 원순 중모음


1. 개요


[image]
혀의 높이를 고모음과 저모음의 중간에 놓고 발음하는 모음.

2. 조음 방법



2.1. 전설 평순 중모음


'''전설 평순 중모음(mid front unrounded vowel'''

e̞ / ɛ̝



혀 높이
중모음
혀 기울기
전설모음
입술 모양
평순모음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모양을 평평하게 하여 혀의 위치를 중간 높이에 놓고 발음하는 소리.
일본어의 え단에서 나는 소리이며 현대 한국어에서도 젊은 화자들을 중심으로 'ㅐ'와 'ㅔ'의 구별이 희미해지면서 'ㅔ'가 거의 이 소리로 발음된다. 영어의 'e'도 일반적으로는 /ɛ/지만 중모음으로 발음하는 나라들이 많다.

2.2. 전설 원순 중모음


'''전설 원순 중모음(mid front rounded vowel'''

ø̞ / œ̝



혀 높이
중모음
혀 기울기
전설모음
입술 모양
원순모음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모양을 둥글게 하여 혀의 위치를 중간 높이에 놓고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놀랍게도 "왼손"의 ㅚ에서 이 발음이 실현된다.[1] 물론 그런거 없이 싹다 /we/로 퉁치는 화자들도 많다.

2.3. 중설 중모음


'''중설 중모음(mid central vowel'''

ə



혀 높이
중모음
혀 기울기
중설모음
r화 모음
ɚ
e를 180도 돌린 기호를 슈와(schwa)라고 부른다. 어원은 히브리어로 '없음' 또는 0을 뜻하는 슈바(sh'va).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뺀 뒤 혀의 위치를 중간 높이에 놓고 발음하는 소리로 정의된다.
간혹 'r화 모음'[2]이라고 [ɚ] 발음이 나오기도 한다. 조음 위치를 뭐라 설명하기 힘든 해괴한 모음.
한국어에서는 동남 방언의 ㅓ가 이 소리와 비슷하지만, 영어, 독일어 등의 게르만어에서 밥먹듯이 튀어나오는 슈와와 비교하면 조금 다른데 영어의 슈와는 모음이 완전이 탈락하지 않는한 명백하게 ㅓ처럼 들리지만 동남방언은 '니 '으'데가서 이런 맛 절대 못본다 아이가' 같이 의식하지 않아도 ㅡ에 가깝게 들린다.[3][4]
한국인들은 의식하지 못하지만 현대 한국어에서 자주 튀어나오는 ㅓ의 변이음이다. 한국어의 ㅓ 발음은 [ə]가 아니고 [ʌ̹]지만 [ʌ̹]는 약간 원순화된 모음이기 때문에[5] 계속해서 여러 번 발음을 하려 하면 부담이 꽤 많이간다. 그래서 의식을 안 하고 발음하다 보면 ㅓ가 [ʌ̹]에서 약화되어 자연스럽게 [ə]라는 음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영어권에서도 /ʌ/와 /ə/가 한 묶음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지만 영어에서는 /ʌ/와 /ə/가 다른 음소고, 한국어에는 '[ə]라는 음성'이 있는 것이지 '/ə/라는 음소'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얘기다. 또 일상생활에서 말하다가 '어-'하고 뜸들일 때도 중설중모음이 튀어나온다. [ə]라는 소리가 별로 힘들이지 않고 낼 수 있는 소리이기 때문에 자주 나올 수 있는 것이다.
북한의 표준어 문화어도 'ㅓ'를 이렇게 발음한다. 탈북자의 증언을 토대로 하면 개성을 뺀 북한 전역에서 'ㅓ'를 이렇게 발음하는 모양이다.
영어에서 상당히 빈번하게 쓰이는 음가다. 단어에서 강세가 오지 않는 모음은 태반이 이 모음으로 약화된다. 다만 화자에 따라 모음 약화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원래 고대 영어에서는 모음의 발음이 철자 그대로 발음되었으나, 이후 강세 체계가 게르만어 계통에서 로망스어 계통으로 변하고 모음의 음들이 약화되면서 현대 영어와 같은 모양새가 되었다.
프랑스어의 e도 ə로 소리나는 경우가 많다. e의 명칭 자체가 /e/가 아니라 ə다. 주로 'e+자음+모음'의 꼴에서 이 발음이 자주 나타나며, 두 자음 사이나 어말에서 묵음이 된다. 오히려 /e/ 발음은 é나 è로 표기한다.
독일어, 네덜란드어, 덴마크어 등에서는 두번째 이하 음절의 강세 없는 'e'가 이 소리로 난다. Eindhoven이 과거에는 아인트호벤이었다가 에인트호'''번'''으로 표기가 바뀐 이유.
표준중국어에서도 이 발음이 있다. 천안문의 중국어 발음을 한국 국립국어원의 중국어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톈안먼'으로 표기하는데, '먼'이 가리키는 모음이다.
차하르 몽골어의 e(ᠡ)에서 발현된다.
힌디어를 비롯한 대부분의 인도 아대륙 언어에서 'a'음운은 주로 이 소리나 후설 중저모음(/ʌ/)으로 발현되며 빨리 말할때는 아예 사라지기도 한다.

2.4. 후설 평순 중모음


'''후설 평순 중모음(mid back unrounded vowel'''

ɤ̞



혀 높이
중모음
혀 기울기
후설모음
입술 모양
평순모음
혀의 최고점을 뒤로 놓고 입술모양을 평평하게 하여 혀의 위치를 중간 높이에 놓고 발음하는 소리.
영어에서 소수의 화자가 /ʌ/를 이 소리로 발음한다.

2.5. 후설 원순 중모음


'''후설 원순 중모음(mid back rounded vowel'''



혀 높이
중모음
혀 기울기
후설모음
입술 모양
원순모음
혀의 최고점을 뒤로 놓고 입술모양을 둥글게 하여 혀의 위치를 중간 높이에 놓고 발음하는 소리.
일본어의 お단에서 나는 소리다.[6]
한국어 '보리' 의 ㅗ에서 이 소리가 난다.
[1] 설상가상으로 한국어의 모든 ㅢ가 이 발음으로 끌려가고 있다.[2] r-Colored Vowel[3] 동남방언의 ㅓ는 완전한 중설모음이 아니고 조음점이 중설 중모음보다 더 뒤로 가면서 위로 올라간다. 그래서 '으' 비스무리하게 들리는 것이다. 여기서 조음점이 더욱 올라가면 서울사투리의 장음 ɘ가 된다. 서남방언은 한 술 더 떠서 아예 ɤ가 돼버린다.[4] 요즘 세대는 ㅓ는 /ə/, ㅡ는 /ɘ/로 구분하는 편이다.[5] 정식 명칭이 '원순화 후설 평순 중저모음'이다.[6] 정확히는 ɤ̞와 o̞의 중간이다. 때문에 'オ'를 한국인이 얼핏 듣기에는 '어'처럼 들릴 수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