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기스칸(동물)

 

[image]
'''징기스칸'''
Giant Pangasius
이명 : Chaophya
'''Pangasius sanitwongsei''' Smith, 193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메기목(Siluriformes)

메콩메기과(Pangasiidae)

팡가시우스속(Pangasius)

징기스칸(Pangasius sanitwongsei)
1. 개요
2. 사육
3. 기타


1. 개요


열대어의 일종. 동남아시아 메콩강 원산의 1~3m의 커다랗고 날렵한 메기 종류로 체형과 등지느러미가 상어를 닮았다.
하지만 수족관에서 팔리는 물고기들은 5~7cm 정도의 손가락만한 새끼들이며, 시중에서 50cm 이상의 커다란 개체를 보긴 힘들다. 의외로 수질과 용존산소량이 민감한편이라 유어 시기에 곧잘 폐사하곤 한다.[1]
징기스칸이라는 국내 수족관에서 거래되는 이름으로 대체 어디서 유래되었는지 알 수 없으며, 외국에서는 Giant Pangasius catfish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과거 2000년대 중후반에 코엑스 아쿠아리움에서 피라루크 사육장에 같이 전시되기도 했었다. 이때는 징기스칸으로 불리지 않고 영어명인 Giant Pangasius를 그대로 음역했다.

2. 사육


주행성이고 빠르게 유영하기에 큰 수족관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5자 수조[2] 이상이 추천된다.[3]먹는양이 상당히 많고[4] 상당한 탐식성을 보유하고 있어 일반적인 물고기 사료만으로는 해결하기 힘들어 준성어 이후로는 개밥(...)이나 미꾸라지를 먹인다.
큰 덩치를 이용해 아시아아로와나 합사항에서 개체 간 마찰을 막는 용도로 합사하기도 한다.
놀랄경우 수조 벽면을 들이박는 특성이 있기에, 사이즈가 커질 경우 강화유리나 접착유리로 된 수조를 요구한다.

3. 기타


같은 과의 어종으로 가이양(Pangasianodon Hypophthalmus)이 있다. 구분 방법은 전반적인 체형과 지느러미의 모양. 징기스칸이 상대적으로 체고가 높고 지느러미가 날렵하다. 가이양이 징기스칸보다 더 구하기 쉬우며 더 겁이 많다.
먹성이 좋은 물고기를 좋아한다면 가이양은 딱히 추천하지 않는다. 차라리 징기스칸을 키우자.

[1] 가이양도 동일하다.[2] 1500*600*600[3] 어항이 너무 좁으면 불안해하더니 피부가 뜨면서 힘이 없어지고 그대로 죽어버리는 경우가 있다.[4] 친척인 가이양도 먹이는 먹는편이지만 매우 겁이 많아서 생먹이를 먹이기엔 무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