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꾸라지

 



[image]
'''미꾸라지'''
Chinese weather loach
''' ''Misgurnus mizolepis'' ''' Günther, 1888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잉어목

미꾸리과

미꾸리속

미꾸라지
'''서울어'''
미꾸라지
'''영어'''
Pond loach, Oriental weather loach,  Dojo loach[1]
'''서남어'''
옹구락지, 웅구락지[2], 미꾸락지
'''육진어'''
찍찍개
'''동북어'''
새처네, 종개미
'''충청어'''
미꼬래미, 미꾸락지
'''영동어'''
용고기·용곡지·용주래기 [3]
'''서북어'''
말배꼽[4], 맹가니, 장구래기, 증금다리, 징구마리
'''일본어'''
도조(ドジョウ(泥鰌, 鰌, 鯲))[5]
'''북경어'''
Níqiū(泥鰍)[6]
'''에스파냐어'''
El locha del estanque
'''에스페란토'''
Lageto locha
1. 개요
2. 상세
3. 미꾸라지가 모티브인 캐릭터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


잉어목에 속하는 민물고기. 추어(鰍魚)라고도 부르며 식용으로 쓴다.
방언으로는 미꾸리라고 하지만, 미꾸리는 다른 어류 종의 이름이기도 하다.
[image]
미꾸리와 미꾸라지는 눈크기와 입수염의 크기비례로 구분 할 수 있다. 미꾸라지의 경우 수염의 길이가 눈 크기의 약 4배, 미꾸리의 경우는 눈 크기의 2.5배라고 한다. 솔직히 접사 사진 찍어서 비교해 보지 않는 이상 구분하기 어렵다.
앞에서 보면 미꾸리 몸통은 둥글고, 미꾸라지는 세로로 납작하다. 이 때문에 미꾸리는 '''동그리''', 미꾸라지는 '''납재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보통 하천에서 채집되는, 특히 20cm가 넘어가는 뱀이 되다 만 듯한 녀석들은 거의 미꾸리일 가능성이 높다. 미꾸라지는 극단적으로 수류가 적은 논이나 둠벙 같은 곳이 아니면 하천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2. 상세


물을 흐리는 물고기로 유명하며, 흐려진 물, 더러운 물에서도 잘 산다. 이 때문에 1970년대 이전엔 한국에서 논농사를 짓는 가구들은 논에서 소규모로 미꾸라지를 키워 먹거나 팔아 용돈벌이 정도로 했었던 적이 있었다. 추어의 鰍자에 秋(가을 추)가 들어 있는 탓에 '벼의 수확이 끝나고 논의 물을 빼는 과정에서 미꾸라지를 많이 잡았기 때문에 추어라고 했다'는 속설이 있으나 이는 형성자회의자부회한 설명일 뿐 사실은 아니다. 秋(추)는 발음이 같은 酋(추)로 바꾸어 鰌(=鰍)로 써도 된다. 회의자였다면 불가능할 일이고, 여기서 秋는 발음 요소일 뿐이다. 입가에 수염이 나고 몸이 길쭉한 생김새 덕분에 예전부터 용(龍)에 비유되었다.
아가미호흡만을 하는 대부분의 어류와 다르게 보조호흡으로써 '장호흡'을 하는 어류이다. 덕분에 용존산소가 녹기 힘든 탁한물에서도 직접 수면에 입을대고 호흡해서 생존이 가능하다. 사실 아가미 호흡을 하는 어류도 공기가 부족하면 이렇게 수면위에서 공기를 얻는 일이 종종있으나 날씨때문에 물 속 공기 비중이 낮은 편인 열대지방을 제외하면 보기 힘든 편.
요리 재료로 수요가 제법 많은 편으로, 특히 미꾸라지로 요리하는 추어탕이 별미. 미꾸라지를 싫어하는 사람들을 위해 미꾸라지를 쓰지 않고 요리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얼추탕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미꾸라지보다도 추어탕 항목이 먼저 개설되었다. 머리와 꼬리까지 통째로 튀겨먹기도 하는데, 맛은 바삭하면서도 고소하다. 미꾸라지를 사용한 튀김은 추어튀김이라고 하는데, 대체로 추어탕을 전문으로 하는 식당에서 사이드 메뉴로 팔며, 겨자소스나 와사비를 넣은 간장에 찍어 먹는다.[7]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남원 미꾸라지가 등록되어 있다.
1850년경에 발간된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라는 문헌에 추두부탕(鰍豆腐湯)이란 요리에 대한 레시피가 설명되어 있다.

'''미꾸라지 두부숙회'''

* 재료 및 분량 (5인분)

* 미꾸라지: 600 g

* 두부: 3 모

* 양념장: 적당량

* 만드는 법

1. 살아 있는 미꾸라지를 물을 바꾸어 주면서 2∼3 일 진흙을 토해 내도록 한다.

1. 두부는 큰 것을 통째로 솥에 넣고, 미꾸라지는 물에서 건져서 함께 넣는다.

1. 뚜껑을 닫고 불에 올려 가열하면, 미꾸라지는 뜨거워서 두부 속으로 기어든다.

1. 더 뜨거워지면 두부 속의 미꾸라지는 약이 바싹 오르면서 죽어 간다.

1. 이것을 썰어서 산초가루를 넣은 양념장에 찍어 먹는다. 또는 참기름에 지져서 먹기도 하고 탕을 끓여 먹기도 한다.

사실 이런 요리법은 없다. 과정이야 그럴 듯 해보이지만 실제로 미꾸라지는 두부 속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이거는 순두부 상태일 때 미꾸라지를 넣고 굳혀서 모두부를 만드는 것이다. 무엇보다 미꾸라지는 진액 때문에 소금 등으로 겉을 세척해 요리해야 하고 저렇게 살아있는 상태로 물에 넣어 서서히 삶는다는 건 위생상으로나 비린 잡내 등 먹을 것이 못된다.
한때 농민들이 수입금지를 요청했던 품목이기도 했었다. 이유는 용돈벌이가 없어진다는 이유. 다만 저 방법으로 양식했던 미꾸라지의 수가 너무나도 적어서 국민들의 수요를 따라잡을 수 없었기 때문에 우루과이 라운드 이후 미꾸라지 수입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주로 중국에서 한국으로 유입되는 편.
참고로, 미꾸라지를 소금통에 던져놓으면 마구 꿈틀거리면서 먹은것들을 토해내고 점막이 벗겨져서 요리하거나 먹기에 좋은 상태가 된다. 미꾸라지 해감-Youtube[8] 추어탕을 끓인다면 참고하자.
모기의 유충인 장구벌레의 천적으로 하루에 1천 마리까지 먹어치운다고 하여 아프리카 등지에도 보내 전염병 예방&식용자원으로 활용하려는 생각도 있다고 한다. 실제로 강남구서울시내 일부 지역에선 하수구에 풀어놓아 장구벌레를 죽이기도 하며, 미꾸라지를 투입한 이후 모기 민원이 크게 줄었다고 한다. 송사리가 구충 목적에서는 더 좋지만 송사리보다 싼 가격에 많이 공급할 수 있으며, 오염에 대한 내성이 강해 즐겨 쓴다. 하지만 너무 더러운 물에서는 미꾸라지도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다.
어항에 넣어서 키울 수도 있지만, 관상용으론 적합하지 않은 편. 먹이를 따로 잡으러 다니거나 천적을 피할 일이 없어서 그런지 그냥 24시간 내내 어항 바닥에 가만히 머물러 있다. 먹이를 먹을 때를 제외하면 살아있는지 조차 의심될 정도. 물론 물관리를 대충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긴 하다. 물이끼가 낄 정도가 되면 먹이 공급도 어느정도 알아서 되니 금상첨화.
야생에서 천적이 많다. 메기 같은 대형어류부터 거북, 수달까지 다양한 동물들이 미꾸라지를 즐겨먹는다. 특히 왜가리, 황새, 두루미 같은 조류들이 미꾸라지를 좋아해서 농약 사용으로 미꾸라지 수가 줄자 이들의 개체수가 감소하기도 했다.
미꾸라지는 다른 생선들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대형 어종에게 산 채로 주기 적합한 먹이이다. 동물원 등에서는 수달과 물새들의 먹이로도 활용하는데, 두루미나 황새가 미꾸라지를 잡는 장면을 볼 수 있게 해놓은 곳도 있다. 이외에도 흰머리수리 등의 간식으로도 쓰인다.
참고로 내수면 생태계 교란 어종으로 지정되어 있어서 하천이나 호수에 무단 방생시 처벌 대상이 된다. 미꾸라지 자체는 별 문제가 없지만, 국내에서 유통되는 미꾸라지의 대부분이 중국산이라 잡종발생의 위험이 있다는 이유.
참고로 미꾸라지 양식의 경우 알에서 치어가 되는것은 수월한 반면에, 치어가 성어가 되는 확률이 무척 낮다고 한다. 때문에 많은 양식장 및 연구소에서 양식을 시도해봤으나 치어가 폐사해 손해를 보는 양식장이 많다고 한다. 하지만 간간히 치어생산에 성공한 양식장도 있는 듯. 참고자료.
미꾸라지를 양식할 때 메기를 풀어 놓으면 미꾸라지들이 메기에게 잡아먹히지 않으려고 발버둥을 쳐서 살이 탄력 있고 먹기 좋아진다는 속설이 있다. 이병철 회장의 일화라며 소개되기도 하는데, 실제로는 그 반대라고 한다.

3. 미꾸라지가 모티브인 캐릭터



4. 여담


90년대생 기준으로 초등학교 운동회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5. 관련 문서


해당 게임들의 낚시 미니게임에서 "하이랄 미꾸라지(Hylian Loach)"가 잡기 미칠듯이 어려운 전설의 물고기로 나온다.

[1] 영문 위키백과에는 미꾸리가 weather loach에 연결되어 있다.[2] 전라남도에서 사용되는 옹구락지·웅구락지’는 ‘우글우글, 우글거리다’에서 볼 수 있는 시늉말 ‘우글’을 뜻하는 ‘옹굴’에 뒷가지 ‘-악지’가 결합하여 새로운 꼴이 생긴 것이다.[3] 용처럼 생겼다고 해서 그렇게 불린다[4] 평북방언[5] 정확히는 미꾸리를 가리킨다. 일본에는 미꾸라지가 살지 않는다.[6] 중국 역시 미꾸리와 미꾸라지를 정확히 구분하지는 않는 듯. 중국어 위키백과의 해당항목은 미꾸리에 연결되어 있다.[7] 이런 추어튀김은 대체로 추어탕보다 가격이 비싼 편이다. 추어탕 1인분은 대략 7,000~8,000원 이상이지만, 추어튀김은 기본적으로 10,000~12,000원 이상이다.[8] 이때 미꾸라지가 몸부림치며 자기들끼리 부딪치거나 그릇 표면에 부딪쳐서 나는 소리는 엄청나니 주의할 것. 특히 어린 시절에 이런 생생한 시청각자료를 본 사람은 트라우마가 되어 어른이 되어서도 추어탕을 기피하게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