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시다 암각문

 

눈물을 마시는 새에 등장하는 유적. 북부의 도시 카시다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거대한 바위에 새겨진 문구는 용인에 관하여 서술하고 있는데, 글자 일부가 세파에 지워져 알아볼 수 없다. 소설 시점까지 남아있는 문구는 다음과 같다.
지배자, 상인, ……등 ……의 권능을 소원하는 많은 이들이 분명히 ……해야 하는 사실이 있다. 용인들 중에는 영웅이나 위인은 커녕 이름이 좀 알려진 ……조차 없다. 용인의 권능은 타인을 지배하거나 타인이 소유한 정보를 얻어내는 데 ……이 되지 않는 것이다. 오히려 ……에게 지배당할 위험에 노출되게 만드는 것이 용인의 능력이다.
……들은, 둔감함이라는 것이 얼마나 강력한 ……인지 알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는 이 사실에서 사람들의 마음이 역시 ……으로 가득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마지막 빈칸은 소설 내에서 두 번의 변화를 겪는다. 먼저 카시다의 마지막 생존자인 소년이 케이건 드라카에게 버림받은 뒤 '미움'이라는 단어를 새겨넣고, 두번째로 엔딩에서 어떤 여행자가 '미움'이라는 단어를 다시 칼로 긁어 지운다.
암각문이 처음 공개된 이후, 팬들 사이에서는 당연히 빈칸의 내용을 토론하기에 이르렀는데, 앞부분은 대체로 의견이 일치하지만 마지막 빈칸만큼은 아직까지도 의견이 분분하다. 대체로 '사랑', '희망' 등의 긍정적인 단어라는 의견과 '둔감함'이라는 패러독스적인 단어라는 의견으로 나뉜다. 출판본에서는 엔딩에 암각문 삽화가 삽입되어 있는데, 마지막 빈칸에 '''사랑'''이라는 단어가 적혀있다가 지워진 것 같은 인상을 준다. 그러나 이것은 삽화가가 한 일로 작가가 의도한 것은 아니라고 이영도 본인이 밝혔다. 중요한 것은 '''미움은 아니다'''라는 거다.[1] 그리고 작중에서 활동한 유일한 용인인 륜 페이가 자신을 죽이려던 키타타 자보로를 이해하고 용인하는 모습을 보인 것과, 자신이 죽인 나가의 개수를 헤아리며 가슴 아파한 모습을 생각해 봤을 때 민감함은 사람의 본성인 이해와 사랑을 일깨우는 도구로 쓰였다.
참고로 출간본에 수록된 삽화의 암각문은 로제타 석의 사진을 리터칭한 것이다.
다음은 눈마새 위키에 올라온 '''나름대로의''' 해석본이다. (Chelsnoa + 이정현)
지배자, 상인, '''마립간''' 등 '''용인'''의 권능을 소원하는 많은 이들은 분명히 '''주지'''해야 하는 사실이 있다. 용인들 중에는 영웅이나 위인은 커녕 이름이 좀 알려진 '''이'''조차 없다. 용인의 권능은 타인을 지배하거나 타인이 소유한 정보를 얻어내는 데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다. 오히려 '''타인'''에게 지배당할 위험에 노출되게 만드는 것이 용인의 능력이다.
'''사람'''들은, 둔감함이라는 것이 얼마나 강력한 '''무기'''인지 알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나'''는 이 사실에서 사람들의 마음이 역시 '''사랑'''으로 가득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1] 하지만, 미움이라는 의견도 있다. 둔감함으로 인해 타인의 마음을 모르는 것이 무기라면, 타인의 사랑을 모르는 것보단 타인의 미움을 모르는 쪽이 더 나으므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