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무기/시즌패스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에 등장하는 시즌패스 무기 일람.
1. 개요
2. 트랜스기어
2.1. MP5 트랜스기어
2.2. M950 트랜스기어
2.3. M24 트랜스기어
2.4. 듀얼 인피니티 파이널 트랜스기어
2.5. 마체테 트랜스기어
2.6. USAS12 트랜스기어
2.7. QBZ95B 트랜스기어
3. 엘레강트
3.1. 윈체스터 M1887 엘레강트
3.2. 더블바렐 샷건 엘레강트
3.3. 모신나강 엘레강트
3.4. 파이슨 엘레강트
3.5. 마우저CP6 엘레강트
3.6. 헌팅대거 엘레강트
3.7. 아에올리스 엘레강트
4. 스플래쉬
4.1. PP19 Bizon 스플래쉬
4.2. M79 소드오프 스플래쉬
4.3. GROZA 스플래쉬
4.4. UTS-15 스플래쉬
4.5. RPG-7 스플래쉬
4.6. M200 스플래쉬
4.7. 코일건 스플래쉬
5. 할로윈
5.1. 레일캐논 할로윈
5.2. PSG-1 할로윈
5.3. TAR-21 할로윈
5.4. 듀얼 크리스 할로윈
5.5. MK48 할로윈
5.6. AutoMag V 할로윈
5.7. 해머 할로윈
6. 조선
6.1. 언월도
6.2. 화승총
6.3. 각궁
6.4. 조총
6.5. 용인도
6.6. 비격진천뢰
6.7. 환도
7. 오즈의 마법사
7.1. SCAR-OZ A
7.2. SCAR-OZ B
7.3. SCAR-OZ C
8. 사이킥 펑크
9. 얼음왕국
9.1. 베어 버스터
9.2. 베어 퓨리 MK.1
9.3. 베어 퓨리 MK.2
10. 시즌 패스 최종 보상


1. 개요


2019년 부터 새롭게 추가된 시스템. 매년 1월 말에서 2월 초에 시작되고 3개월동안 지속되며 매 시즌은 3개월마다 바뀐다.
기본적으로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의 오리지널 무기들을 베이스로 강화시킨 무기며 최종보상은 스팅어, SCAR-D 를 제외하고 기존의 무기를을 하향시켜 출시 해놓은 무기들이다. 그리고 모든 무기의 획득 경로는 시즌 패스를 통해서만 구할 수 있다.
심지어 다른게임에 시즌패스 도 최초로 카스온라인이 만든 시스템이다.

2. 트랜스기어


시즌1. 모티브는 마법공학으로 '미지의 마법공학 기술로 개조되었다'라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2.1. MP5 트랜스기어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3
좀비 데미지
110
시나리오 데미지
150
명중률
75%
반동
92%
연사
92%
무게
85%
좀비 넉백
13%
좀비 경직
38%
가격

장탄수
40 / 120
특수 기능
-
구경
[image] 30발/$20
좀비 Z 레벨 제한

40발의 9mm탄을 사용하는 MP5는 모든 기관단총의 교과서라 불릴 정도로 파괴력 명중률 휴대성을 모두 충족시킨 무기이다. 미지의 마법공학 기술로 개조되었다.

2.2. M950 트랜스기어


[image]
C
일반모드
S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9
좀비 데미지
70
시나리오 데미지
79
명중률
66%
반동
81%
연사
88%
무게
87%
좀비 넉백
8%
좀비 경직
80%
가격

장탄수
50 / 100
특수 기능
-
구경
[image] 30발/$20
좀비Z 레벨 제한

9mm 탄환을 사용하는 기관권총으로, 헬리컬 탄창을 이용한 50발의 든든한 장탄수를 바탕으로 교전 시 높은 견제력을 자랑한다. 미지의 마법공학 기술로 개조되었다.
데미지가 올랐으나 파츠 장착도 강화도 되지 않는다. 무게는 254유닛으로 260유닛의 속도를 보유한 듀베건, 윈드라이더 다음으로 가볍지만, 원본 M950은 파츠를 장착할 수 있기에 별 의미 없는 특징이다. 다만 파츠가 적용되지 않는 모드에서 속도 증가를 위해 들 가치는 있다.

2.3. M24 트랜스기어


[image]
A
일반모드
C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05
좀비 데미지
1587
시나리오 데미지
3145
명중률
92%
반동
70%
연사
24%
무게
85%
좀비 넉백
21%
좀비 경직
80%
가격

장탄수
12 / 90
특수 기능

구경
[image] 30발/$80
좀비Z 레벨 제한

12발의 7.62mm 탄을 사용하는 이 저격총은 이동속도가 빠르며 높은 명중률을 자랑한다. 걸어다니면서 사격시 명중률이 뛰어나며 중거리에 있는 인간도 한 발에 사살 할 수 있을 정도의 위력을 가지고 있다. 미지의 마법공학 기술로 개조되었다.

2.4. 듀얼 인피니티 파이널 트랜스기어


[image]
B
일반모드
A
좀비모드
B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8 / 15
좀비 데미지
84 / 50
시나리오 데미지
126 / 70
명중률
87% / 64%
반동
70%
연사
87% / 90%
무게
85%
좀비 넉백
21% / 9%
좀비 경직
38% / 80%
가격
$1500
장탄수
40 / 100
특수 기능

구경
[image] 12발/$25
좀비 Z 레벨 제한

40발의 .45구경탄을 사용하는 듀얼 인피니티의 최종판이다. 정부의 대폭적인 지원을 받아 총기의 개량에 성공, 그 성능을 더욱 강화했다. 미지의 마법공학 기술로 개조되었다.

2.5. 마체테 트랜스기어


[image]
B
일반모드
C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특수 기능
-
좀비 Z 레벨 제한

정글도로 부르는 칼로 정글에서 벌채 등을 할 때 사용하며 두껍고 내구성이 뛰어나 강력한 위력을 자랑한다. 미지의 마법공학 기술로 개조되었다.
원본보다 5 유닛 더 가벼워서 패스트런을 하면 스카웃의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기본 속도가 260유닛인 암토치나 듀팬슬 등을 제외하면 가장 빠른 근접 무기이다.

2.6. USAS12 트랜스기어


[image]
C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60
좀비 데미지
333
시나리오 데미지
438
명중률
100%
반동
58%
연사
81%
무게
67%
좀비 넉백
13%
좀비 경직
71%
가격

장탄수
25 / 40
특수 기능
-
구경
[image] 20발/$65
좀비 Z 레벨 제한
16
25포의 12게이지 샷건인 USAS-12는 그 강력한 파괴력 때문에 세계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무기이다. 파괴력이 좋으나 탄의 소모가 심하고 불안정하다. 미지의 마법공학 기술로 개조되었다.
이동속도가 209유닛 으로, 원본보다 19 높다.

2.7. QBZ95B 트랜스기어


[image]
C
일반모드
C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23
좀비 데미지
126
시나리오 데미지
244
명중률
77%
반동
83%
연사
91%
무게
71%
좀비 넉백
13%
좀비 경직
50%
가격

장탄수
40 / 90
특수 기능
-
구경
[image] 30발/$60
좀비Z 레벨 제한

40발의 5.56mm탄을 사용하는 돌격소총으로 재장전 속도가 빨라 근접교전에 적당한 무기이다. 미지의 마법공학 기술로 개조되었다.

3. 엘레강트


시즌2. 모티브는 오리진으로 '고급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라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3.1. 윈체스터 M1887 엘레강트


[image]
C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80
좀비 데미지
760
시나리오 데미지
1112
명중률
100%
반동
33%
연사
62%
무게
81%
좀비 넉백
35%
좀비 경직
13%
가격
$2800
장탄수
8 / 32
특수 기능
-
구경
[image] 8발/$65
좀비 Z 레벨 제한
12
8발의 12게이지를 사용하는 이 샷건은 빠른 연사력으로 상대방을 제압할 수 있게 제작되어 있다. 고급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3.2. 더블바렐 샷건 엘레강트


[image]
C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70
좀비 데미지
770
시나리오 데미지
872
명중률
100%
반동
33%
연사
88%
무게
81%
좀비 넉백
71%
좀비 경직
32%
가격
$2600
장탄수
2 / 32
특수 기능
-
구경
[image] 8발/$65
좀비Z 레벨 제한
12
2발의 12게이지를 사용하는 이 샷건은 빠르게 2발의 탄을 발사하여 매우 높은 화력을 순간에 집중할 수 있다. 고급 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3.3. 모신나강 엘레강트


[image]
A
일반모드
C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95
좀비 데미지
1512
시나리오 데미지
3386
명중률
88%
반동
58%
연사
25%
무게
71%
좀비 넉백
21%
좀비 경직
80%
가격
$4000
장탄수
5 / 90
특수 기능

구경
[image] 30발/$8
좀비Z 레벨 제한
12
5발의 7.62mm 탄을 사용하는 볼트액션식 저격총으로 긴 총신 등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수 많은 개량 버젼이 만들어졌으며 2차 세계대전에서 크게 활약했다. 고급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샷건처럼 한발씩 장전하기 때문에 랜덤룰 중 '아직한발남았다(마지막 한발의 데미지를 증폭해주는 룰)' 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쉬워 사기 무기가 없는 유저들이 많이 사용하였다.

3.4. 파이슨 엘레강트


[image]
C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30
좀비 데미지
140
시나리오 데미지
187
명중률
60%
반동
83%
연사
86%
무게
85%
좀비 넉백
11%
좀비 경직
61%
가격
$600
장탄수
6 / 52
특수 기능
-
구경
[image] 13발/$50
좀비 Z 레벨 제한
4
6발의 357 매그넘탄을 사용하는 리볼버 권총으로 높은 명중률과 파괴력 그리고 빠른 연사력까지 갖춘 명품 리볼버이다. 고급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3.5. 마우저CP6 엘레강트


[image]
C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4
좀비 데미지
140
시나리오 데미지
275
명중률
66%
반동
78%
연사
90%
무게
85%
좀비 넉백
0%
좀비 경직
100%[1]
가격
$600
장탄수
10 / 120
특수 기능
-
구경
[image] 30발/$20
좀비 Z 레벨 제한
6
10발의 9mm 탄을 사용하는 권총으로 100년 가까운 기간동안 다양한 버젼으로 만들어 사용되었다. 속사라는 이름답게 자동사격이 가능하며 2차 세계대전에서 크게 활약했다. 고급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3.6. 헌팅대거 엘레강트


[image]
B
일반모드
C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특수 기능
-
좀비 Z 레벨 제한

스위스에서 제작된 헌팅 대거는 사냥꾼들을 위해 제작된 단검으로 수렵, 사냥으로 사용됐다. 고급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3.7. 아에올리스 엘레강트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A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26
좀비 데미지
129 / 207
시나리오 데미지
165 / 212
명중률
80%
반동
79%
연사
91%
무게
71%
좀비 넉백
11%
좀비 경직
61%
가격
$7000
장탄수
150 / 300
특수 기능

구경
[image] 30발/$60
좀비Z 레벨 제한
16
150발의 5.56미리 탄을 사용하는 기관총이다. 스팀엔진의 힘을 이용하여 축적된 열기를 세컨드리 모드로 발사하여 화염 방사 공격을 할 수 있다. 고급 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좀비Z 모드에선 브로드 디바인과 비교가 많이 되는데 레벨은 15/16으로 1레벨 차이고 데미지는 건부스트 파츠 6티어를 단 브로드 디바인과 비슷하다. B모드의 데미지는 A모드의 약 1.2배정도로 피닉스 다음가는 수준이지만 주력으로 쓰이는 A모드는 명중률이나 반동이 좋지않아 모든면에서 브로드 디바인의 하위호환이다. 안정성이나 DPS를 생각하면 같은 시즌패스 무기이자 16레벨 무기인 코일건 스플래쉬의 하위호환이다.
사기충전 125% 기준 숙주 일반좀비 헤드 데미지 A모드 510, B모드 636.

4. 스플래쉬


시즌3. 모티브는 바캉스로 '시원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라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여담으로 실제 성능은 원본보다 뛰어난데 무기 계수 표기가 원본과 동일하다.


4.1. PP19 Bizon 스플래쉬


[image]
데미지
10
좀비 데미지
28
시나리오 데미지
39
명중률
63%
반동
92%
연사
92%
무게
85%
좀비 넉백
13%
좀비 경직
38%
가격
$1400
장탄수
64 / 120
특수 기능
-
구경
[image] 30발/$20
좀비Z 레벨 제한
10
64발의 9mm탄을 사용하는 기관단총이다. 헬리컬식 대용량 탄창을 도입하여 화력의 지속력이 뛰어나다. 시원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4.2. M79 소드오프 스플래쉬


[image]
D
일반모드
B
좀비모드
A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40
좀비 데미지
200
시나리오 데미지
80
명중률
100%
반동
100%
연사
0%
무게
85%
좀비 넉백
0%
좀비 경직
0%
가격
$2100
장탄수
5
구경
[image] 5발/$300
좀비Z 레벨 제한
1
베트남 전 당시 찰리킬러라 불리던 유탄 발사기의 개조판이다. 5발의 40MM 유탄을 사용하며 총열과 개머리판을 잘라내 휴대성을 높여 보조 무기에 장착한다. 시원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4.3. GROZA 스플래쉬


[image]
B
일반모드
D
좀비모드
D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32
좀비 데미지
35
시나리오 데미지
39
명중률
79%
반동
77%
연사
90%
무게
81%
좀비 넉백
14%
좀비 경직
50%
가격
$2900
장탄수
20 / 90
특수 기능
-
구경
[image] 30발/$80
좀비Z 레벨 제한

20발의 9x39mm탄을 사용하는 파괴력과 기동성이 뛰어난 돌격소총이다. 빠른 속도로 적진에 침투 하는 기습 작전에 효과적이다. 시원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4.4. UTS-15 스플래쉬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D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52
좀비 데미지
80
시나리오 데미지
160
명중률
100%
반동
58%
연사
72%
무게
82%
좀비 넉백
12%
좀비 경직
80%
가격
$2800
장탄수
15 / 32
특수 기능
-
구경
[image] 8발/$65
좀비Z 레벨 제한
12
UTAS사가 택티컬 웨폰으로 개발한 불펍식 펌프액션 샷건이다. 15발의 12게이지를 사용하며 가벼운 중량으로 기동성이 뛰어나다. 시원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사기충전 125% 영거리 기준 숙주 일반좀비 헤드 데미지 2280.
동레벨대의 무기인 발샷과 비교하면 범위딜이 불가능하지만 확인사살 지속시간동안 1:1에서만큼은 건부6티어를 장착한 발샷보다 강하다.

4.5. RPG-7 스플래쉬


[image]
D
일반모드
D
좀비모드
A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47
좀비 데미지
736
시나리오 데미지
1472
명중률
100%
반동
10%
연사
71%
무게
67%
좀비 넉백
17%
좀비 경직
80%
가격

장탄수

특수 기능

구경

좀비Z 레벨 제한
8
19년 7월 11일에 시작된 시즌3 시즌패스 15등급에 풀리는 무기다. 기존 RPG-7에 비해서 데미지가 엽기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좀비Z에서 레벨제한도 2라 정말 무시무시한 위력을 발휘한다. 거리에 따라 데미지가 4000~13000 정도인데, 그 시점의 일반좀비는 1~2방에 떼거지로 요단강을 건넌다. 고속장전과 탄환증식을 받으면 30레벨까지 써도 문제없을 정도. 똑같은 날짜에 에픽무기로 나온 드레드노바의 평이 좋지 않자, 사실 에픽무기는 RPG-7 스플래쉬라는 평이 있을 정도로 흉악한 무기.
사실 약간 과장은 있는게, 순정상태만 따지면 15레벨 넘어서 스탬퍼와 부두가 풀리면 힘이 빠진다. 리로드도 낮고, 휴행탄수도 16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무기의 진가는 탄증과 고장을 받고 13라운드를 넘어서부터인데, 그때쯤 풀리는 좀비들의 방어력을 감안해도 데미지가 3~5000씩 박히는데, 이런걸 초당 2~3발씩 연사하는 모습은 그야말로 장관. 초월 등급 무기라고 칭해도 전혀 손색없다.
결국 7월 16일 무기 밸런스 조정으로 데미지가 40% 줄었다. 이 패치로 힘 빠지는 타이밍이 빨라졌고, 고장과 탄증을 받고 후반까지 행패를 부리는 사태는 없어졌지만, 여전히 초반에는 깡패라 많이 쓰인다.
7월 25일 패치로 좀비Z 해금레벨이 8레벨로 추가하향되었다. 이 패치로 다른 초반 무기들을 쌈싸먹고 좀비들도 폭사시키는 무기에서 적절한 징검다리 무기가 되었다. 범위딜만 보면 RPG-7 스플래쉬가 높지만 단일딜이 더 높은 벤디타가 있는지라 필수 장비는 아닌편.
좀비 시나리오에서는 무려 게볼 6강보다 한방딜이 좋다. 좀비전에서도 몸샷 기준으로는 한방딜이 더 우월한(!) 충격적인 데미지를 자랑한다. 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헤드샷의 존재 여부와 중첩폭, 사기충전 적용 여부로, 게6은 저 세개를 모두 적용할시 한방딜이 26000까지도 오르는 반면에 이쪽은 항상 5000~6000 정도의 데미지에서 변함이 없다시피 하다. 그래도 한방이 약하지않아 킬딸에 좋은 무기.

4.6. M200 스플래쉬


[image]
A
일반모드
C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12
좀비 데미지
439
시나리오 데미지
683
명중률
100%
반동
67%
연사
24%
무게
65%
좀비 넉벡
27%
좀비 경직
80%
가격

장탄수
10
특수 기능

구경

좀비Z 레벨 제한
12
10발의 .338 Lapua 탄을 사용하는 M200은 모든 방어구를 무력화 시킬 정도의 엄청난 파괴력과 뛰어난 명중률을 자랑한다. 시원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시즌 보상으로 얻을 수 있는 스플래쉬 시리즈 중 하나.
한발 한발의 화력이 꽤나 절륜한 편으로, 사충 160% 기준 헤드 데미지가 10000에 육박한다. 이는 건부스트 4티어를 박은 노강 썬더볼트보다 미세하게 더 강한 수준으로, 재장전의 존재만 뺀다면 썬더볼트의 완벽한 상위 호환이다. 물론 저쪽은 강화와 파츠를 둘 다 박을 수 있어 6강에 건부스트 6티어를 박으면 매우 큰 폭으로 차이가 난다. 그러나 이쪽의 의의는 시즌 패스를 구매하면 '''로그인만 하면 받을 수 있는 공짜 무기'''라는데 있다. 특히 건부스트 6티어는 경매장에서 부르는게 값인 파츠라 가격면에서 도저히 비교가 안된다. 썬더볼트 값도 꽤나 비싸고. 다만 다른 시즌패스 저격소총 무기들과 비교하면 대미지는 약한편에 속한다.

4.7. 코일건 스플래쉬


[image]
A
일반모드
C
좀비모드
D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27
좀비 데미지
39
시나리오 데미지
41
명중률
66%
반동
84%
연사
91%
무게
67%
좀비 넉백
13%
좀비 경직
50%
가격

장탄수

특수 기능
-
구경

좀비Z 레벨 제한
16
전자기 코일이 감겨 있는 특수탄을 사용하여 고속의 자기 추진력을 발생시켜 총알을 발사하는 총기이다. 발사된 탄에 맞으면 일정 거리 안에 전기장을 형성시켜 데미지와 감전효과를 입힌다. 시원스러운 무늬로 장식되었다.
아지트 사기충전 125% 기준 숙주 일반좀비 헤드데미지 564, 전기장 데미지 13. 전기장은 사기충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동일조건에서 건부스트 5티어를 장착한 브로드 디바인은 성수딜을 포함해서 633의 데미지를 준다.

5. 할로윈


시즌4. 모티브는 할로윈 파티로 '할로윈 테마로 꾸며져 있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5.1. 레일캐논 할로윈


[image]
B
일반모드
A
좀비모드
B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53
좀비 데미지
352 / 440
시나리오 데미지
424 / 600
명중률
100%
반동
65%
연사
81%
무게
81%
좀비 넉백
12%
좀비 경직
80%
가격
$5000
장탄수
24 / 40
특수 기능
-
구경
[image] 10발/$100
좀비Z 레벨 제한
16
24발의 샷건 타입의 총기로 강력한 합금 탄환을 흩뿌린다. 세컨드리 모드인 충전사격은 총3단계로 탄환을 응축하여 한 번에 쏟아내는 강력한 기능이다. 할로윈 테마로 꾸며져 있다.

5.2. PSG-1 할로윈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99
좀비 데미지
879
시나리오 데미지
1758
명중률
89%
반동
43%
연사
71%
무게
71%
좀비 넉백
17%
좀비 경직
71%
가격
$4750
장탄수
5 / 90
특수 기능

구경
[image] 30발/$8
좀비Z 레벨 제한
12
5발의 7.62mm탄을 사용하는 저격소총이다. G3소총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반자동 저격총으로 명중률이 뛰어나며, 여러 나라의 특수 부대에서 사용되고 있다. 할로윈 테마로 꾸며져 있다.
다른 시즌패스 저격소총과 비교하면 데미지가 40%가량 내려갔지만 볼트액션이 아닌 반자동 저격소총이다.

5.3. TAR-21 할로윈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29
좀비 데미지
128
시나리오 데미지
214
명중률
88%
반동
88%
연사
89%
무게
71%
좀비 넉백
21%
좀비 경직
61%
가격
$3600
장탄수
30 / 90
특수 기능
반줌
구경
[image] 30발/$60
좀비Z 레벨 제한
8
30발의 5.56mm탄을 사용하는 불펍식 돌격소총으로서 높은 명중률을 이용한 전투에 특화되어 있다. 단, 안정성을 위해 데미지에 한계를 두었다. 할로윈 테마로 꾸며져 있다.

5.4. 듀얼 크리스 할로윈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20
좀비 데미지
91
시나리오 데미지
163
명중률
78%
반동
86%
연사
92%
무게
78%
좀비 넉백
8%
좀비 경직
76%
가격
$2000
장탄수
50 / 100
특수 기능
-
구경
[image] 12발/$25
좀비Z 레벨 제한
10
25발의 크리스 슈퍼V를 양손에 들어 이동이 다소 느리지만 연사력과 화력을 대폭 강화하였다. 할로윈 테마로 꾸며져 있다.

5.5. MK48 할로윈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B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30
좀비 데미지
176
시나리오 데미지
256
명중률
85%
반동
79%
연사
89%
무게
76%
좀비 넉백
14%
좀비 경직
50%
가격
$5500
장탄수
120 / 200
특수 기능
반줌
구경
[image] 30발/$60
좀비Z 레벨 제한
12
120발의 7.62mm탄을 사용하는 경기관총이다. 빠른 기동력과 강력한 화력으로 치고 빠지는 기동전에 적합하며 미군 특수부대에서 운용 중인 최신 기관총 중 하나이다. 할로윈 테마로 꾸며져 있다.

5.6. AutoMag V 할로윈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41
좀비 데미지
214
시나리오 데미지
304
명중률
93%
반동
67%
연사
82%
무게
85%
좀비 넉백
13%
좀비 경직
50%
가격
$625
장탄수
7 / 35
특수 기능
-
구경
[image] 7발/$40
좀비Z 레벨 제한
2
7발의 .50AE탄을 사용하는 50구경 자동권총으로 가격 대 성능비가 뛰어난 권총이다. 할로윈 테마로 꾸며져 있다.

5.7. 해머 할로윈


[image]
C
일반모드
A
좀비모드
B
시나리오모드
특수 기능
자세 변환(준비)
좀비Z 레벨 제한
1
거대한 공업용 해머로 데미지가 낮고 연사속도가 느리지만 2차모드 공격을 통해 다가오는 좀비를 밀쳐낼 수 있다. 할로윈 테마로 꾸며져 있다.

6. 조선


시즌5. 모티브는 조선시대로 드라마 킹덤과 콜라보 되어 출시되었다.


6.1. 언월도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B
시나리오모드
특수 기능
-
좀비Z 레벨 제한
6
중국 삼국 시대의 명장 관우가 사용한것으로 널리 알려진 초승달 모양의 도이다. 긴 도자루의 이점을 최대한 살린 강력한 공격으로 적을 제압한다.
※ 영신과 이창 클래스가 사용 시 무기의 성능이 강화

원본 무기는 청룡도.
6강 청룡도와 사거리 차이는 없고, 사충 120% 기준 숙주일반좀비의 헤드 데미지가 A모드 기준 2545, B모드는 2284로 측정된다. 6강 청룡도가 2589, 2480으로 측정되니 명백한 하위호환이다.
콜라보 캐릭터를 셀렉하면 이창과 영신 모두 비 콜라보 캐릭터와 사거리 차이는 없는 것으로 추측되고, 둘다 A모드와 B모드 전부 2937이 측정된다.

6.2. 화승총


[image]
D
일반모드
C
좀비모드
D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94
좀비 데미지
493
시나리오 데미지
120
명중률
83%
반동
29%
연사
0%
무게
85%
좀비 넉백
19%
좀비 경직
80%
가격
$1000
장탄수
30
특수 기능
-
구경

좀비Z 레벨 제한
8
조선 후기 군인들이 사용하던 화승식 권총. 엄청난 파괴력을 가지고 있다. 간헐적으로 좀비를 즉사시키는 강력한 데미지를 뿜어낸다. (즉사 데미지는 좀비 모드에서만 발동)
※ 영신과 이창 클래스가 사용 시 무기의 성능이 강화

원본 무기는 디바인 록.
사충 120% 숙주좀비 헤드 데미지 기준, 비 콜라보 캐릭터는 3250, 콜라보 캐릭터는 3910. 특이사항으로 다크 레거시 루거처럼 일정확률로 명중한 좀비가 즉사한다.[2]
한방 보조무기의 입지상 별로 쓰이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거기에 좀젯 8레벨이면 6레벨인 M950과 듀인파와 경쟁해야되는데 더더욱.

6.3. 각궁


[image]
S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78
좀비 데미지
403
시나리오 데미지
120
명중률
100%
반동
95%
연사
76%
무게
78%
좀비 넉백
25%
좀비 경직
71%
가격
$6200
장탄수
60
특수 기능
-
구경

좀비Z 레벨 제한
8
강력한 화살을 60발까지 날릴 수 있는 궁으로 적을 꿰뚫어버릴 만큼 치명적인 관통력을 자랑한다.
※ 영신과 이창 클래스가 사용 시 무기의 성능이 강화

원본 무기는 컴파운드 보우.
비콜라보 캐릭터가 사충 120% 기준 숙주일반좀비의 영거리 헤드데미지가 각궁이 A모드 527, B모드 차징이 6020으로 측정된다. 비교군으로 6강 컴파는 A모드 797, B모드 차징이 5028로 측정된다. 각궁이나 컴파나 B모드 차징이 주 딜링 수단이라 각궁이 일단 상위호환이긴 하나, 좀젯 레벨제한이 6강 컴파는 3렙, 각궁은 8렙으로, 넘사벽 차이가 난다.
콜라보 캐릭터가 쓰면 A모드 640, B모드 7106으로 측정된다. 하지만 썬더볼트 6강에 5티어 건부스트만 박아도 더 높게 뜨므로 실전성은 없다.

6.4. 조총


[image]
B
일반모드
C
좀비모드
D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49
좀비 데미지
310
시나리오 데미지
110
명중률
92%
반동
25%
연사
80%
무게
67%
좀비 넉백
13%
좀비 경직
50%
가격
$3400
장탄수

특수 기능
-
구경

좀비Z 레벨 제한
3
8발의 7.62mm 탄을 사용하는 반자동 소총으로 조총 스킨으로 제작되었다.
※ 영신과 이창 클래스가 사용 시 무기의 성능이 강화

원본 무기는 M1 개런드.
사충 120% 기준, 숙주일반좀비 영거리 헤드샷 기준으로 비 콜라보 캐릭터는 1184, 콜라보 캐릭터는 1333으로 측정됐다.
저래 봬도 웬만한 1레벨 샷건에 5티어 건부스트를 박은 것보다 화력이 더 높다. 근접 취향인지, 원거리 취향인지 따라서 픽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3레벨로 올라간 지금은 셀렉하기 애매해진 편이다.

6.5. 용인도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특수 기능
-
좀비Z 레벨 제한
6
긴 장대의 낫을 배치한 모양의 도이다. 긴 도자루의 이점을 최대한 살린 강력한 공격으로 적을 제압한다.
※ 영신과 이창 클래스가 사용 시 무기의 성능이 강화

원본 무기는 THANATOS-9. A모드의 타격판정은 원본과 매우 흡사하다. 타격범위도 동일하고, 범위 안에 모든 좀비를 타격하는 부분도 동일하다. 다만 원본과 달리 B모드 변신은 없다.그러나 좀비Z에서 인파이터 가 뜨고 이무기를 들면서 '''우클릭을 계속누르면은 먹힌다!'''
사충 120% 기준, 숙주일반좀비 기준으로 비 콜라보 캐릭터는 헤드 데미지 4569, 콜라보 캐릭터는 헤드 데미지가 5331이 들어간다. 타나토스9는 3647.
타격판정에 버그가 있다. 낫을 휘두르는 모션이 아니라, 낫을 우측으로 드는 타이밍에 타격판정이 들어간다. 즉슨 타나토스9보다 선딜이 약간 짧다.

6.6. 비격진천뢰


[image]
특수 기능

좀비Z 레벨 제한
6
조선 시대의 사용된 신관 수류탄으로 심지의 길이를 이용해 터지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강력한 수류탄이다.
※ 영신과 이창 클래스가 사용 시 무기의 성능이 강화
※ 우클릭 1회 당 폭발 지연 시간이 1초 증가한다.(최대 4초 추가)

시즌패스 무기중 최초의 수류탄 무기이다. 가격은 $300로 HE 수류탄과 동일하다. 숙주일반좀비 영거리 기준, 비 콜라보 캐릭터가 쓰면 780, 콜라보 캐릭터가 쓰면 886으로 측정된다. 경쟁무기인 HE 수류탄이 245로 측정되니, 약 3~4배는 강력하다. 기존 HE 수류탄은 좀젯 초반에 달러가 궁해서 구입할 이유가 없었다면, 비격진천뢰는 구입할만한 메리트정도는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연시간을 늘려봤자 실용적으로 쓸수는 없어보인다. 오히려 심지의 길이를 늘렸다면 시스템적으로 무슨수를 써도 취소할 수 없고 스왑을 해도 지연시간이 늘어난 상태라 그대로 던져야 된다. 절대 우클릭은 하지 말것.
그리고 대미지가 증가한 만큼 오폭시 사망률도 높아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3]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오퍼레이터 잉이 들고 나오는 칸델라와 유사한 작동방식을 가지고 있다.

6.7. 환도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C
시나리오모드
특수 기능
-
좀비Z 레벨 제한
6
조선 시대의 사용된 전투용 도의 일종으로 짧은 도신이 특징이다.
※ 영신과 이창 클래스가 사용 시 무기의 성능이 강화

스킨은 카타나와 비슷한데, 매커니즘은 많이 다르다. 완전히 별개의 무기다.
A모드는 좌측 상단~우측 하단으로 베는 모션과 좌측 하단~우측 상단으로 베는 모션을 번갈아가면서 쓴다. B모드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리치는 모션만 쓴다. A모드와 B모드 모두 씰 나이프처럼 단일타겟이고, A모드보다 B모드가 약간 더 길다. A모드와 B모드는 모두 1.4초마다 한번씩 공격하는 연타속도다. 후술할 데미지 차이를 봤을때 그냥 닥치고 B모드만 쓰면 된다(...)
사충 120% 숙주좀비 기준, 헤드 데미지는 비 콜라보 캐릭터는 A모드 3046, B모드 3944이고, 콜라보 캐릭터들은 A모드 3536, B모드 4488이다. 사거리 차이는 비콜라보, 콜라보 관계없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추측된다.
데미지는 강력하지만 실용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칼의 리치가 듀얼 나타나이프 B모드보다 약간 더 긴 수준으로, 사실상 도긴개긴이다. 그냥 나타나이프의 스킨 수준. 그마저 레벨도 높아서 셀렉율은 없다시피한편.

7. 오즈의 마법사


시즌6. 모티브는 오즈의 마법사.
항상 중간보상에는 무기 카테고리 별로 7개의 무기가 나왔지만, 이번에는 돌격소총으로만 3개를 출시하였다
특이하게도 a b 는 써먹을 만한가격으로 대인전유저들을 위한 벨런스를 지녔으며 c d 는 좀비전 용도로 만든 제작진의 의도가 보인다.

2:21까지

7.1. SCAR-OZ A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D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5
좀비 데미지
55
시나리오 데미지
79
명중률
88%
반동
86%
연사
90%
무게
76%
좀비 넉백
13%
좀비 경직
50%
가격
$3250
장탄수
30/90
특수 기능
-
구경
5.56mm
좀비Z 레벨 제한
1
시스템코드
y20s2scara
SCAR를 기반으로 양철로봇을 개발한 오즈 팩토리에서 생산된 30발의 5.56mm탄을 사용하는 돌격소총이다.
※ 시즌6 보상 최종 무기 - 성장형 총기 SCAR 1단계

여러모로 '''대인전 용도'''로 만들어졌음을 추측할수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리미티드 버전을 계승했다. 원본보다 650달러나 비싸서 가격도 엠포보다 비싸며 SCAR 모델이 리메이크 되면서 상당히 매끄러워졌지만 매버릭 느낌 나는 녹슨 양철스킨으로 인해 원본보다 더 구려보인다. 성능을 보면 어떤 총의 카피본이라기보단 새로운 라인업의 소총에 가깝다.
원본 리미티드를 그대로 복붙하고 반동만 줄여놓은 형태인데 반동이 매우 큰폭으로 하락해 중장거리에서도 연사가 가능할정도로 초반반동이 적고 반동 회복속도가 빠르나, 걸으면서 사격시 원본 스카와 비슷한 강렬한 좌우반동이 발생해 정지해서 쏠때와 괴리감이들정도로 탄이 튀어나간다. 제어력이 뒷받침되면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지만 성능에 비해서 다소 비싼가격과 불안정한 리스크로인해 입지가 좋지 못하다.
대인전 티어 A-B

7.2. SCAR-OZ B


[image]
B
일반모드
B
좀비모드
D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5
좀비 데미지
106
시나리오 데미지
146
명중률
88%
반동
86%
연사
90%
무게
76%
좀비 넉백
13%
좀비 경직
50%
가격
$3250
장탄수
35/90
특수 기능
-
구경
5.56mm
좀비Z 레벨 제한
8
시스템코드
y20s2scarb
SCAR를 기반으로 양철로봇을 개발한 오즈 팩토리에서 생산된 35발의 5.56mm탄을 사용하는 돌격소총이다. 외형의 변화는 없지만 더욱 강력한 사격이 가능하다.
※ 시즌6 보상 최종 무기 - 성장형 총기 SCAR 2단계

여러모로 '''대인전 용도'''로 만들어졌음을 추측할수 있는데 이전 단계보다 장탄수가 35발로 늘어서 좀 더 안정적인 화력투사가 가능해졌다. 외관이 고급스러운 타일처럼 변해서 상당히 간지난다.
스카A에 비해서 기본반동은 다소 늘었으나 여전히 여타 총기보다는 적은 편이며 가격이나 성능을 보나 오리유저들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녀석이다. A 에 비해 5발이 늘어난 것 외에는 큰 차이가없다.
대인전티어 A

7.3. SCAR-OZ C


[image]
B
일반모드
A
좀비모드
B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5
좀비 데미지
116 / 413
시나리오 데미지
228 / 665
명중률
88%
반동
84%
연사
90%
무게
76%
좀비 넉백
14%
좀비 경직
50%
가격
$6000
장탄수
40/90
특수 기능
[image]
구경
7.62mm
좀비Z 레벨 제한
12
시스템코드
y20s2scarc
SCAR를 기반으로 양철로봇의 기술로 개발된 40발의 7.62mm탄을 사용하는 돌격소총으로 연사 시 발사속도가 빨라진다. 스코프를 달아 정밀한 사격이 가능하다.
※ 시즌6 보상 최종 무기 - 성장형 총기 SCAR 3단계

파커헤일처럼 1단 줌이 가능한 돌격소총이 되었다. 그런데 가격이 무려 6000달러다. 최종 이전의 무기라 여러모로 애매한 성능을 갖고 있다. 일단 40발의 장탄수를 보유하고 있으나 예비 탄약이 90발이라 두 번 장전을 하면 10발이 남게 되어 딱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거기다 연사력이 높은데 명중률은 그저 그렇다. 때문에 적을 마주칠 때 마다 갈기면 어느 새 총알이 모조리 사라져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줌을 하면 써먹을 만 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반줌 형태가 아니라서 가운데 원을 제외한 시야가 모두 가려지는데 연사력도 느려진다. 또 XM8처럼 줌을 통한 데미지 상승도 없기 때문에 장거리 교전도 미덥지 못하다. 오리지널 관련 모드에서는 반자동 저격소총으로 오인받아서 쓴소리를 들을 수도 있으니 그냥 넣어두자.
대인전에서 무기의 성능을 보면 AB타입에 비해 피해량이 많이 감소되어있다. 과거 OP무기로서 하향을 받은 템페스트, 레이져 미니건 등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ABCD타입중 AB는 대인전에서 노방탄헤드 100피해를 초과시키고 방탄을 착용해도 두발에 제압하지만 CD타입은 뉴클래식무기에 비해 피해량이 다소 낮아 방탄 헤드샷 3발을 맞아야 사살한다. 좋지않은 반동덕에 그다지 쓸만하지 못한 무기로 취급되고있으며, 운영진이 AB타입과 CD 타입을 각각 대인전과 좀비전으로 용도를 세분화 하려고 했음이 추측된다.
평이 좋지 않아서 그런지 시즌 진행보상 최초로 상향패치를 받았다.[4] 재장전 시간이 소폭 감소하고, 무기의 명중률이 상승하였다.
여담으로 총기부착물의 퀄리티가 상당히 좋고, HK416처럼 레일이 붙어있어 매우 간지난다. 이부분에선 오히려 최종 무기인 D 보다 좋을 정도.

8. 사이킥 펑크


시즌7 의 모티브는 DJ 컨셉이다
이번에도 시즌6의방식인 중간에 무기가 많지 않고 기존무기를 업그레이드 a,b,c,d 무기를 내놓았다
카스 유저분 들이 방송에서 카스 디렉터가 바껴다고 하였다
'''패치-업데이트'''http://csonline.nexon.com/News/Notice/View/131631
'''패치-이벤트'''http://csonline.nexon.com/News/Notice/View/131630[5]


9. 얼음왕국



9.1. 베어 버스터



9.2. 베어 퓨리 MK.1



9.3. 베어 퓨리 MK.2



10. 시즌 패스 최종 보상


시즌 패스의 최종 보상 무기로 스팅어를 제외한 기존 상위티어 무기를 하향한 무기다.

10.1. 윈드라이더


[image]
S
일반모드
S
좀비모드
S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21 / 16
좀비 데미지
74 / 65
시나리오 데미지
137 / 140
명중률
100%
반동
94%
연사
91%
무게
90%
좀비 넉백
0% / 100%
좀비 경직
61%
가격
$1200
장탄수
30 / 180
특수 기능
[image]
구경
.44 매그넘 30발/200$
좀비Z 레벨 제한
26
바람의 여신을 수호하는 친위대에게 주어지는 이 두 자루의 자동권총은 30발의 .44 매그넘 특수탄을 사용하며 사격술과 무술을 접목한 고유의 총기 무술에 최적화되어 주변의 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휩쓸어 버린다.
※ 상세 기능
- 마우스 우클릭 공격으로 탄을 모두 사용할 경우, 주변의 적을 모두 날려버리는 광풍을 불러낸다.


일명 '''윈라'''. 탄창은 30발로 원본보다 6발 줄었다. 하지만 듀베건의 전매특허인 '''360도 무조준 전방위 공격'''이라는 아이덴티티는 여전히 살아있기에 생존 위주에서는 당연히 타 권총과 비교를 불허한다. 다만 비모드로 탄창을 비웠을시 발동되는 넉백은 다소 줄어든듯. 그리고 패널티로 장탄수가 6발 줄어들긴 했으나 장탄수가 적다는건 그만큼 재장전을 많이 한다는 의미이고, 이건 재장전을 하면 광풍넉백이 일어나는 물건이니만큼 마냥 패널티라고 보는것도 아니라는 의견도 다수다.
다만 듀베건보다 범위가 좁다는게 큰 차이. 스팅핑거가 약간이라도 들어온다면 바로 촉수 사정권 안에 들어오며, 가니메데와 러스티 윙에게도 일반 듀베건에 비해 더 쉽게 당할 수 있다. 일반 듀베건을 사용하다가 윈드라이더를 사용하면 거리 적응이 힘든 편. 컨트롤로 극복해야할 문제. 그렇다고 마냥 하위호환인 것은 아니고, 좀비Z 레벨제한이 듀베건보다 2레벨 낮다는 장점도 있다. 좀비Z 유저라면 듀베건이 있다고 해도 따로 장만해둔다면 나쁘진 않다. 그대로 현찰박치기를 한다면 아깝지만 코인을 꾸준히 모아 무료로 얻거나 저렴하게 구입하는 식으로 현금출혈을 크게 줄인다면 메리트는 충분히 있다.
얻는 방법이 의외로 정직하다. 1시즌 시즌패스 60등급을 달성하면 얻을 수 있다. 여기에 등급을 올리며 중간중간 얻게되는 시즌패스 보상은 덤이다. 보조무기 특성상 견제와 생존이 주 목적이지 주무기처럼 딜링과 킬이 아니기 때문에 무조준에 미친 경직과 미친 넉백을 자랑하는 이 무기라면 적어도 보조무기는 더 필요 없을 정도다. 좀탈에서 왜 크림슨이나 데스페라도는 금지를 안하면서 듀베건만큼은 꼭 금지하는지 잘 생각해보자. 호신용으로는 원본을 제외하면 따라올 무기가 없다.
최강의 보조무기 듀베건의 마이너 무기라는 충격적인 타이틀때문에 약간 거품이 있는 무기인데, 듀베건이랑 B모드 사격 범위는 크게 차이 나진 않지만 충격파 범위 차이는 매우 크다. 듀베건은 B모드 범위랑 충격파 범위가 맞먹는데 윈드라이더의 충격파 범위는 B모드 범위에 비해 매우 짧다. 거기에 B모드 경직까지 듀베건보다 약한 상태다보니 생존력이 생각보다 많이 떨어진다. 듀베건의 건카타에 맞으면 은근히 거북이가 되는 통에 추격전에서 약간 거리가 벌어졌다 싶으면 건카타를 끊어가면서 도망갈수도 있지만, 윈드라이더의 건카타에 맞으면 잠깐 움찔했다가 바로 쫓아오는 수준이라 한시도 안심하기 힘들다. 그런 이유로 탄환소모도 심한데 원본보다 휴행탄수가 부족한 점도 은근히 압박으로 다가온다. 거기에 360도 호신무기인데 초월 무장의 특징인 히트 시 크로스헤어에 알림 기능이 없어서 상당히 불편하며, 피격음과 출혈 이펙트, 초월 캐릭터의 데미지 측정기를 보면서 대충 건카타에 걸렸다곤 알 수 있어도 그리 직관적으로 보이는게 아니라서 한계가 있다. 사거리가 크게 차이 안나는거 같은데 이상하게 윈드라이더가 더 잘 잡힌다는 느낌이 여기에서 기원한다. 공방에서 윈드라이더 사용자가 많은데 마지막에 살아남는 생존자들은 왠지 듀베건이 많은 이유가 이것.
시나리오에서도 상점에 은근히 자주 찾아가서 탄약보충해줘야 되며, 아무리 못해도 휴행탄수가 500발 이상인 만큼 일반적인 상황에선 이유없이 남발하지 않으면 별 문제는 없지만, 상점에 들르지 않고 오래 버텨야 하는 구간에서는 듀베건보다 많이 번거롭다.[6] 거기에 듀베건은 베놈가드의 자폭 데미지가 들어오지 않지만, 윈드라이더는 자폭 데미지가 들어온다.
물론 그걸 감안해도 상당히 유용하다. 위의 비평은 듀베건에 익숙해진 유저가 윈드라이더를 썼을 때 어느정도 느낄 수 있는 부분이고, 듀베건과 윈드라이더가 없다면 남은 선택지는 데페6강 뿐인데 너무 넘사벽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위의 비평만 잘 숙지하고 주의한다면 듀베건을 대체하면서 쓰는데는 아무런 문제 없다. 이때문에 윈드라이더가 처음 등장했을때 에픽상자 천장 이벤트를 같이 했었는데, 윈드라이더의 존재 때문에 에픽상자에서 듀베건을 얻는 것 자체가 호구취급을 받을 정도였고,[7] 1시즌이 끝나기 직전, 행운의 초월 상자 예고가 나왔는데, 1회당 9800원에 듀베건은 0.5%를 책정한 확률을 보고 차라리 윈드라이더를 뽑는게 좋겠다는 평까지 있었을 정도다.
여담으로 건 카타 이펙트가 초록색이다.

10.2. 스팅어


[image]
S
일반모드
S
좀비모드
S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14
좀비 데미지
1900
시나리오 데미지
4560
명중률
97%
반동
51%
연사
62%
무게
69%
좀비 넉백
64%
좀비 경직
61%
가격
$6000
장탄수
3 / 90
좀비Z 레벨 제한
22
중세 뱀파이어의 심장을 파괴하기 위하여 제작된 무기로 한 번 박히면 뽑을 수 없는 3발의 특수 말뚝을 사용한다. 박힌 말뚝은 적들을 밀어낸 뒤 폭발한다.
※ 우클릭으로 발사한 말뚝을 즉시 폭발시킬 수 있다.
※ 밀어내기 효과는 좀비 모드 및 좀비 시나리오 모드에서만 적용됩니다.

[youtubesD1BPjE3dRU()]
시즌패스 시즌 2 60등급 보상으로 나온 무기.
게이볼그의 탄환을 3발 연속으로 천천히 쏜다. 단발당 화력은 게이볼그 6강 1발보다 약간 낮으나, 많아야 500 정도 차이라서 거의 필적하는 수준. 6강 게이볼그 탄환을 3발 연달아 쏜다고 보면 되며 3발 전부 꽂았을 때의 화력은 사실상 6강 게이볼그 2.9발 정도로 대폭 상위호환이다.
다만 반자동 총기처럼 3발을 끊어서 쏠수는 없고 3점사처럼 아주 느리게 쏜다. 스왑으로 점사를 끊을수는 있으나, 다시 스팅어로 스왑하면 남은 탄환이 점사된다. 일단 끊을수는 있기 때문에 게이볼그처럼 폭탄점프는 가능하다. 다만 발사 후 스왑해서 다른무기를 사용하다 다시 발사를 할 수 있는 게이볼그와는 달리 무조건 들고 수동으로 장전을 해줘야하는건 완벽한 패널티이다.
기본적으로 화력은 높으나 투사체 형식으로 3번 끊어 나가므로 궁헌매같은 1군급 화력무기에 비비긴 힘들다. 화타나 기타 근하신년&초월 6강 수준의 화력과 자웅을 겨루는 수준이지만, 이마저도 투사체 형식에 3번 끊어 나가므로 좀비가 확실히 들어오는 루트에 투사하는게 아닌 이상 한계는 분명히 있다. 다만 3단 폭탄점프가 되는 것을 이용하여 굉장히 트릭키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시나리오에서 보스 딜링으로는 그저그런 수준. 6강 게볼 자체가 퇴물이 된 상태라 이걸 재구입 테크닉으로 연사해도 화타와 피닉스보다 DPS가 낮게 나온다. 다만 폭탄점프는 되니 게이볼그와 비슷하게 루트 돌파용으로 쓸수는 있다. 이쪽도 3단 폭발점프로 연구의 가치는 무궁무진할듯. 그리고 탄환값이 미친듯이 비싸다. 3발에 450달러로, 300발이면 45000달러, 600발이면 90000달러다. 필요한 만큼만 구입해서 쓰자.
1시즌 60등급 무기였던 윈드라이더가 워낙 가성비 좋은 미친 무기라 그렇지, 스팅어도 충분히 좋은 무기는 맞다. 3단 폭탄 점프는 어떤 무기에도 없는 차별화된 장점이기 때문이다.[8] 다만 약 10만원에 달하는 가성비는 되는지 의문. 물론 시즌 배지를 무료로 수급하여 얻어둘 가치는 있다.
4월 28일 임시점검으로 성능이 수정되었다. 탄환생성과 고속장전 시 발생하는 버그를 수정했고, 리로드가 비정상적인 시점에서 되던 버그를 수정했다. 패치 이전에는 리로드 타이밍[9]에 조금만 신경쓰면 게볼처럼 권총과 연계운용이 가능했으나, 그 장점을 빼앗기고 안습한 신세가 되고 말았다.[10] 그리고 좀비Z 레벨제한도 성능에 비해 말도 안되던 30레벨에서 22레벨로 조정되었다. 좀비 히어로에서는 하향이고, 좀비Z에서는 상향이라고 보면 될듯하다. 다만 22레벨도 좀 애매한데, 그 레벨에는 다크나이트 6강이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최대한 빨리 24렙을 찍고 헌샷을 뽑아내어 뽕을 뽑아야 되는 타이밍인데, 스팅어 갖고 놀 시간이 있을지는 의문. 물론 고속장전 버그가 고쳐져서 폭탄점프를 계속 타면서 좀비전에서 하늘을 날아다니는(...) 짓도 가능하다. 옛날같이 생존이 목적이었다면 당장에 논란이 될만했겠지만, 지금은 화력무기로 킬과 어시를 마구 쌓아 점수를 쌓는게 목적이라 크게 영향은 없을듯.
좀비 탈출, 특히 스카이라인 맵에서는 기껏 게볼시절 막아놨던 루트를 이거로 죄다 넘어다닌다(...) 스카이라인 맵에서는 거의 100% 스팅어 금지를 볼 수 있다. 시나리오에서도 각종 루트가 발굴되는 중. 관련

10.3. 빅샤크


[image]
S
일반모드
S
좀비모드
S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10
좀비 데미지
660
시나리오 데미지
1100
명중률
100%
반동
48%
연사
54%
무게
81%
좀비 넉백
21%
좀비 경직
80%
가격
4500$
장탄수
8/32
특수 기능
[image]
구경

좀비Z 레벨 제한
18
8발의 12게이지 탄을 사용하는 펌프 액션 샷건으로 8발을 타격 시 1차 폭발 이후에 거대 상어를 소환하는 특수탄이 1발 장전된다.

시즌3 시즌 패스의 최종보상무기.
M3 블랙 드래곤의 마이너 무기인데, 산탄과 차징탄의 데미지만 40%씩 줄었다. 그 외의 성능은 원본과 동일. 원본의 성능부터가 궁헌매 수준은 못되는 2군급에서 중간급 수준이고, 더욱이 원본인 M3 블랙 드래곤보다 획득조건이 까다로운데 블드는 경매장에서 5~6만 마일리지. 현금으로 환산하면 3~4만이면 구매가 가능하다. 반면 시즌패스 60등급을 현찰박치기로 열면 10만원이고, 현금출혈을 줄일수는 있어도, 2군급 무기의 마이너 버전을 2개월 정도 늦게 얻는다는 것이니 평이 영 좋지 않다. 더욱이 빅샤크가 출시된 시점에 에픽조각 이벤트도 같이 진행중인데, 14일을 꾸준히 하면 에픽조각상자 600개를 얻을 수 있고, 불확정이지만 블랙 드래곤을 얻을수도 있는 양이다보니... 지금 60등급 뚫는 유저들도 빅샤크의 성능을 보는게 아니라 '3시즌 정복자' 훈장의 무지개색 오오라를 노리거나, 스프레이의 홀로그램 효과를 보고 지르고 있을 정도다. 그리고 원본 블랙 드래곤부터가 데미지 하나때문에 쓰이는 무기인데 그 데미지를 너프먹었으니 사실상 좀비Z가 아니면 쓰일 일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3군급 무기로 취급받고 있으며 운영진에서도 3등급 무기로 취급하고 있다.
좀비Z 레벨제한은 22레벨였다. 비슷하게 범위공격을 주는 무기인 5~6티어 건부스트를 박은 발샷이나 브릭피스S1451이 있다면 크게 메리트있는 편은 아닌데다 범위형 데미지만 따지면 빅샤크보다 획득등급도 낮고 레벨제한도 낮고 훨씬 더 쓰기 쉽고 DPS도 높은 RPG-7 스플래쉬가 더 고평가 되는편.
7월 25일 패치로 좀비Z 해금 레벨이 18레벨로 내려갔고, RPG-7 스플래쉬도 2차례 하향당했지만, 여전히 고티어 건부를 장착한 발샷이나 브릭피스S1451에 비하면 메리트는 그다지 없다. 게다가 발샷의 경우 해금 레벨도 12로 낮은편이다. 그나마 발샷 처럼 탄약소모가 심하지도 S1451처럼 특수탄의 수가 제한된것이 아니고 공통적으로 파츠없이도 이 무기들과 비슷한 성능을 보이고 변이의 영향력이 적기 때문에 변이가 좋지 않더라도 성능에 큰 감소가 없다. 물론 반대로 고티어 파츠 장착했거나 변이가 좋다면 다른 무기를 쓰는게 더 좋다.
아지트 공격력 125% 기준 일반좀비 영거리 헤드샷 A모드 2471, B모드 직격탄 5079. 거대 상어 742.
여담으로 일반 등급이 S로 원본인 블랙 드래곤의 B등급보다 높다. 원본보다 구입가격이 500$ 저렴한 부분은 분명 유리한 점이지만, 이게 2단계나 높은 이유가 되는지는 의문. 아마도 시즌 패스 최종무기 및 마이너(예:지옥무쌍검)는 성능 상관없이 S,S,S로 고정시켜놔서 생긴 문제인듯하다.
의외로 원본무기의 모션 같은 데이터를 복붙한 기존 시즌패스 보상무기들과 달리, 공격모션이랑 재장전모션이 원본인 드샷과 완전히 다르다.
블드와 마찬가지로 타격 시가 아닌 적에게 데미지를 입혀야 특수탄이 장전된다.

10.4. 고스트 나이트


[image]
S
일반모드
S
좀비모드
S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09
좀비 데미지
1337
시나리오 데미지
2673
명중률
100%
반동
70%
연사
8%
무게
62%
좀비 넉백
9%
좀비 경직
96%
가격
8000$
장탄수
15/120
특수 기능
[image]
구경
[image]10발/$200
좀비Z 레벨 제한
18
전장을 호령하던 기사의 용맹함이 담긴 저격총으로 10발을 명중시키면 유령기사를 소환할 수 있다.


※ 파츠 시스템 적용 가능 무기 ※
2019 시즌4 패스 최종 보상. 일명 '''고나'''
바렛 M95 화이트 타이거의 마이너 버전인데,이전 시즌3 패스 최종 보상인 빅샤크에서 욕을 먹은것을 감안한 것인지, 기존 화타에서 화력을 반토막을 넘게 내놓은 대신 파츠 시스템 적용시켜서 내놨다[11]. 화력은 건부스트 6티어를 장착시켜도 화타를 따라갈수 없지만, 건부와 같이 장착할 수 있는 파츠로 부분적으로 차별화가 가능하다.
사실 건부 6티어를 장착시켜도 근본적으로 화력이 약한데다[12] 차징탄 범위, 차징탄 특수능력 효과, 무게, 장탄수가 모두 뒤떨어져서 좀비 히어로에서는 쓰기 힘들다. 스트레스 다운 파츠를 달고 분노수치를 덜 주고 죽이거나, 뱀피릭 파츠를 달고 좀폭견제에 홀소 패링까지 남발했는데 체력이 남아도는 비범한 모습을 보여줄수는 있지만 그걸로 끝이고, 화타를 넘는 성능은 못된다.
좀비Z에서는 건부 6티어 장착 시 18레벨 무기 치고는 상당히 강력한 편이고 18레벨 무기중에서 가장 잠재력이 높은게 장점이며 파츠만 잘 단다면 레벨을 매우 빠르게 올릴 수 있으며 화타를 쓸 수 있는 26레벨전까지 이걸로 버틸수도 있다. 위에 언급된것 말고도 홀드업하고도 시너지가 좋은데 데미지 증가효과는 덤이고 경직 증가 덕분에 패콤시 다음 사격을 맞추기 편해진다. 2.5티어에 적당한 무기. 레벨도 2군급 무기들보다 낮다.
시나리오에서는 건부 6티어와 보스 데미지 6티어를 모두 장착해도 화타보다는 약하고 화타보다 아래인 피닉스보다 약해서 보스딜 메타를 바꿀 순 없지만, 보스 데미지 파츠를 포기하는 대신 뱀피릭 파츠를 같이 달고 보스전때 피흡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화타가 없는 유저들에겐 매우 유용하다. 기존 장거리 보스 피흡용으로 사용 가능했던 토네이도나 헌관총은 피흡 타이밍때 딜링을 포기해야되는 단점이 있었지만, 이 무기는 딜로스도 최소화할 수 있다. 뱀피릭 6티어 기준 발당 최대체력 30% 회복제한때문에 비효율적인거 아닌가 싶지만, 체력 약 2000대 기준으로 발당 못해도 약 600은 회복되며, 버그가 있는지 약 1200에 가까운 체력이 회복되기까지 하므로 상당히 좋다. 가격도 8000달러라 약간 부담되지만, 감당할만한 수준이다. 다만 탄약이 비싸므로 루트 진행때 미리 구입해서 챙겨놓자.
화타의 존재 의의라고 할 수 있는 그물탄은 기존 화타에서 2발이 줄어 총 5발을 달고 나온다.
아지트 공격력 120% 기준 일반 좀비 영거리 헤드샷 5059, 유령기사 3848
아지트 공격력 120% 건부6, 홀드6 기준 일반 좀비 영거리 헤드샷 9556, 유령기사 7273

10.5. 비연신기전


[image]
A
일반모드
S
좀비모드
S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52
좀비 데미지
291
시나리오 데미지
371
명중률
100%
반동
70%
연사
82%
무게
81%
좀비 넉백
15%
좀비 경직
66%
가격
6400$
장탄수
30/30
특수 기능
[image]
구경

좀비Z 레벨 제한
22
죽은 자들을 학살하기 위해 만들어진 무기. 당시 기술을 뛰어넘은 특수한 무기로 30발의 조린탄환을 쏟아 내거나, 2차 모드의 화전 발사를 통해 전방의 모든 적들을 초토화시킨다.
※ 상세 기능- 일정 시간마다 특수탄 자동 생성
- 마우스 우클릭으로 특수탄 사격시 전방에 부채꼴 범위로 일반 63, 좀비 728, 시나리오 5077의 데미지를 입히는 넉백 60%의 공격을 할 수 있다.


※ 파츠 시스템 적용 가능 무기 ※
시즌5 패스 최종 보상 무기. 매그넘 런처의 마이너무기이고,일명 '''비연'''
원본 매그넘 런처와 데미지를 비교하면 A, B모드 둘 다 55% 토막났다. 대신 파츠 장착이 가능한데, 건부스트 6티어를 달면 매런에 비해 약 19% 감소한 수준까지 복구가 가능하고, 홀드업 6티어까지 장착하면 매런에 비해 약 16%정도 감소한 수준까지 복구할 수 있다.
B모드가 특히 많이 칼질됐다. 매런은 투사체 갯수가 9발, 연사력은 0.6초마다 한번씩 발사할 수 있었는데, 투사체 갯수도 9발에서 5발로 줄고, B모드의 연사력도 0.75초마다 한번씩 쏘도록 너프됐다. 특히 B모드는 연사로 많이 쓰느니만큼, 연사력은 엄청나게 체감되는데, 데미지는 파츠로 어떻게 복구한다 쳐도, 연사력때문에 쓸어담기 힘들다고 느껴질 정도. A모드의 재장전 속도도 매런이 2초, 신기전이 2.2초로 미세하게 느려졌다.
다만 기간한정으로 개당 '''66000원'''[13]에 파는 콜라보 초월 캐릭터, 이창과 영신을 쓰면 비연신기전의 위력이 상승한다. 둘다 공통적으로 화력이 직접적으로 증가하진 않지만[14], 이창을 셀렉하면 A모드의 장탄수가 5발 상승하며, B모드의 수급 속도가 2초에서 1초로 감소한다. B모드의 딜로스가 없어지면서 마구잡이로 남발해도 별 문제없이 쓸 수 있다. 영신을 셀렉하면 B모드의 투사체가 9발로 늘어나고, 연사력도 0.6초로 빨라진다.
요약하자면 이창을 셀렉한다면 원본매런과는 좀 색다른 매런을 쓸 수 있으며, 영신을 셀렉한다면 매런과 거의 근접하는 성능의 무기를 쓸 수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사실 좀히나 좀젯 30렙에 다른 주무기와 경쟁하긴 좀 힘든 무장이라고 할 수 있다. 콜라보 캐릭터를 쓰지 않거나, 영신을 셀렉한다면 그냥 빼도박도 못할 매런의 하위호환이고, 이창을 셀렉한다면 원본매런보다는 B모드를 좀더 적극적으로 쓸순 있지만, B모드의 연사력 문제때문에 DPS가 낮다는 문제가 있어서 파천포와 헬하운드를 위시로 한 순간화력 메타에서 명함내밀기가 힘들다. 그나마 콜라보 캐릭터를 쓴다면 준1티어급 무기는 되지만, 콜라보 캐릭터를 쓰지 않는다면 화타, 블드, 트래커, 인레피 수준의 2티어 수준이다. 그나마 좀비 PVP에서 킹덤 콜라보 캐릭터들의 성능이 좋아서 굳이 다른 캐릭터를 쓸 이유가 없기 때문에 성능버프는 늘 받을수는 있겠지만, 그 콜라보 캐릭터가 유료판매인지라 추가과금이 들어가므로 그다지 기쁘지는 않은 장점이다. 그마저도 콜라보 캐릭터를 쓰는 도중 영웅이 되면 콜라보 효과가 사라져 영웅이되면 성능이 오히려 다운그레이드되는 괴현상마저 있다.
그래도 파츠무기이고, 현 1티어 무기인 매그넘 런처의 하위호환이니, 뱀피릭 파츠를 달고 홀소의 보조를 해주거나, 스트레스 다운을 달고 분노를 덜 주는 식으로 실용적인 조합을 노려볼 수는 있다.[15] 그리고 좀젯 20레벨에서는 당연히 강력한 무기다. 파츠를 제대로 박고, 콜라보 캐릭터까지 쓴다면 그냥 29레벨까지 쭉 써도 문제없다. 다만 이렇게 운용할 경우, 20레벨부터 23레벨까지는 신기전을 보조할 무기가 M950 뿐이라 상당히 위험하기 때문에 스피드업 파츠를 박아주는 것을 추천한다. 거기에 웬일인지 5시즌부터 인게임 플레이 시간 누적 이벤트와, 일퀘에서 지급하는 시즌 배지 지급량이 늘어서 현질과 노가다 부담도 많이 감소됐다. 콜라보 캐릭터 확보에 추가과금이 요구되기 때문에 약 주고 병 주는 수준이지만.
가장 큰 문제는 강화 클래스가 없으면 원본과의 성능차가 역대급으로 심하다는 것. 그간의 최종보상과 덤으로 지옥무쌍검까지는 각각의 성능이 원본무기와 이정도까지 큰 차이는 보여주지 않았다. 이 무기를 제대로 써먹으려면 건부스트 6티어 파츠는 물론, 이창 or 영신 클래스가 사실상 필수다. 공방에서 쓰는 유저 대부분이 영신을 셀렉하는 이유가 이것때문인데, 건부스트 6티어를 달아도 화력이 약 16% 감소해있고, 연사력도 떨어진 상태라 화력이 너무 약하기 때문. 물론 뱀피릭이나 스피드업으로 차별화는 시키겠지만, 영신으로 연사력 보강을 해주지 않으면 아예 킬각이 안나오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파츠말고도 좀비Z에서 변이빨도 심하게 타는데 이전 시즌패스 무기인 빅샤크나 고스트 나이트는 변이가 좋지 않아도 빅샤크는 중반에 쓸만하고 고스트 나이트는 후반까지 쓸만하지만 비연신기전은 열광과 스페셜 리스트가 반쯤 필수로 이 두 변이가 나오지 않으면 발샷보다도 약한 DPS를 보여준다. 최소한의 가격인 9900원으로 양질의 무기를 얻는것만큼은 기필코 막겠다는 넥슨의 의지가 보이는 발상이다. 심지어 그냥 9900원도 아니고 한달이 넘는 기간의 꾸준한 노가다가 있어야함에도!
그래도 건부스트 파츠 티어6만 박아줘도 A모드는 못해도 발당 1000부터 높게는 몇천까지는 뜨고, B모드 몸샷도 숙주좀비 하나 5초안에 잡을 딜은 나오기에 연사력이나 범위의 문제만 뺀다면 딜 자체는 상당히 무난하다고 볼 수 있다. 변이&파츠만 좋다면 적당한 2.5티어 수준의 무기. 좀비Z 모드 레벨 제한도 20이라 2군급 무기들과 경쟁하기에 적절하다.
여담으로 시즌 패스 최종 보상무기중 유일하게 S,S,S가 아니다. 그리고 2020/04/28 패치후 시즌패스 이벤트가 끝나면서 좀비Z 해금레벨이 20에서 22로 변경됐다

10.6. SCAR-OZ D


[image]
B
일반모드
S
좀비모드
S
시나리오모드
데미지
15
좀비 데미지
87 / 653
시나리오 데미지
216 / 798
명중률
88%
반동
83%
연사
90%
무게
81%
좀비 넉백
14%
좀비 경직
55%
가격
$8000
장탄수
45/90
특수 기능
[image]
구경
7.62mm
좀비Z 레벨 제한
20
시스템코드
y20s2scard
SCAR를 기반으로 양철로봇의 기술로 개발된 45발의 7.62mm탄을 사용하는 돌격소총으로 연사 시 발사속도가 빨라진다. 마녀의 힘을 담은 유탄발사기가 달려있어 장전없이 유탄 발사가 가능하다. 유탄은 생명체를 관통해 지나가 폭발하며 관통된 대상은 추가 피해를 입게 된다.※ 시즌6 보상 최종 무기 - 성장형 총기 SCAR 4단계※ 1 ~ 4 각 단계 별 무기를 획득해도 이전 단계의 무기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 교관 제라드가 사용 시 좀비 모드에서 유탄 성능 상승.

※ 상세 기능- 15발[16] 격발 시 유탄이 1발 충전된다. (최대 10발 초과 불가능)- 마우스 우클릭으로 유탄을 발사할 수 있으며, 유탄을 적을 관통한다. 관통한 유탄은 폭발하며 일반 20, 좀비 415, 시나리오 1000의 데미지를 입힌다.
- 폭발시점에 도착해 폭발한 유탄은 범위 내에 일반 30, 좀비 950, 시나리오 1500의 데미지를 입힌다.

※ 파츠 시스템 적용 가능 무기 ※
성장이 완료된 시즌6의 최종무기.일명 '''스카디''' 총기 전체에 뭔가 덕지덕지 많이 달려있는데, 총구에 소음기가 부착되어 있지만 소음 효과는 없고 도트사이트는 쓰지도 못한다. 가격은 무려 8000달러로 기존의 초월 돌격소총들을 아득히 뛰어넘는다.
좀비전 성능은 한 마디로 별로다. 애초에 한번에 강력한 데미지를 넣거나 끊임없는 누적딜로 좀비를 갈아버리는 현 메타에서 1대1. 그것도 견제밖에 하지 못하는 소총이 설 자리는 처음부터 없는 거나 다름 없었다. 총기 자체의 연사력은 매우 높지만, 명중률이 낮아 45발을 전탄 명중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실전에서 사용하기 까다로운 유탄의 성능 때문에 시즌 100레벨을 달성하여 얻게 되는 무기 치고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다. 또 45발을 모두 쏴야 유탄이 하나씩 충전되는데, 예비탄약까지 포함해 모두 사격해야 딱 최대치인 10발이 채워진다. 따라서 유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도 힘들다. 연사력+SCAR 특유의 반동+탄속을 가진 유탄+낮은 데미지가 시너지를 이루어 파츠를 달고 제라드 까지 장착해야 일반적인 9강 초월무기들을 아슬아슬하게 이긴다.
좋지 않은 평가가 자자해서 그런지 시즌패스 최종보상 무기 최초로 상향패치를 받았다. 유탄 차징 조건이 45발 격발에서 15발로 줄었고, 재장전 시간 소폭감소하였으며, 아머 관통률, 명중률, 유탄 탄속, 넉백범위, 폭발범위가 상향을 받았다.
출시 초기 버그로 인해 좀비시나리오 모드에서 유탄의 폭발 범위가 미친듯이 넓어서 좀비시나리오 킬 순위 1등을 먹었으나 패치로 수정되었다.[17]
대인전에서 무기의 성능을 보면 AB타입에 비해 피해량이 많이 감소되어있다. 과거 OP무기로서 하향을 받은 템페스트, 레이져 미니건 등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ABCD타입중 AB는 대인전에서 노방탄헤드 100피해를 초과시키고 방탄을 착용해도 두발에 제압하지만 CD타입은 뉴클래식무기에 비해 피해량이 다소 낮아 방탄 헤드샷 3발을 맞아야 사살한다. 좋지않은 반동덕에 그다지 쓸만하지 못한 무기로 취급되고있으며, 운영진이 AB타입과 CD 타입을 각각 대인전과 좀비전으로 용도를 세분화 하려고 했음이 추측된다.
뉴클래식 유저들이 매우 실망하게 만든 무기이다. 애초에 뉴클래식 모드가 밸런스도 어느정도 맞출 겸, 현실에 있는 무기들[18]이 있는 무기인데, 스카 오즈D는 절대 그런 무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당장 과거에 출시되었던 오즈의 마법사 시리즈 무기들도 뉴클래식에서 못쓰는 무기들인데, 이번 오즈의 마법사 시리즈는 뉴클래식에서 쓸 수 있다.

10.7. 티아맷 MK.4



10.8. 베어 퓨리 MK.3


일명 짭퓨리/짭라퓨. 라이트닝 퓨리의 시즌패스 짭무기다. 좌클릭은 무난하게 적을 추적하는 공격을 한다. 적을 알아서 추적하므로 대충 마우스만 갖다대도 맞는다. 리치는 대략 8m 정도로 원본과 별 차이가 없다. 또한 30발을 소모하면 차징되던 원본과 달리 두배인 60발을 소모해야 한다. 이에 따라 탄 소모가 심해졌고 제트팩을 남발하기 어려워졌다. 핵심인 제트팩은 출력이 미세하게 약하나 다른 스펙처럼 아주 큰 차이까지는 나지 않는다. 적당히 수긍할만한 수준.
결론적으로 라이트닝 퓨리의 핵심이었던 제트팩 성능은 거의 비슷하고, 더욱이 이쪽은 파츠 지원무기라 스피드업 파츠로 차별화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기동성 면으로 보자면 하나 있어서 절대 나쁘지는 않은 무기.
[1] 이는 표기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 경직은 거의 없다시피 한다.[2] 레벨 6과 같은무기인 M950보다 공격력은 좋지만 연사력이 문제 다 하지만 여기서 운빨 실험때문에 이거 쓰는사람들도 있다.[3] 이거는 서든에도 같은 죽음이다 수류탄은 잘못하면은 바로 죽기때문에 조심히 해야한다.[4] 상향은 최초지만 하향은 RPG-7이 최초[5] 또한 유저들이 이번 패치에 제일 환호 한것은 카스 최초로 업데이트 내용이 2페이지 라서 그렇다 1개는 이벤트 또 1개는 패치 [6] 추적:디코이에서 디코이 작동 방어구간이나 추적:마지막 비행에서 통신장비 보호구간 등. 모두 상점 구간은 있지만 구석탱이에 박혀 있어서 그냥 우클릭+H 눌러놓고 중보스 나오기 전까지 신경끄면 되는 듀베건보다 손이 많이 들어가는 편.[7] 당시 유저들이 추천했던 상품획득 우선순위가 '(에독기에서 못뽑았을 경우) 궁니르 > 홀소 > 매런 >>>>> 듀베건 >>>>> (넘사벽) >>>>> 비밀결사대 5명' 정도였다. 듀베건은 윈드라이더로 충분히 대체 가능하니 우선도에서 크게 밀린 것이다.[8] 처음 패치 공지사항에서 게볼과 비슷한 형상의 무기라는것이 밝혀진 후에는 '안그래도 현 메타에 따라가지 못하고 폭탄점프라는 장점밖에 없는 게볼의 마이너를 내놓다니 시대착오적이다.' 라는 비판이 가득했으나, 실제로 나온 무기는 6강 게볼탄환을 3발씩 뱉어대며 3단 점프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발굴되면서 이건 꼭 얻겠다는 반응이 상당수 나왔을 정도다.[9] 탄환 3발을 쏘고 왼팔이 나무 말뚝 탄환을 집으려고 스팅어의 수직손잡이에서 떨어지는 모션일때 재장전이 끝났다. 최대한 게이볼그와 비슷한 파란 탄환 수준의 편의성을 주려는 의도였다고 생각했지만, 그냥 버그였던듯.[10] 지금도 1발 쏘고 스왑하는식으로도 게볼처럼 운용하는건 가능하지만 3발이라는 장탄수에 무조건 전탄발사된다는 이상한 매커니즘때문에 한계가 있다. 그나마 파란 탄환 수준의 편의성이 있던 리로드 시간에 손댈거 같으면 연사속도는 지금과 똑같되, 끊어쏠 수 있는 자동사격 방식으로 내놨어야 했고, 그렇게 해도 딱히 밸붕도 아니고 비주얼도 위화감이 없다.[11] 이 시즌부터 시즌패스 최종무기에 파츠 가 달리기 시작했다.[12] 건부 6티어 장착 시 화타의 약 80% 화력이 나온다.[13] 사실 시즌 초월 클래스의 천장(못해도 '''10만원''' 가량)을 생각하고 좀비 PVP모드의 성능을 생각하면 가성비는 좋은 편이다.[14] 일단 영신을 셀렉했을 때, 직격데미지의 유의미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투사체 갯수가 많아졌으니 스플래시 데미지 증가가 있을수는 있다.[15] 사실 홀드업보다는 이런걸 달아서 매런과 차별화시키는게 답이다. 홀드업은 비추천한다. 이걸 달면 데미지를 복구하는 효과도 별로 없고, 고스트 나이트와 달리 경직 증가의 효과도 별로 받지 못하는데다가 진짜 빼도박도 못하는 하위호환이기 때문.[16] 상향 패치 전에는 45발[17] 폭파범위가 생존:함정 맵의 크기보다 더 넓었다.[18] 물론 뉴클래식 무기들이 전부 현실에 있는 무기는 아니지만, (예: 버닝 AUG ) 대체로 현실에 있을 법한 무기들로만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