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궁

 





天宮
중국어: 天宮(톈궁)[1]
한국어: 천궁
영어: Tiangong program
1. 개요
2. 톈궁 프로젝트의 목표
3. 성과
4. 시리즈
4.2. 톈궁 2호
5.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1. 개요


톈궁(天宮)은 중국의 실험용 우주 정거장으로, 2011년 9월 29일 처음 발사되었다. 현재 궤도상에 떠 있는 우주 정거장은 ISS와 톈궁 시리즈뿐이다. 운영기관은 중국의 우주기구중국 국가항천국(CNSA)이며, 계획은 1992년 시작된 921공정의 일환이다. 선저우 계획도 공정의 하나에 해당한다. 10년 뒤인 2003년 유인 우주선 선저우 5호를 발사하여 결실을 맺었고, 2008년에는 선저우 7호에서 유인유영에도 성공했다.
톈궁 계획은 이의 연장으로서 '''중국 독자의 우주정거장'''을 세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험용으로 발사한 것이 바로 톈궁 1호이다. 톈궁1호는 길이 10.4m, 최대 직경 3.35m, 무게 8.5t으로 실험 모듈과 동력을 제공하는 2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실험용으로서 톈궁 1호는 추후 발사될 우주선과의 도킹 연습을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으로 이곳에서 실험 및 우주인의 중ㆍ장기 체류는 이뤄지지 않는다.
이 실험을 위해 11월 1일 무인 우주선 선저우 8호를 발사해 11월 2일 첫 도킹에 성공하였다. 11월 14일에는 일단 도킹을 풀고 분리했다가 재 도킹하는데도 성공하였다.
2012년 6월 16일에는 3명이 탑승한 유인 우주선 선저우 9호가 발사되어 6월 18일 톈궁 1호와 도킹에 성공하였으며, 13일간 궤도상에 체류하며 톈궁 1호의 기능을 점검하고 귀환하였다. 그리고 2013년 6월 25일 도킹을 해제하고 6월 26일 내몽골로 귀환한 선저우 10호 팀을 끝으로 중국은 당분간 유인 우주선 발사를 보류하였다. 2016년에 톈궁 2호가 발사될 예정이고, 톈궁 2호가 자리를 잡으면 선저우 11호도 우주인들을 태우고 발사될 것이다. 다만 톈궁 1호의 운명에 대해서는 다소 불투명해서, 많은 정보가 나온 것은 아니지만 대기권 재돌입이 유력하다. 사실 중국이 스페이스 셔틀의 기능을 가진 회수용 우주선이 있는 것도 아니라 언젠가는 재돌입할 운명이지만, 조기에 재돌입을 실시할지 그냥 방치하다가 재돌입할지는 미지수. 옛날 미국스카이랩처럼 그냥 냅두다가 상황 봐서 이래저래 써먹을[2] 가능성도 상존한다.

2. 톈궁 프로젝트의 목표


[image]
텐궁 프로젝트 최종 모델인 텐궁-3 조감도.[3]
2011년 미국 국회가 중국과 미국간의 우주개발 협력을 금지하고 국제우주정거장을 중국이 이용하는 것을 금지하였기 때문에, 중국은 우주정거장 운용의 노하우를 터득하고 궁극적으로는 2020년까지 ISS와 같은 대규모 우주정거장을 중국 독자적으로 운영할 목적으로 톈궁 프로젝트를 개시하였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은 2016년부터 정식 우주정거장 모듈을 우주로 차례로 쏘아 올려 2020년 무렵부터 미국, 러시아가 주도하는 국제우주정거장과 별도의 독자적인 우주정거장을 운영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image]
왼쪽이 톈궁1호 우주 정거장, 오른쪽이 선저우 8호. 그리고 중앙에 우주선 여러 대가 도킹한 모듈체는 바로 중국이 궁극적으로 건설하려는 텐궁-3.

3. 성과


2000년대 초반까지 중국은 발사체 기술이나 우주공학 면에서 유럽이나 일본의 한수 아래라고 생각되어 왔으나, 단 10년 동안 미국-러시아에 이은 세계 3위로 발돋움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중국 내 일부에서는 중국이 미국을 좇아 거창한 임무에 자원을 쏟아 부을 때 인도는 외국 위성 발사 대행이나 기상 관측과 같은 현실적인 부문에 집중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중국 내에서는 꾸준히 인도의 우주기술을 저평가 해왔기 때문이다. 텐공 우주정거장 인민일보(人民日報)의 영문 자매지 글로벌 타임스는 2017년 2월 사설에서 "인도의 우주 기술은 아직 미국과 중국에 뒤처지며 완전한 체계를 구축하지 못했다"면서 인도 로켓엔진은 대규모 우주탐사를 할 정도는 아니며 사람을 우주에 보낸 적이 없고 우주정거장 계획은 아직 시작하지 않았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세계경제포럼(WEF)에 따르면 2017년 중국의 우주예산은 61억 달러로 미국(393억 달러)에 이어 세계 2번째로 많다. 인도는 12억 달러로 중국의 5분의 1 수준이다. 인도우주연구기구의 시반 소장은 "인도의 우주정거장은 중국처럼 클 필요는 없다"며 "총 20t 정도 무게로 극미중력(인력이 거의 없는 우주 궤도의 상태)을 연구하게 된다"고 응수했다.

4. 시리즈



4.1. 톈궁 1호



2011년 9월 29일에 발사되어 2018년 4월 2일까지 활약하였다.

4.2. 톈궁 2호


[image]
톈궁 2호 모형. 왼쪽이 선저우 우주선, 오른쪽이 톈궁 2호.
2016년 9월 15일 주취안 우주기지에서 톈궁 2호가 발사되었다. 톈궁 1호와는 달리, 2호는 장기체류를 목표로 만들어졌다. 위의 1호와 2호의 두 사진을 비교해보면 선저우의 크기 비교로 톈궁 2호가 1호보다 훨씬 커졌음을 알 수 있다.
[image]
창정 2F 발사체로 발사되었으며, 2016년 10월 17일에 발사될 선저우 11호와 도킹해서 우주인들이 이곳에서 30일간 지낼 예정이라고 한다. 이것을 토대로 2020년 독자적인 우주 정거장을 본격적으로 운용한다고.
ISS의 운영자금을 상당부분 부담하는 NASA가 2028년에 자금지원을 중단하겠다고 공언했지만. 미국이 우주정거장을 하나도 운영하지 않을 건 아니다. 국제우주정거장 시즌 2로 달 궤도를 도는 루나 게이트웨이를 건설할 예정이기 때문에 톈궁이 유일한 우주정거장이 될 일은 없다.
톈궁 1호와 마찬가지로 텐궁 2호도 수명이 다 되어 2019년 7월 18일 대기권으로 낙하되어 폐기되었다.

5.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2013년에 나온 영화 그래비티에서 톈궁 우주 정거장과 선저우 캡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론 여기서 나온 선저우는 무늬만 선저우지 사실상 소유즈와 같게 묘사되었지만...
심연의 하늘에서는 인터스텔라의 인듀어런스 호랑 유사하게 묘사되었다.
문명: 비욘드 어스의 팩션 문명: 비욘드 어스/범 아시아 협력체의 수도 티안공(Tiangong)이 여기서 유래했다.
갈로아 작가의 웹툰 오디세이에서도 등장한다 주인공 성은하의 남자친구 한성운의 임무 배경으로 등장한다.

[1] "하늘의 궁전" 이라는 뜻. 중국신화에서는 남편 를 배신한 천녀 '항아'가 옥황상제의 노여움을 받아 추한 두꺼비로 변해 달의 궁전에 갇혀 있다고 한다. 중국의 무인 달탐험 로버가 바로 옥토끼전설을 인용한 위투(玉兎:옥토)옥토끼 호다.[2] 스카이랩의 경우 NASA에서 우주왕복선을 발사하여 고도를 되돌린 후 계속 써먹는다는 복안이 있었으나 우주왕복선 개발이 늦어지면서도 NASA에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으며 끝내 재돌입했다.[3] 미르와 꽤 닮아서 중국이 러시아 기술을 도입해서 만든게 아닌가 하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으나 실제 톈궁은 미르의 컨셉은 따왔지만, 중국이 독자개발한 것이다. 사실 우주기술은 전략기술이기 때문에 아무리 비싼 값을 불러도 이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