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톤치드

 


1. 개요
2. 상세


1. 개요


식물로부터 방산(放散)되어 주위의 미생물 등을 죽이는 작용을 하는 물질의 총칭. 1930년 소련의 보리스 페트로비치 토킨이 마늘의 알리신 성분이 살균 및 방충 작용을 하는 것을 보고 이 단어를 만들었다.

2. 상세


1980년대 일본에서 산림욕 열풍과 함께 유행했고, 한국에서는 1984년경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1] 다만 대중적으로 알려진 것은 1996년부터이다. 이 과정에서 본래 의미와 약간 달라졌는데, 침엽수에서 분비하는 테르펜계 화합물, 특히 알파피넨과 베타피넨을 가리키는 단어로 의미가 좀 축소된 감이 있다.[2]
러시아 정확하겐 소련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단어라 그런지 한국, 일본에 비해 기타 서구권에선 인지도가 높지 않은 단어다. 영미권에서는 그냥 '테르펜'(터핀)이란 단어를 주로 사용한다.
소나무, 편백나무, 잣나무침엽수에 피톤치드 발산량이 많은 편이라고 한다. 송진으로 대표되는 수지(樹脂) 성분을 이루는 물질 중 하나가 바로 피넨이기 때문이다.
프로폴리스꿀벌이 피톤치드 성분을 모아서 응축한 것이다.

[1] 정확히 어떤 경로로 해당 단어가 유입되었는지 알 수 없다. 대한민국에서 '피톤치드'란 표현이 처음으로 언급된 매체는 1984년 3월 7일자 조선일보의 건강 코너이다.[2] 사실 피톤치드 혹은 산림욕이란 말 자체가 학술 용어적 의미와 일반인들이 인식하는 의미간 간극차는 좀 있다. 해당 문서에선 미생물 살균이나 방충 작용 등을 설명하고 있지만, 사실 일반인들은 살균 이런 것보다 그냥 식물에서 뿜어내는 몸에 좋은 것 정도로 인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피톤치드도 원체 종류가 다양해 인체에 이로운 것 유해한 것이 따로따로 있을 수 있는데 무조건 좋은 것처럼 홍보한다며 우려를 표하는 학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