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음운 변동
1. 개요
음운의 변동이란 음운의 형식이 바뀌는 현상으로,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즉, 발음의 경제성 때문에 음운의 변동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음운의 변동의 종류에는 교체, 축약, 탈락, 첨가, 도치 등이 있다.
교체는 AB→AC, 축약은 ABC→AD, 첨가는 AC→ABC, 탈락은 ABC→AC, 도치는 ABC→ACB와 같은 변동을 말한다.
연음[1] 은 음운이 바뀌는 현상이 아니므로 음운 변동에 속하지 않는다.
2. 교체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경음화(된소리되기) 등이 있다.
2.1.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자음이 음절의 끝에 올 때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중 한 가지로만 발음되는 현상.[2][3] '그녀다리만보여', '가느다란물방울' 등으로 암기하곤 한다.[4]
예) 꽃잎 → [꼳닢] → [꼰닙], 부엌 → [부억], 케잌 [케익], 갓 [갇], 있다 [읻따][5] , 빚 [빋], 꽃 [꼳], 뭍 [묻], 히읗 [히읃], 숲 [숩]
- ㄱ, ㄲ, ㅋ: [ㄱ]
- ㄴ: [ㄴ]
- ㄷ, ㅌ, ㅅ, ㅆ, ㅈ, ㅊ, ㅎ: [ㄷ]
- ㄹ: [ㄹ]
- ㅁ: [ㅁ]
- ㅂ, ㅍ: [ㅂ]
- ㅇ: [ㅇ]
착각하기 쉬운 점으로는, 쌍자음은 하나의 음운이기 때문에 'ㄲ'이 'ㄱ'으로, 'ㅆ'이 'ㄷ'으로 바뀌는 것은 음운 개수에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 교체라는 것이다. 즉, 다시 말해서 '맑다 → [막따] '는 탈락의 자음군 단순화에 속하여 받침의 음운 개수가 2개에서 1개로 줄지만 '깎다→ [깍따]' , '있다→ [읻따]'는 교체의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속하여 음운 개수가 1개에서 1개로 바뀌지 않는 것이다.[7]
2.2. 자음동화
2.2.1. 비음화
'ㄱ, ㄷ, ㅂ'이 'ㄴ, ㅁ' 앞에서 각각 동일한 조음 위치의 비 파열음인 'ㅇ, ㄴ, ㅁ'으로 바뀌는 현상(역행 비음화)
예) 막는[망는], 받는다[반는다], 잡는다[잠는다]
'ㄹ'이 'ㅇ, ㅁ' 뒤에서 'ㄴ'으로 바뀌는 현상(순행 비음화)
예) 종로[종노], 남루[남누]
그리고 골때리게도 위 두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도 있는데 'ㄱ, ㅂ'은 'ㄹ' 앞에서 'ㅇ, ㅁ'이 되고 'ㄹ'은 'ㄴ'이 되는 현상이다.(상호 비음화)
예) 섭리[섬니], 백로[뱅노], 왕십리[왕심니], 속리산[송니산]
2.2.2. 유음화
'ㄴ'이 'ㄹ'의 앞 또는 뒤에서 설측음인 'ㄹ' 로 바뀌는 현상[8]
예) 신라[실라] , 난로[날로] , 칼날[칼랄]
2.3. 모음 동화
전설 모음 'ㅣ'의 영향을 받아 후설 모음 'ㅏ, ㅓ, ㅗ, ㅜ'가 전설 모음 'ㅐ, ㅔ, ㅚ, ㅟ'로 변하는 것. 표준어로 정한 것 외에는 비표준 발음이다.
비표준 발음의 예시: 아기 → [애기], 고기 → [괴기], 죽인다 → [쥑인다] 등
표준어로 인정된 것: 남비 → 냄비, 풋나기 → 풋내기 등
2.4. 구개음화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또는 반모음 'j'를 만나서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
예) 같이[가치], 굳이[구지], 굳혀[구쳐][9] , 밭이[바치]
이때 시험 문제로 잘 나오는 것이 모음 'ㅣ'는 형식 형태소 또는 그의 일부라는 것인데 이 말인즉슨 모음 또는 반모음 'j'는 언제나 실질적인 뜻이 없는 조사나 접사 또는 그의 일부라는 것이다. ('같이'의 '이'는 부사화 접미사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예로,
'밭이랑'의 경우 "밭이랑 논이랑 총 합해서 얼마요?"처럼 '이랑'이 조사로 쓰일 때에는 [바치랑]으로 발음하지만,
'밭이랑에 씨를 뿌려라'처럼 '이랑'이 고랑의 반댓말로 실질적인 뜻이 있는 명사로 쓰일 때에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고 밭이랑→[받니랑]→[반니랑](음절의 끝소리 규칙, ㄴ 첨가, 비음화가 모두 일어난다.)으로 발음한다. '홑이불[혼니불]'도 마찬가지이다.
2.5. 경음화
된소리되기. 평음(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가 경음(된소리) 'ㄲ, ㄸ, ㅃ, ㅆ, ㅉ'가 되는 것이다.
평음 'ㄱ, ㄷ, ㅂ, ㅅ, ㅈ'가
1. 받침 'ㄱ, ㄷ, ㅂ' 뒤에 올 때[10]
예) 닫고→[닫꼬], 잡다→[잡따]
2. 어간 받침 'ㄴ, ㅁ' 뒤에 올 때[11]
예) 안고→[안꼬], 신지→[신찌], 담다→[담따]
3. 한자어 받침 'ㄹ' 뒤에 올 때[12]
예) 갈등→[갈뜽], 발전→[발쩐]
4. 관형사형 전성 어미 'ㄹ' 뒤에 올 때
예) 먹을 것→[머글껃]
일어날 수 있다.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은 매우 다양한데, 그 예시 중 하나가 자음 충돌 회피이다. 자음 충돌 회피 관련 내용은 어미 문서의 '충돌 회피' 문단 참고.
예) 묻다[묻따]
단어와 단어가 결합하는 경우에도 일어난다.#
예) 등불[등뿔], 봄바람[봄빠람], 논둑[논뚝], 봄비[봄삐], 안방[안빵]
3. 축약
두 음운이 합쳐져서 새로운 하나의 음운이 되는 현상.
3.1. 자음 축약
격음화(거센소리되기) 등이 있다.
격음화란 'ㅎ'과 'ㄱ,ㄷ,ㅂ,ㅈ'이 결합하여 각각 'ㅋ,ㅌ,ㅍ,ㅊ'으로 되는 현상이다.
다만 서남 방언과 영동 방언에서는 이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ㅎ'이 그냥 탈락한다.
예) 국화[구콰], 맏형[마텽], 법학[버팍], 앉히다[안치다], 압해읍[아패읍], 밥하다[바파다], 육학년[유캉년]
서남 방언 및 영동 방언에서의 자음 축약) 밥하다[바바다], 육학년[유강년]
3.2. 모음 축약
두 모음이 하나의 모음으로 축약되는 현상이다. 학교 문법에서 기본적으로는 축약으로 분류하나 단모음이 반모음으로 바뀌는 교체로 볼 수도 있다고 부가적으로 설명한다.[13] EBS 수능특강 등에서 교체로 보는 관점을 취한 제시문과 문제를 제시하는 경우가 있어서 혼란스러워하기도 한다.#
ㅣ + ㅓ, ㅐ → ㅕ, ㅒ
예) 그리- +- 어 = 그려, 이+애 =얘
ㅏ,ㅓ,ㅗ,ㅜ,ㅡ + ㅣ → ㅐ,ㅔ,ㅚ,ㅟ,ㅢ
예) 뜨- + -이다 = 띄다, 미루- + -어 = 미뤄
ㅗ+ㅏ → ㅘ
예) 보- + -아 = 봐
ㅜ, ㅚ + ㅓ → ㅝ, ㅙ
예) 주- + -어 = 줘, 되- + -어 = 돼
4. 첨가
없던 음운이 생겨나는 현상. 'ㄴ' 첨가와 반모음 첨가 등이 있다.
4.1. ㄴ첨가
ㄴ첨가란,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으로 끝나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ㅣ, ㅑ, ㅕ, ㅛ, ㅠ' 로 시작될때 'ㄴ'이 첨가되는 현상이다.
예) 식용유[시굥뉴], 솜이불[솜니불]
4.2. 반모음 첨가
반모음 첨가란 모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반모음 'ㅣ'가 덧붙는 현상으로, 표준 발음법에서는 이 현상이 일어나지 않은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고, 일부 용언에 한해 반모음 첨가가 일어난 발음을 허용하고 있다.
예) 피어 → [피여/피어], 되어 → [되여/되어]
다만 북한 문화어에서는 아예 반모음이 붙는 발음을 표준으로 하고, 이를 아예 표기에도 반영하였다.
예) 피여/피였다, 되여/되였다, 헤염치다
5. 탈락
있던 음운이 탈락하는 현상. 자음군 단순화, 자음 탈락, 모음 탈락 등이 있다. 자음군 단순화는 예전에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으로 같이 가르쳤으나 현재는 탈락으로 대분류가 달라지면서 분리해서 가르친다.
5.1. 자음군 단순화
음절의 끝에 두 개의 자음이 올 때, 이중에서 한 자음이 탈락하는 현상이다. 표준 발음에서는 기본적으로는 두 개의 자음 중 앞엣것이 남고 뒤엣것이 탈락한다고 할 수 있고, 겹받침의 종류나 단어에 따라 앞엣것이 탈락하고 뒤엣것이 남는 경우도 있다.
1.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ㄴ, ㄹ, ㅂ]으로 발음한다.
예) 삯[삭], 앉다[안따], 여덟[여덜], 값[갑]
단,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고,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예) 밟다[밥따],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2.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예) 닭[닥], 삶[삼], 읊다[읍따]
단,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 맑고[말꼬]
5.2. 자음 탈락
'ㄹ' 탈락, 'ㅅ' 탈락, 'ㅎ' 탈락 등이 있다.
ㄹ 탈락: 합성/파생/활용 시 'ㄴ, ㅂ, ㅅ, ㅗ' 앞에서 탈락한다.[14]
예) 딸 + 님 → [따님], 울- + -는 → [우는]
ㅅ 탈락: ㅅ 불규칙 용언에서 나타난다.
예) 짓- + -어 → [지어], 긋- + -어 → [그어]
ㅎ 탈락: 용언 어간 말음 'ㅎ'이 모음 어미 앞에서 탈락한다.
예) 좋은[조은], 넣어도[너어도]
5.3. 모음 탈락
'ㅡ' 탈락
예) 예쁘- + -어서 → [예뻐서]
동일 모음 탈락
예) 가- + -았다 → [갔다]
[1] '어린이'가 '어리니'로 발음되는 것처럼, 앞 음절의 끝 자음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뒤 음절의 초성으로 이어져 소리 나는 것.[2] 조선 초까지는 ㅅ 말음이 ㄷ 말음과 다르게 발음되었기 때문에 8종성이었다.[3] 8종성법과 헷갈려선 안 된다. 8종성법은 중세 한국어에서 받침을 '표기'하는 방식에 대한 것이지, 발음과는 상관이 없다.[4] 초성의 'ㅇ'은 종성의 'ㅇ'과 달리 음가가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초성의 'ㅇ'에 대한 오해가 생길 우려가 있다.[5] 읻따 의 따 부분은 경음화에 의해 변한 것이다. 경음화 문단에서 후술한다.[6]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받침. '값'에서의 받침 'ㅄ' 등.[7] '다→따'는 교체의 된소리되기에 속한다[8] 다만 'ㄴ'이 'ㄹ'의 앞뒤에서 항상 'ㄹ'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한자어의 경우 'ㄹ'이 'ㄴ'으로 바뀔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의견란'이 '의:견난'으로, '임진란'이 '임:진난'으로 바뀌는 것이 있다.[9] 굳혀->구텨(격음화)->구쳐(구개음화)[10] 나무위키에서는 자음동화의 일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1] 어간 받침이 아닌 'ㄴ, ㅁ' 뒤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신발을 신고'에서 동사 '신다'의 활용형인 '신고'는 어간 + 어미 구성이 맞고 실제로 표준 발음도 '신:꼬'지만, 명사 '신고(申告)'는 된소리되기가 일어나지 않은 '신고'가 표준 발음이다.[12] 해당 한자의 받침 'ㄹ'이 과거에 'ㄷ' 받침이었던 흔적이다.[13] 문법 교육이 단순히 특정 관점을 암기하는 것이 아닌, 언어 현상을 자세히 관찰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타당한 관점으로 설명하는 것을 더 중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는 축약으로 분류해서 혼란을 더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14] '싸전'과 '쌀집'을 비교해 보면 합성어나 파생어에서의 'ㄹ 탈락'은 과거에는 존재했지만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