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韓國天文硏究院'''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image]
'''CI'''
[image]
'''휘장'''
'''설립일'''
1974년 9월 13일,(국립천문대),
'''소재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76
'''기능'''
''천문학·우주과학에 대한 종합연구
대형 관측시설의 운영 및 기기개발
우주환경감시기술개발사업 수행
역법·표준시의 관리 등 국가천문업무의 수행
대국민 천문지식 및 정보 보급사업
정부, 민간, 법인, 단체 등과 연구 개발 협력''
'''예산'''
576억 원,(2016),
'''링크'''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
'''관련기관'''
천문우주지식정보 우주환경감시기관
1. 개요
2. 연혁
3. 연구분야 및 연구시설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


[image]
'''한국천문연구원 청사'''
천문우주과학의 연구개발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확산하여 천문우주과학의 국가적 발전을 목적으로 설립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영문약칭은 '''KASI'''이며, 일반적으로 '''천문연'''이라는 약칭을 사용한다.

2. 연혁


1974
국립천문대 설립
1978
소백산천체관측소 준공
1985
대덕전파천문대 준공
1986
ETRI 부설 천문우주과학연구소로 직제 개편
1993
한국표준연구원 부설 천문대로 개편
1996
보현산 천문대 준공
1999
독립법인 한국천문연구원으로 재출범
2003
레몬산 천문대 준공
원자외선우주분광기(FIMS)개발 및 과학위성 1호 탑재
2006
국제 위성항법시스템관측망(IGS)
글로벌 데이터센터 공식 운영
2009
거대마젤란망원경(GMT) 국제공동개발 참여
2011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완성
2013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OWL) 사업시작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MIRIS) 과학위성 3호 탑재
2014
외계행성탐색 시스템(KMTNet) 구축

3. 연구분야 및 연구시설


[image]
'''한국천문연구원 본원'''[1]
  • 광학천문
    • 은하진화
    • 변광천체
    • KMTNet
    • 보현산 천문대
    • 레몬산천문대
    • 소백산천문대
    • K-GMT
  • 전파천문
  • 우주과학
    • 우주천문
    • 우주측지와 역법
    • 우주측지용레이저추적시스템(SLR)
    • 태양우주환경
    • 달 및 행성과학
  • 이론천문
출처

4. 여담


  • 우주환경[2]을 감시하는 업무를 수행중이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국립 우주환경감시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천문우주 관련 지식 접근이 쉬우면서 홈페이지 디자인도 수려하고 문서의 양이 방대해, 천문학 입문가들에게 호평을 받는 편.
  • 잘 모르고 넘어가지만, 달력의 제작 관리와 표준시의 결정·관리를 천문연에서 한다. 매년 3월월력요항이라고 하면서 보도자료를 뿌린다. 이 보도자료 첨부자료에 양력, 음력, 24절기, 기념일 등을 반영한 다음 해의 달력 시안을 잡아준다. 대한민국에서 달력을 만들 때는 이 한국천문연구원의 월력요강을 따른 달력을 만들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해당 출판사에 과징금을 부과하는 등의 제재를 한다. 2006년 새해윤초를 도입할 때에도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 매년 천체사진공모전을 개최하는데, 사진, 그림, 동영상 부문이 있다. 당선작은 과학동아, 동아일보,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에 게시된다. 아마추어 천문인들에게 인기가 많다.
[image]
  • 블랙홀의 영상을 최초로 공개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EHT(Event Horizon Telescope)에서 촬영한 자료를 보정(calibration)하고 영상화(imaging)하는 데 세계 유수의 기관들과 함께 참여하여 주목받기도 하였다. 이 프로젝트에는 천문연의 연구원을 포함하여 총 10명의 한국인[3]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관련 문서



[1] 비석의 문장은 '''《우리는 우주에 대한 근원적 의문에 과학으로 답한다》''' [2] 태양풍, 델린저현상, 우주선 파편의 추락 등 지구와 직접적으로 유관한 천체 현상들[3] 국내 연구기관에 종사하는 연구원 8명, 해외 연구기관에 종사하는 연구원 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