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학교/ERICA캠퍼스/학부

 





1. 학과 편제
1.1. 공학대학
1.1.1. 기계공학과
1.1.2. 로봇공학과
1.1.3. 산업경영공학과
1.1.4. 전자공학부
1.1.5. 컴퓨터공학과
1.1.6. 재료화학공학과
1.1.7. 생명나노공학과
1.1.8. 건축학부
1.1.9.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1.1.10. 교통물류공학과
1.1.11. 국방정보공학과
1.1.12. 융합공학과
1.1.13. 스마트융합공학부
1.2. 소프트웨어융합대학
1.2.1. 소프트웨어학부
1.2.2. ICT융합학부
1.2.3. 인공지능학과
1.3. 약학대학
1.3.1. 약학과
1.4. 과학기술융합대학
1.4.1. 응용수학과
1.4.2. 응용물리학과
1.4.3. 화학분자공학과
1.4.4. 분자생명과학과
1.4.5. 해양융합공학과
1.4.6. 나노광전자학과
1.5. 국제문화대학
1.5.1. 한국언어문학과
1.5.2. 문화인류학과
1.5.3. 문화콘텐츠학과
1.5.4. 중국학과
1.5.5. 일본학과
1.5.6. 영미언어문화학과
1.5.7. 프랑스학과
1.6. 언론정보대학
1.6.1. 정보사회미디어학과
1.6.2. 광고홍보학과
1.6.3. 신문방송학과
1.6.4. 정보사회학과
1.7. 경상대학
1.7.1. 경제학부
1.7.2. 경영학부
1.7.3. 보험계리학과
1.7.4. 회계세무학과
1.8. 디자인대학
1.9. 예체능대학
2. 특성화 학과
2.1. 레인보우 학과
2.2. 수도권 대학 특성화 사업
2.3. 프라임학과
3. 전공 제도
3.1. 융합전공
3.2. 연계전공


1. 학과 편제


2019년 현재 9개 단과대학, 46개 학과로 이루어져 있다.
한양대학교 ERICA 특성화 학과(레인보우학과, 프라임학과)는 다음과 같은 색상으로 표시한다.
레인보우학과: 생명나노학과, 로봇공학과, 국방정보공학과, 분자생명과학과, 문화콘텐츠학과, 광고홍보학부, 보험계리학과. (총 7개 학과)
프라임학과[1] : 화학분자공학과, 해양융합공학과, 나노광전자학과, 소프트웨어학부, ICT 융합학부 (총 5개 학과)
''' 공학대학 '''
''' 약학대학 '''
''' 과학기술융합대학 '''
-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건축공학전공)
- 건설환경공학과
- 교통물류공학과
- 전자공학부
- 재료화학공학과
- 기계공학과
- 산업경영공학과
- 생명나노공학과
- 로봇공학과
- 융합공학과
- 국방정보공학과
-스마트융합공학부
(소재부품융합전공, 로봇융합전공, 스마트ICT융합전공, 건축IT융합전공)
- 약학과
- 응용수학과
- 응용물리학과
- 분자생명과학과
- 화학분자공학과[2]
- 해양융합공학과[3]
- 나노광전자학과[4]
''' 국제문화대학 '''
''' 언론정보대학 '''
''' 경상대학 '''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2017년 신설) '''

- 한국언어문학과
- 문화인류학과
- 문화콘텐츠학과
- 중국학과
- 일본학과
- 영미언어문화학과
- 프랑스학과
- 광고홍보학부
(광고전공, 홍보전공)
- 신문방송학과
-정보사회학과
- 정보사회미디어학과
- 경제학부
- 경영학부
- 보험계리학과
- 회계세무학과
- 소프트웨어학부
(컴퓨터전공[5], SW전공)
- ICT 융합학부
(미디어텍전공, 컬쳐텍전공, 디자인텍전공)
''' 디자인대학 '''
''' 예체능대학 '''
- 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 서피스인테리어디자인학과
- 테크노프로덕트디자인학과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엔터테인먼트디자인학과
- 스포츠과학부
(스포츠문화전공, 스포츠코칭전공)
- 생활무용예술학과
- 실용음악학과
2016년 프라임사업 선정에 따라 학과 편제 변동이 있을 것이다. 통폐합되는 학과는 없다.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이 새로 생기며, 컴퓨터공학과가 소프트웨어학부 컴퓨터전공으로 개편된다. ICT융합학부가 기존 인문계 학과와 컴퓨터공학과의 협력으로 만들어진다. 과학기술대학은 과학기술융합대학으로 변경되며, 학과별 명칭 수정이 있다.
프라임학과로 소프트웨어학부, ICT융합학부, 나노광전자학과, 화학분자공학과, 해양융합공학과가 선정되었다. 하지만 프라임 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2019학년도 신입생부터는 반액 장학금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모집요강에도 장학금은 레인보우 학과만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오나, 홈페이지 프라임 학과의 혜택란에는 아직까지 장학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오는데 이것은 잘못 된 정보이다.
2019년 조기취업계약학과 스마트융합공학부가 신설되었다. 소재부품융합전공, 로봇융합전공, 스마트ICT융합전공, 건축IT융합전공. (총 4개 전공) 학생들은 한국장학재단 희망사다리 장학제도를 통해 1학년 전액 장학금, 2~3학년 반액 장학금과 3년간 매 학기 200만원의 취업 장려금을 지원 받는다.
법학대학은 1983년 개설된 후, 1998년 서울캠퍼스와 통폐합되면서 사라졌다. 경상대 앞에 법대 기념비가 남아있다.[6] 국제문화대학 독어독문학과 역시 1980년 개설된 후, 2008년 서울캠퍼스의 독어독문학과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1995년부터 96년까지 당시 안산캠퍼스에 한의과대학 한의예과를 신설하고자 교육부에 정원 조정 신청서를 제출 하였으나, 끝내 신설하지 못했다.

1.1. 공학대학



공학을 교육, 연구하는 단과대학으로 서울캠퍼스에 공과대학이 있다면, ERICA캠퍼스에는 공학대학이 있다. 즉 단과대학 명칭이 다르다.

미국 일리노이공대(IIT)[7]와 복수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는 한양대 ERICA에서 2년, 일리노이공대에서 2년을 수학하면 두 대학의 학사 학위를 모두 받을 수 있는 과정으로, 매년 30~50명을 선발한다.
그리고 미국 드렉셀 대학교(Drexel University)와 글로벌 산학협동교육(co-op. 코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건축학부, 전자공학부, 재료화학공학과, 생명나노공학과, 로봇공학과 학생들은 재학기간 중 1년간 교환학생 및 미국 기업체 현장실습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장실습을 하면 기업으로부터 급여(6개월간 1만 4000달러)도 받을 수 있다.#

1.1.1. 기계공학과


'''기계공학과'''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image]
기계공학과 로고
1979년 기계공학과에 개설되어. 1999년 산업공학과와 함께 기계산업공학부로 통합되었고, 2001년 기계정보경영공학부로 개명하였다. 2010년 다시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로 분리되었다.
[image]
2004년 대교협 기계분야 평가에서 전국 2위의 성적으로 최우수 학과로 선정#되었으며, 2012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주관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최우수’, 2013년도 중앙일보 학과 평가 '''전국 10위''' 및 QS 세계대학 학문분야 평가 ‘세계 109위’, 2014년 수도권특성화사업단 선정되었다#. 기계공학과에서는 2009년부터 중국 청도과기대[8]와 함께 복수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1.1.2. 로봇공학과


'''로봇공학과'''
Department of Robot Engineering
[image]
로봇공학과 로고
2013년 기계공학과와 전자시스템공학과 로봇전공 교수들이 모여서 신설한 학과이다. 로봇공학은 로봇에게 사람과 유사한 인지, 판단,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데 필요한 학문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계, 전기/전자, 컴퓨터를 종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야 하므로 각 전공의 기초과목은 물론이고 이를 기반으로 로봇자체를 제작, 운용에 필요한 과목도 공부하게 된다.
30명 정원으로 작은 규모의 학과지만 생각보다 캠퍼스 이곳저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신설된 과인 만큼 처음엔 커리큘럼에 혼란이 있었으나 이제는 어느 정도 안정기에 접어들어 가고 있다.
13학번으로 입학한 1기 신입생들이 2016년 국제로봇콘테스트에서 대통령상#에 이어, 2017년 국제로봇콘테스트&R-BIZ 챌린지에서도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존재를 전국에 알렸다.[9]
재난용 휴머노이드 로봇 '똘망'을 개발한 로봇공학자 한재권 박사[10]를 교수로 영입하였다.
학과 내 학회로 HY-MEC, INTERIN가 있다.
2018년 교육부가 주관하는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의 <인공지능 협동로봇> 분야에 로봇공학과가 선발되었다. 이에 ERICA는 연간 10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되었고 인공지능 협동로봇관련 인재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도 생기게 되었다.

1.1.3. 산업경영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Department of Industrial & Management Engineering
1980년 산업공학과가 각각 개설되었다. 1999년 기계공학과와 함께 기계산업공학부로 통합되었고, 2001년 기계정보경영공학부로 개명하였다. 2010년 다시 산업경영공학과로 분리되었다.

1.1.4. 전자공학부


'''전자공학부''' 홈페이지 네이버 카페
[image]
전자공학부 로고
1979년 전기공학과와 전자공학과, 1985년 전자계산학과, 1989년 제어계측공학과가 각각 개설되었다. 1996년에 전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로 통합되었고 1999년 전자컴퓨터공학부로 개명하였다. 2010년에 전자컴퓨터공학부가 컴퓨터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전자시스템공학과로 분리되었다. 2015년에 전자통신공학과와 전자시스템공학과는 다시 전자공학부로 통합되었다.
2000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학문분야평가에서 포항공대, 연세대와 함께 최상위 3개 대학으로 꼽히기도 하였다.

1.1.5. 컴퓨터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홈페이지
1985년에 전자계산학과로 설치되어 서울캠퍼스 컴퓨터공학부보다 역사가 길다. 2010년에 전자컴퓨터공학부에서 분리되었다. 2012년부터 소프트웨어 특성화 사업의 대상으로 지정되어, 컴퓨터공학과 내에서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특성화 대학 지원 사업인 SMaSH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2015년 현재는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변경하기 위해 잠정 중단되었다. 연속으로 진행하려면 (예산 문제로)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다시 선발되어야 하는데 2018년 드디어(!)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선정되는데 성공하였다.
프라임학과로 선정되어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소프트웨어학부로 개편되며, 2017년 신입생부터 세부 전공으로 컴퓨터전공과 소프트웨어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1~2년간 수학 후 선택)[11] 기존 컴퓨터공학과 인원은 컴퓨터전공 소속으로 변경된다.

1.1.6. 재료화학공학과


'''재료화학공학과''' 홈페이지

[image]
재료화학공학과 로고
1980년 금속재료공학, 1987년 화학공학과가 각각 개설되었다. 1999년 재료화학공학부로 통합되었다가 2010년 다시 분리되었다. 2015년에 다시 재료화학공학과로 통합되었다. 재료화학공학과는 BK21플러스 인력양성사업 및 CK-II 특성화사업 선정되었다.
[image]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발표한 ‘2011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결과’에 따르면 한양대 ERICA캠퍼스는 두 분야(금속철강 분야, 신소재 분야)에서 1위를 받은 적이 있다.결과문서 다운로드 화학공학 분야에서는 ‘2013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국내 6위’를 차지한 저력이 있다.

1.1.7. 생명나노공학과


생명나노공학과홈페이지
2010년 학과가 개설되기 전부터 캠퍼스 내에 바이오 융합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고 있었다. 2001년 산업자원부 지원 마이크로바이오칩센터를 시작으로 2007년 교과부 지원 BK21 대형 사업단, 2008년 교과부 지원 통합휴먼센싱기술 개발 연구센터 등 대형 정부사업을 잇따라 유치했다. 특히 휴먼센싱기술 개발 연구센터는 의학과 공학 융합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당시 30 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됐다. 2011년 약학과도 개설되면서 공학대학, 과학기술대학, 약학대학만이 아니라 캠퍼스 내에 입주한 바이오 관련 기업들과 연계하여 바이오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하고있다.

1.1.8. 건축학부



'''건축학부'''홈페이지
건축학전공(5년 과정), 건축공학전공(4년 과정)으로 나뉜다. 1985년 건축학부가 개설되어 1999년 토목환경공학, 교통공학과와 함께 건설교통공학부로 통합되었다가 2010년 건설교통공학부에서 다시 분리되었다.
국제화 프로그램이 잘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국립대학(NUS)[12]과 2003년부터 공동강의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한 학기동안 NUS에서 수업을 듣고 싱가포르의 설계 사무실에서 2달 동안 인턴쉽 과정을 수행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싱가포르 법이 학생비자로 인턴쉽 과정을 수행할 수 없게 바뀜.) NUS와 매년 아시아 국제건축올림피아드를 공동개최하고 있다. 미국 일리노이공대(IIT)[13]와 복수학위 프로그램에 건축학 분야는 매년 5~10명을 선발한다.
2015년 '건설구조물 내구성혁신 연구센터'를 개소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연구재단이 주관한 '2015년 선도연구센터(ERC) 지원 사업'에서 '''건축분야 유일'''의 우수공학연구센터(ERC)[14]로 선정됐다. '건설구조물 내구성혁신 연구센터'는 2016년부터 7년간 매년 20억 원, 총 131억 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게 된다.

1.1.9.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ERICA캠퍼스의 토목공학과이다. 1985년 토목공학과가 개설되어, 1994년 토목환경공학과로 개명하였다. 1999년 건축학부, 교통공학과와 함께 건설교통공학부로 통합되었다가 2010년 건설교통공학부에서 건설환경공학과로 다시 분리되었다. 2013년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로 개명하였다.

1.1.10. 교통물류공학과


1988년 교통전공으로는 대한민국에서 최초 설립되었다. 1999년 건설교통학부로 통합되었다가 2010년 다시 교통공학과로 분리되었다. 2012년에 교통물류공학과로 개명하였다.

1.1.11. 국방정보공학과


'''국방정보공학과''' 홈페이지
[image]
국방정보공학과 로고
2015년 신설, 해군본부와 협의하여 만들어진 학과이다. 전자통신학과와 컴퓨터공학과의 교육과정에 기초를 두고, 군사학 관련 교육도 한다. 국방정보공학과 학생들은 군 장학생 관련 법규에 따라 4년간 장학금을 비롯한 해군의 다양한 혜택과 지원을 받게되며, 졸업 후에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해군 기술장교로서 7년간 복무해야 한다.추가적으로 모든 학생이 기술장교로 가는것은 아니다. 30명중에서 10명 미만이 정보통신, 병기, 조함 등의 병과로 복무를 하고 나머지는 항공, 함정, 정보 등등의 병과로 복무하게 된다.

1.1.12. 융합공학과


융합공학과 홈페이지
2013년 신설, 학과 설립의 모토가 선취업 후진학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특성화고교 및 마이스터고 졸업 후 3년 이상 산업체에 근무한 사람만이(입학일 3월 1일 기준) 지원 가능하다. 수능 시험 없이 입학이 가능하며 입학생들이 대부분 생업을 위해 직장을 계속 다니는 사정을 고려하여 수업 시간은 야간, 그리고 토요일이다.

1.1.13. 스마트융합공학부


'''스마트융합공합부''' 홈페이지
2019년 신설, 조기취업형계약 선도대학으로 선정되어 2019학년도 1회 입학생을 모집했다.
학부 내 소재부품융합전공, 로봇융합전공, 스마트ICT융합전공, 건축IT융합전공 총 4개의 전공이 있다.
입학 조건이 중소•중견기업 입사기 때문에 입학한 학생 모두 취업이 완료되거나 2기 기준 취업 확약서를 작성한 상태이다.
졸업학점이 120학점으로 2학기(1년) 조기졸업을한다. 1학년에는 회사에 휴직계를 내고 주간에 수업을 들으며 1, 2학기 각 21학점(최대 23학점), 여름/겨울 계절학기는 각 9학점을 필수로 이수해야한다.(1학년 총 60학점+ 이수) 2~3학년은 1, 2학기 각 12학점, 여름/겨울 계절학기는 각 3학점을 필수로 이수해야하며(학년당 총 30학점+ 이수) 회사 재직과 동시에 평일 사이버 강의, 야간 또는 주말에 수업을 듣는다. 졸업학년에는 재직중인 기업과 R&D연구를 하는 커리큘럼이 준비되어있다.(예정)
*위 내용은 스마트융합공학부 1기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2기에는 내용 변동이 있을 수 있음
- 입학년도 전액 장학금, 2~3학년 반액 장학금을 지급한다. <중소기업 취업연계 장학금(희망사다리Ⅰ유형)>
- 학기당 200만원의 취업 연계 장려금을 지급한다.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1학년에 한해 허용, 1년간 400만원)
-
-

1.2. 소프트웨어융합대학


2017년 프라임사업 선정을 계기로 ICT융합학부가 신설되고, 공학대학 컴퓨터공학과가 소프트웨어학부로 개편되었다.
2018년 이후 프라임 사업이 종료됨으로써 신입생들에게는 더 이상 신입학 4년 장학금이 주어지지 않는 듯 하다. 물론 17, 18학번에게는 4년 동안 정상적으로 지급이 된다. 대신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선발된 학생의 경우 1회에 한하여 전액 장학금을 지급한다.[15], 추가로 '''개인노트북 대여''', SW융합대학 전용 개인학습공간 제공, 프로젝트 활동공간 및 '''재료비 지원''', 학생창업 공간 및 비용, 컨설팅 지원을 할 예정이다.
개인별 취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개인별 포트폴리오를 관리해주고 1인 1 오픈소스 SW 활용 프로젝트, '''1인 2 특허출원''', 1인 2공모전, '''1인 1 소프트웨어 등록 해외 인턴십 및 해외 취업 지원'''을 해준다.

1.2.1. 소프트웨어학부


[image]
소프트웨어학부 로고

소프트웨어학부는 프라임 사업으로 기존 컴퓨터공학과가 변경되어 신설되었다. 세부전공으로 컴퓨터전공과 소프트웨어전공으로 나누어, 기존 컴퓨터공학과 학생들은 컴퓨터전공으로 이동되었다.
소프트웨어학부로 변경되고 난 후에 커리큘럼이 상당히 괴랄해진 학과이다. 다른 대학교 3학년에서 배우는 자료구조, 알고리즘, 오토마타 등이 거의 2학년 과목으로 변경되었다. 덕분에 중간에 커리큘럼 바뀐 학번들은 상당히 힘들어 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오픈소스 개발, 웹 개발 등의 과목은 해당 과목에서 필요한 지식에 대한 과목을 이수하기도 전에 듣거나, 같이 듣는 경우가 발생한다. [16]
프라임 사업을 통해 소프트웨어전공의 경우 기존 컴퓨터전공의 하드웨어 관련 분야를 아예 없애는 정도로 특성화할 계획이었다. 기존의 컴퓨터전공도 사실상 컴퓨터공학(하드웨어)보다는 컴퓨터과학(소프트웨어)에 가까운 전공이었기 때문에 많아봐야 2개 과목 정도만 대체될 예정이었음. 2016년 이전 서울캠퍼스의 컴퓨터공학부 소프트웨어전공(현재는 통합됨)처럼 소프트웨어전공만 소수정예로 특성화하려는 구상도 하였다. 프라임 사업 이전 교육과정의 경우, 2019년까지 운영되었다.

1.2.2. ICT융합학부


[image]
ICT융합학부 로고

낯설지만 짜릿한 오솔길로 전환하다

ICT융합학부는 비이공계(인문, 사회, 예체능 계열)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으로, 이 과정을 마친 학생들에게는 공학사 학위가 수여된다. 프라임 사업을 통해 계획되고 2017년 3월 소프트웨어융합대학에 신설되었다. 재학생들은 편하게 '''아씨티'''라고 부르며, 가끔 '''미컬디'''라고 불리기도 한다[17]. 1학년에는 소프트웨어학부와 비슷하게 기초 프로그래밍과 기초필수 과목들을 배우지만, 2학년 이후 세부 전공을 선택한다. 세부 전공으로 미디어테크놀로지전공(컴퓨터과학 + 언론정보학 + 산업공학), 컬쳐테크놀로지전공, 디자인테크놀로지전공(컴퓨터과학 + 디자인학 + 재료화학)이 있다.
  • 미디어테크놀로지전공은 소셜 미디어, 광고홍보 및 영상, IoT 서비스, 빅데이터를 비롯한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 등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중심으로 배우는 전공이다. 현재 대부분의 ICT 2학년 학생들이 선택한 전공이기도 하다.
  • 컬쳐테크놀로지전공은 게임을 비롯한 문화콘텐츠, 공연기획 및 사운드, 웰니스 테크놀로지 등을 중심으로 배우는 전공이다. 미디어텍 다음으로 많이 선택한 전공이기도 하며 게임을 만들고자 하는 학생들이 주로 선택하는 전공이다.
  • 디자인테크놀로지전공은 디자인 공학, HCI, UI/UX, VR/AR 등을 중심으로 배우는 전공이다. HCI와 가장 크게 관련있는 전공이기도 하다.
전공은 이렇게 3개로 나누어져 있지만 실제 교수들은 전공만으로 이분화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재학생들은 전공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각 전공의 수업을 들을 수 있으며 아예 전공학점을 인정해주는 과목들도 존재한다. 또한 2018학년도부터 트랙제도[18]라는 것을 운영하기 시작했는데, 재학생들은 각 학기마다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트랙의 교과목을 수강하여야 하고, 8학기 동안 '''2개 이상의 트랙을 완성시켜야만 졸업이 가능하다.''' 이 제도 역시 전공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트랙을 선택할 수 있다.[19]
해당 학과가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의 휴먼컴퓨터인터랙션학과와 관련이 크고 연계가 제법 잘 되어있어, 1학년, 2학년 재학생들이 교내 연구실에 인턴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애초에 ICT융합학부의 교수들이 휴먼컴퓨터인터랙션학과의 교수이기도 하다.
참고로 ICT융합학부의 ICT는 정보통신기술의 약자[20]가 아닌 '''Interdisciplinary Computing Technology'''(융합 컴퓨팅 기술) 의 약자이다. 그리고 소프트웨어를 배운다는 점 때문에 서울캠퍼스의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와 ERICA캠퍼스의 소프트웨어학부와 동일유사학과로 생각될 수 있으나, 학과 영어 명칭이나 실제 배우는 커리큘럼 등을 잘 보면 중복학과는 아님을 알 수 있다.

1.2.3. 인공지능학과


2021년부터 정원 36명으로 제1회 신입생 입학 예정이다.

1.3. 약학대학


* 홈페이지
[image]
약학과 로고
약학대학관을 같이 사용하는 휴온스 중앙연구소뿐만 아니라 캠퍼스 내에 위치한 경기테크노파크에는 제약 및 바이오 관련 기업 14개 업체, 창업보육센터에는 바이오 관련 68개 '''기업이 입주'''해 있어 캠퍼스 내에 바이오 융·복합 클러스터를 만들고 협력을 하고 있다.

1.3.1. 약학과


2011년 신설되었다. 타 대학의 약학대학과 다르게, 임상약학교육, 산업약학교육, 약학연구로 세분화 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갖춘 임상약사, 생명공학의 꽃인 연구약사, 제약회사에서 근무하는 산업약사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5년 QS(Quacquarelli Symonds)대학평가 약학분야에서 '''세계 50위권'''[21]을 기록하였고, 이는 세계 47위를 기록한 성균관대에 이어 두번째이다.
2019년 보건복지부 바이오메디컬 글로벌 인재양성사업 과제에 선정되었다.
약학대학 교수님 소개 홈페이지
김동욱 교수
김진기 교수
김상성 교수
김영미 교수
김철영 교수
남태규 교수
류종석 교수
배옥남 교수
이주연 교수
이철훈 교수
임형신 교수
유혜현 교수
최경식 교수
최한곤 교수
하정미 교수

1.4. 과학기술융합대학


2017년 프라임 사업을 기준으로 기존 과학기술대학 명칭에서 과학기술융합대학으로 단과대학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3년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가 개설되고 1984년 생화학과, 지구해양과학과가 개설되었다. 1996년 이학부로 통합 후 2001년 과학기술학부로 개편하였다. 2013년 학부를 폐지하고 각 학과로 분리하였다. 신지식 창출에 앞장서는 사람들.
[image]
응용수학과 비공식 로고

1.4.1. 응용수학과


1983년 수학과 개설, 2013년 과학기술학부에서 응용수학과로 분리되었다.

1.4.2. 응용물리학과


1983년 물리학과 개설, 2013년 과학기술학부에서 응용물리학과로 분리되었다.

1.4.3. 화학분자공학과


1983년 화학과 개설, 2013년 과학기술학부에서 응용화학과로 분리되었다. 1993년 대학교육협의회에서 시행한 전국 대학 화학과 평가에서 우수학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22] 2017년 화학분자공학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4.4. 분자생명과학과


1984년 생화학과 개설, 1997년에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전공으로 변경했다. 2013년 과학기술학부에서 분자생명과학과로 분리되었다. 공학대 생명나노공학과와 이름이 비슷하다. 한양대 ERICA의 레인보우 학과, 차세대 유전체 특성학과로 LINC사업 선정되었다. 후성유전체 연구센터#는 교육과학기술학부 선도연구센터(SRC)로 선정되었다.


1.4.5. 해양융합공학과


1984년 지구해양과학과 개설, 2001년 과학기술학부로 개편되면서 해양환경과학전공으로 개명하였다. 2013년 과학기술학부에서 해양융합과학과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2017년 해양융합공학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지구과학분야 전국 유일팀으로 한국연구재단 BK21플러스에 선정되었다. 수중음향, 해양 생태계, 해양환경 탐사, 해양환경 복원기술, 기후 변화 메커니즘 등을 연구한다.

1.4.6. 나노광전자학과


Prime사업으로 인해 응용물리학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때문에 교수진이 응용물리학과에 있던 교수진이다. 또한 교육과정이 다소 겹친다.

1.5. 국제문화대학


1980년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일어일문학과가 개설되고, 1981년 중어중문학과가 개설되었다. 1983년 국어국문학과, 문화인류학과가 개설되었다. 1997년 국어국문학과와 문화인류학과는 인문학부, 그 외 학과는 외국어문학부로 통합되었다. 이 후 외국어문학부는 2000년에 영미언어·문화학부, 유럽언어·문화학부, 동양언어·문화학부로 분리된다. 2004년에는 동양언어·문화학부가 중국언어·문화학부와 일본언어·문화학부로 또 분리된다. 2008년에 학부가 모두 폐지되어 현재 학과로 분리되었다.

1.5.1. 한국언어문학과


1983년 국어국문학과 개설, 2008년 인문학부에서 분리되면서 한국언어문학과로 개명하였다.

1.5.2. 문화인류학과



1983년 문화인류학과 개설, 2008년 인문학부에서 분리되었다.

1.5.3. 문화콘텐츠학과


[image]
문콘 비공식 로고

2004년 국제문화대학 인문학부내 문화콘텐츠 전공 개설, 2008년 학과로 개편되었다. 흔히 '문콘'이라고 부르며, 한양대 ERICA의 레인보우 학과 중 하나다. 한양대학교 ERICA 인문계열 입결 중 광고홍보학과 다음의 높은 기록을 자랑하고 있으며, CK 사업에 선정되는 등 다양한 성과와 우수한 교수진을 통해 실력있는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또한, 동일한 학과명을 지닌 타 대학 문화콘텐츠학과에 비해 역사와 성과가 뛰어난 편이다.

1.5.4. 중국학과


1981년 중어중문학과 개설, 2000년에 동양언어·문화학부에서 중국언어·문화학부로 분리되었다. 2005년 중국학부로 개명하고, 2008년 중국학과로 바꾸었다.

1.5.5. 일본학과


[image]
일본학과 로고
1980년 일어일문학과 개설, 2000년에 동양언어·문화학부에서 일본언어·문화학부로 분리되었으며, 2008년 일본언어·문화학과로 개명, 2017년 일본학과로 개명하였다. 일어일문학 분야에서는 유일하게 1999년에 제 1단계 BK21 사업, 2006년도 2단계 BK21사업 2013년도 BK21+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글로벌 사회의 '갈등과 공공성의 인문학'과 일본연구 특성화사업팀」#을 운영하고 있다.

1.5.6. 영미언어문화학과


1980년 영어영문학과 개설, 2008년 영어언어·문화학부에서 영미언어문화학과로 바뀌었다.

1.5.7. 프랑스학과


1980년 불어불문학과 개설, 2008년 유럽언어·문화학부에서 독어독문학과는 서울캠퍼스와 통합되면서 불어불문학과만 남았고, 프랑스언어문화학과로 변경되었다가 2017년 프랑스학과로 명칭이 다시 바뀌었다. 학생들의 프랑스어 향상과 프랑스 문화 이해 증진을 위해 ‘프랑스 파리8대학 현지학기제’, ‘프랑스 교수 초청 하계 방학 연수’, ‘DELF시험 준비반’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

1.6. 언론정보대학



1.6.1. 정보사회미디어학과


정보사회미디어학과 홍보영상 [23] https://www.youtube.com/watch?v=fSCAMqHyOtM
정보사회미디어학과는 한양대 ERICA캠퍼스 언론정보대학에 소속돼있다. 1983년 사회학과와 신문방송학과가 개설되었으며, 1989년 광고홍보학과가 개설되었다. 이 학과들은 1997년 언론·광고·사회학부로 통합된 후, 2002년 신문방송·정보사회학부와 광고홍보학부로 분리되었다. 이 후 2010년에 신문방송·정보사회학부는 신문방송학과, 정보사회학과로 분리되었다. 흔히 '언정대'라고 부른다. 2019년 신문방송학과와 정보사회학과가 통합하여 정보사회미디어학과로 개편되었다.
'''정보사회미디어학과의 교육목표'''는 학생들에게 미디어, 정보, 기술에 대한 지식을 교육하고 사회에 대한 심층적인 식견을 함양시켜 “'''세상의 위대한 도전들'''”(The world’s great challenges)에 맞서 싸우게 하는 것이다.
정보사회미디어학과의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한 졸업생들은 다음과 같은 분야로 진출한다. google, naver, kakao와 같은 플랫폼, 신문사, 방송사, TV홈쇼핑, 방송 협회 등
정보사회미디어학과 제 1대 학생회는 ‘'''도약'''(회장: 이*재, 부회장: 최*원)’으로, 회장단을 중심으로 기획국, 실무국, 영상제작국, 홍보국 총 4개의 국을 운영했다. 제 2대 학생회 ‘'''나우'''(회장:이*영, 부회장: 배*형)’는 기획국, 홍보국, 제작국, 실무국 총 4개의 국을 운영하며 월별 문화행사, 시험기간 야식 사업, 교내외 활동 알리미 등의 활동을 진행했다.
정보사회미디어학과의 학회는 '''아이콘, HJBS, 시간을 멈추는 사람들'''을 포함해 총 3개다. '''아이콘(ICON)'''은 정보사회미디어학과의 콘텐츠 학회로, 2013년에 시작해 매년 선배가 후배에게 멘토링 하는 방식으로 파워포인트, 포토샵, 프리미어까지 대학생활에 필요한 프로그램 활용 능력을 교육한다. 또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학회 내 콘테스트(아이콘테스트, RBA)를 진행해 단순히 학습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응용력을 기르는 것이 목표다.
'''HJBS'''는 신문방송학과 학회로 시작해 올해 34년의 전통을 가진 영상학회다. '''HJBS'''는 Hanyang Journalism Broadcasting System으로, 영상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학회다. 언론정보대 지하 1층에 학회실이 위치하고 있으며, 학회에서는 예능, 드라마, 뮤비, 다큐 등 다양한 분야를 촬영하고 정방제 등을 통해 학우들에게 선보인다.
'''시간을 멈추는 사람들(시멈사)'''는 보도사진학회로 뉴스 보도에 필요한 사진을 연구하는 학회다. 언론정보대학 3층에 학회실(사진실습실)이 위치하고 있으며, 사진 촬영 기초 강의에서부터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사진전까지 포토저널리즘을 학습한다.
정보사회미디어학과는 매년 '''학술제 ‘CONNECTION’'''을 진행한다. 커넥션은 ‘데이터로 세상을 보고, 콘텐츠로 표현하라’는 목표를 갖고 있다. 2019년에 첫 학술제의 테마를 ‘IDEA’로 선정했다. 다음은 2019 학술제의 소개 글이다.
''"사회는 본데 통합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불평등, 차별, 혐오로 인해 조각나 있다. 이러한 사회속에서 우리는 통찰력(눈)을 갖고 사회를 봐야 한다. 또한, 그저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사고로 사회의 조각들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
2020년의 커넥션 주제는 ‘'''사회를 Check 하다'''’[24] 이다. ‘여론몰이’, ‘포스트 코로나’, ‘기술발전과 페미니즘’, ‘사회 가족구조’, ‘니트족’ 등 다양한 주제로 사회를 체크한다. ''''''
제 2대 학생회 나우는 정보사회미디어학과 재학생을 위한 '학과 온라인 플랫폼'인 MANTEA와 제휴를 맺었다. 망토에는 학과 공지사항, 학과 내 각종 행사 홍보들을 손쉽게 모아볼 수 있으며, 학회 별 커뮤니티 생성으로 언택트 시대에 유용하다. https://www.manteaukorea.com/home

1.6.2. 광고홍보학과


1989년 광고홍보학과가 개설되었으며, 2015년 광고홍보학부를 광고홍보학과로 바꾸었다. 광고홍보학을 지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최상위권 학교로 취급되며, 아웃풋도 광고홍보학 전공 대학 중엔 독보적인 편으로, 현직 종합광고대행사 / 디지털광고대행사 / 매체대행사 / 매체 광고영업팀에는 많은 수의 동문이 포진하고 있다.[25]

1.6.3. 신문방송학과


1983년 신문방송학과 개설, 2010년 신문방송·정보사회학부에서 신문방송학과로 분리되었다.

1.6.4. 정보사회학과


1983년 사회학과 개설, 2010년 신문방송·정보사회학부에서 정보사회학과로 분리되었다.

1.7. 경상대학


홈페이지

'''보이니? 네 안의 그 꿈들!'''

1980년 경제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회계학과가 개설되었다. 1995년에 경제학과는 경제학부로 통합되고 무역학과와 회계학과는 경영학부로 통합되었다. 2001년 학부명이 디지털경제학부, 디지털경영학부로 개명하였다가 2005년 다시 경제학부와 경영학부로 바꾸었다. 2018년 AACSB 인증을 받았다.
프라임 사업을 통해 1층을 리모델링했다. 카페, 팀플실, 열람실, 휴게실, 파우더룸 등이 생겼으며 중앙에 2층에서 1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미끄럼틀을 설치할 예정이다. 이름은 '꿈틀'이며 경상대학 학생회장이 가장 먼저 탑승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1.7.1. 경제학부


1980년 경제학과가 개설되었으며, 1995년에 경제학부로 바뀌었다. 2001년 디지털경제학부로 개명하였다가 2005년에 다시 경제학부로 바꿨다.
한양대학교(ERICA) 경제학부는 2007년 중앙일보 전국 경제학과 평가 결과 세부 평가지표 5개 부문에서 TOP 10에 랭크되는 성적을 거두었다.관련 링크 또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경제학과 평가에서도 2008년에 최우수 그룹, 2003년에 8위(최우수학과 그룹)에 랭크된 바 있다.관련링크


1.7.2. 경영학부


1980년 경영학과, 무역학과, 회계학과가 각각 개설되었으며 1995년에 경영학부로 바뀌었다. 2001년 디지털경영학부로 개명하였다가 2005년에 다시 경영학부로 바꿨다.

1.7.3. 보험계리학과


2013년에 신설되었다. 국내 최초 보험계리학과이다.[26] 보험계리사는 보험회사의 전반적인 위험을 분석·평가·진단하며 보험상품 개발에 대한 인·허가 업무와 보험료 및 책임준비금 등을 산출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이다. 2014년부터 한국 보험계리사 시험이 미국이나 영국처럼 과목별 합격 제도로 변경되면서 시험 과목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서 이러한 과목들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유일한 학과이다.

1.7.4. 회계세무학과


2013년에 신설되었다. 회계세무학과는 다른 전공과 달리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계 전문가와 법인세, 재산세 및 부가가치세 등 세무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회계 및 세무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회계, 세무 지식에 대하여 1, 2학년에는 이론 중심의 기초 교육을 하고 3, 4학년에는 실무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진다.

1.8. 디자인대학


1983년 공예과, 1984년 산업미술과가 각각 개설되었다. 이 두 학과는 1997년 디자인학부로 통합되었다. 1998년에 신설된 조형디자인학부와 함께 2000년에 산업디자인학과, 금속디자인학과, 섬유디자인학과, 시각∙패키지디자인학과, 영상디자인학과로 구성된 디자인학부로 통합된다. 2013년에 학과 편제가 대폭 바뀌면서 일부 학과 간 교수 이동도 있었다. 2013년의 디자인대학 학과 개편에 대해서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도 강력하게 반대했었다.
  • 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 구. 금속디자인학과 + 섬유디자인학과
  • 서피스·인테리어디자인학과
  • 산업디자인학과 : 구. 테크노프로덕트디자인학과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구. 시각∙패키지디자인학과
  • 영상디자인학과 : 구. 엔터테인먼트디자인학과
2001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발표한 ‘대학 학문분야 평가’에서, 디자인 분야에서 학부는 전국 2위, 대학원은 전국 4위를 기록한 바 있다.
[image]
학교 홍보용으로 자주 쓰이는 사자 얼굴 모양의 "한양" 마크는 디자인대학 시각∙패키지디자인학과의 한 학우가 만든 것이다.

1.9. 예체능대학



2011년 실용음악학과 신설과 함께 생활체육과학대학에서 예체능대학으로 변경되었다.
  • 스포츠과학부
1981년 체육학과, 1983년 경기지도과가 각각 개설되었으며, 1997년 생활스포츠학부로 통합되었다. 그리고 2017년 스포츠과학부로 바뀌면서 스포츠문화전공, 스포츠코칭전공으로 나뉘게 되었다.
  • 무용예술학과
1981년 무용과가 개설되었으며, 1998년 생활무용예술학과로 개명하였다. 세부 전공은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이다.
  • 실용음악학과

2011년에 신설되었다. 작곡가 이승환이 학과장이며, 가수 김조한과 베이시스트 서영도가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세부 전공은 작곡, 보컬, 피아노, 드럼, 기타, 베이스, 관악[27]으로 나뉘어 있다.

2. 특성화 학과



2.1. 레인보우 학과


[image]
각 단과대학을 대표하는 ERICA캠퍼스 7개 특성화 학과를 일컫는다. 국방정보공학과는 최초 합격자 전원 4년 전액, 나머지 학과들은 4년 반액 장학금의 혜택이 있다. 장학금 지급 기준은 직전 학기 학점 평균 3.5 이상이다.
  • 공학대학 국방정보공학과[28]
  • 공학대학 로봇공학과
  • 공학대학 생명나노공학과
  • 과학기술대학 분자생명과학과
  • 국제문화대학 문화콘텐츠학과
  • 언론정보대학 광고홍보학부
  • 경상대학 보험계리학과

2.2. 수도권 대학 특성화 사업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2014년부터 대학 특성화를 위해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캠퍼스와 ERICA캠퍼스가 함께 선정되었다. ERICA캠퍼스의 경우 경기∙인천 권역에서 종합순위 2위를 기록했다.
  • 공학대학 전자공학부
  • 공학대학 재료화학공학과
  • 공학대학 기계공학과
  • 국제문화대학 문화콘텐츠학과

2.3. 프라임학과


2016년 산업연계 교육활성화선도대학(프라임 사업)에 선정되어 3년간 약 450억원을 지원받은 학과이며, 사업 종료에 따라 2019년 프라임 장학금(4년반액)이 끝났다.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소프트웨어학부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ICT 융합학부
  • 과학기술대학 화학분자공학과
  • 과학기술대학 해양융합공학과
  • 과학기술대학 나노광전자학과

3. 전공 제도



3.1. 융합전공


기존 학부, 학과 또는 전공으로부터 융합하여 만들어진 독립된 교육과정의 전공을 제2전공으로 이수하는 제도이다. 기존의 다중전공과 다른 점은 다중전공이 편제상에 실재하는 학과조직임에 비해 융합전공은 편제상에 없는 전공이수를 위한 가상의 학과(전공) 이라는 데 차이가 있다. 이는 신입생을 받는 정식 학과가 아니라, 2학년 때부터 선택 가능한 융합전공 과정이다. 졸업시에는 공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 디자인공학전공 - 다지인공학 학위 수여 , 2009년 신설. 싱가포르 국립대학과 공동강의 프로그램 지원가능[29]
2016년부터 인문계와 예체능계 학생에게 공학을 전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융합전공이 개설할 예정이다.
[image]
미디어테크놀로지 과정은 신문방송학과와 전자공학·컴퓨터공학을 융합한 전공으로, 문과 학생들이 멀티미디어 사업이나 콘텐츠 개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다. 데이터 분석과 이의 시각화를 공부하는 데이터저널리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분석해 산업에 활용하는 미디어 빅데이터 분석 등의 수업을 개설할 예정이다. 디자인테크놀로지 과정은 디자인학과 컴퓨터공학·재료화학공학 융합전공이다. 3차원(3D) 프린팅을 이용해 한 단계 높은 의상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디지털패브리케이션 수업을 할 예정이다.

3.2. 연계전공


편제상의 3개 이상의 학과가 참여하여 가상의 학과를 구성하고 이들 참여의 학과의 교육과정을 이용하여 전공을 이수하는 제도이다. 제1전공 및 연계전공의 졸업요건이 모두 충족되었을 때 제1전공 및 연계전공이 병행 표기된 학위를 수여한다.
[1] 프라임 사업이 폐지됨에 따라 2019학년도 신입생부터는 장학 혜택을 받을 수 없다.[2] 2017년 프라임사업을 기준으로 응용화학과에서 화학분자공학과로 개편[3] 2017년 프라임사업을 기준으로 해양융합과학과에서 해양융합공학과로 개편[4] 2017년 신설[5] 과거 공학대학 컴퓨터공학과[6] [image][7]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2015년 QS 대학평가 건축분야 세계 50위권[8] 青岛科技大学 / Qingdao university science technology(QUST)[9] [10] 평창 스키로봇대회, Robocup 휴머노이드 분야 등 수준 높은 로봇대회는 전부 참가하며 활약 중이다.[11] 다만 기본적으로 컴퓨터전공과 소프트웨어전공을 나눈 이유는 커리큘럼이 변경되었을 때, 기존 컴퓨터공학과 학생들의 불편을 막기 위함이라, 실제로 신입생들이 세부전공을 선택하게 될지는 아직 정확하지 않다. 또한, 설명회 때 학부 주임교수가 소프트웨어전공을 서울캠퍼스가 컴퓨터공학부를 통합하기 이전 형태처럼, 그쪽에만 특혜를 더 주는 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비쳤다.[12]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15년 QS 대학평가 건축분야 세계 6위, 토목분야 세계 3위[13]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2015년 QS 대학평가 건축분야 세계 50위권[14] '선도연구센터(ERC) 육성 사업'은 공학 분야 세계적 수준의 창의성과 탁월성을 보유한 우수 연구집단을 발굴하는 국책 연구 지원 사업이다.[15] 다만 SW중심대학 사업에 선정되고, 신입학 4년 장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의논하고 있는 듯 보인다. 아마 다른 형태로 지급이 되지 않을까 추측된다.[16] 예를 들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 교수는 강의 마지막에 배우지도 않은 고급 선형대수학에 관련한 내용을 10분 읉고 인공지능에 대해 설명했다고 한다. [17] 학과의 실제 영어 명칭이 Division of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 이기 때문에 붙은 별명인 듯 하다. 사용 빈도는 낮다.[18] ICT에서 배울 수 있는 분야들을 전문적으로 배워 자신의 무기로 쓸 수 있게끔 한다는 취지의 제도이다.[19] 예를 들면 컬쳐텍의 재학생이 게임 트랙을 밟는 동시에 디자인텍 트랙인 VR/AR 트랙을 같이 밟을 수 있다. 트랙 과목들이 모두 코드쉐어가 되어 있어서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20]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21] 2014년 110위권, 2013년 160위권[22] 2007년에 시행한 평가는 참여하지 않았다.[23] 제 2대 학생회 '나우' 제작[24] 학술제는 11월 20일 유튜브를 통해 진행된다.[25] 예를 들어, 캐러트 한국지부 남우현 대표이사를 비롯해, 오리콤이나 현대자동차 그룹 계열사 이노션과 같은 대형 광고대행업체의 간부들이 이곳 출신이다.[26] 엄밀히 따지면 2005년 성균관대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으로 보험계리학이 개설되었다. 하지만 학부로는 한양대 ERICA의 보험계리학과가 최초이자 2015년 현재 유일하다.[27] 트럼펫, 트롬본, 색소폰.[28] 군장학생으로 학비 전액 면제. 군복무는 7년(의무 3년, 장학금 수혜로 인한 가산 복무 4년)을 해야한다.[29] 원래 건축과 학생들만 NUS 공동강의 프로그램에 지원할 수 있었으나, 디자인공학 학생이 NUS 교수와 한양대 교수를 설득해 TO를 확보했다. 건축과에서 NUS 공동강의 프로그램 지원할 때 '디자인공학'으로 지원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