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라지인

 


1. 개요
2. 역사
3. 분포
4. 언어
5. 참고문헌


1. 개요


'''【언어별 명칭】'''
[ 펼치기 · 접기 ]
페르시아어
خلج‌ها (Xalajhâ), ترک‌های خلج (Torkhâ-ye Xalaj)
파슈토어
خلجیان (Xalajyān)
아제르바이잔어
Xələclər / خلجلر
터키어
Halaçlar
독일어
Chaladschen
영어
Khalaj people

할라지인은 이란 중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이다.

2. 역사


이들의 기원은 정확하지 않다. 다만 할라지어에 대해 깊이 연구한 독일의 튀르크학자 게르하르트 되르퍼(Gerhard Doerfer, 1920년 3월 8일 ~ 2003년 12월 27일)는 이들을 인접한 오구즈인의 후손과는 구분되는 아르구 부족의 후손으로 간주했다. 아르구(ارغو, Arghu) 부족은 13세기 몽골의 침공 이후에 이란으로 이주한 튀르크인이며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가 쓴 《튀르크어 방언 개요서(ديوان لغات الترك‎, ''Dīwān Lughāt al-Turk'')》의 기록에 등장한다.

3. 분포


현존하는 할라지인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데 이는 유목민족의 특성상 통혼이 잦아 이민족에 쉽게 동화됐기 때문이다. 본래 할라지인은 중앙아시아에서 거주했으나 아프가니스탄 지방으로 남하했다. 이후 이란 중부와 인도 북부 지역으로 이주한 것으로 간주한다.
아프가니스탄으로 이주한 할라지인인 길지(غلجي‎, Ghilji) 혹은 길자이(غلزی, Ghilzay) 부족은 오늘날 파슈툰인을 구성하는 부족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이들은 파슈툰인에 동화된 할라지인의 후손으로 추정되며 호타키 왕조를 창건한 부족이기도 하다. 인도로 이주한 할라지인은 델리 술탄국에 할지 왕조를 창건해 대대적인 남진 정책으로 영토를 크게 늘렸지만 내부 분열로 왕조가 단명했다. 이란으로 이주한 할라지인은 오늘날까지 존속하고 있다. 약 42,000명의 할라지인이 이란 중부 내륙 지역인 곰주와 마르카지주에 거주한다. 이들은 페르시아인의 영향으로 시아파 이슬람을 믿는다.

4. 언어


할라지어와 함께 페르시아어를 사용한다. 할라지어는 튀르크어족의 보편 튀르크어파에서 유일하게 아르구어파(Arghu)로 분류되는 개별언어이다. 게르하르트 되르퍼에 따르면 할라지어는 인접한 오구즈어파 계열의 언어들에 비해 튀르크조어의 특성이 많이 남아있다고 한다.
글로톨로그에서는 할라지어에 대해 'turk1303'라는 언어부호를 부여했는데, 이는 할라지어를 미상 언어로 분류하기 때문이다.

5. 참고문헌


  • Bosnalı, Sonel (2016). "The Khalaj People and Their Language". In Eker, Süer; Çelik Şavk, Ülkü, eds. Endangered Turkic Languages II A: Case Studies, Volume 2 / Tehlikedeki Türk Dilleri II A: Örnek Çalışmalar, Cilt 2. Ankara; Astana: Hodja Akhmet Yassawi International Turkish-Kazakh University; Ankara International Turkic Academy, pp. 271-275
  • Kıral, Filiz (2000). "Reflections on -miš in Khalaj". In Johanson, Lars; Utas, Bo, eds. Evidentials: Turkic, Iranian and Neighbouring Languages. Berlin: Mouton de Gruyter, p.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