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월
1. 개요
Undecimber[1]
필요에 의해 실존하지만 필요로 인해 존재를 부정당해 실존하지 않는 전설의 달.
2. 상세
2.1. 윤달법에서의 13월
사실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달력은 100% 정확하진 않다. 따라서 이 오차를 메꾸기 위한 꼼수가 존재하는데, 태양력의 경우는 주로 4년 주기로 이런 일이 발생하는데 그래서 이 땐 2월달에 하루를 더 추가해서 2월 29일을 만든다.
한편 태음력의 경우는 이 공백이 더 자주, 더 많이 발생하는 편인지라 이렇게 공백이 생겨서 365일을 채우지 못할 경우 억지로 며칠을 더 추가해서 365일을 맞추곤 하는데, 이렇게 추가된 일들을 '윤달'[2] 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윤달을 흔히 13월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고대 중국에서도 사용했다고 한다.
당연하지만 실제 있는 개념이 아니고 반 농담조로 사용하는 표현이다. 그냥 이런게 있다는 것 정도로만 알아두자. 그리고 보통은 '13월' 보다는 '윤달'을 사용하는 편이다. 예를 들어 윤달이 3일 들어갔다면 그 3일은 '윤달 1일, 윤달 2일, 윤달 3일'이라고 표현하지 '13월 1일, 13월 2일, 13월 3일'로 표현하지는 않는다. 그럴 수 밖에 없는게 이 윤달이 꼭 12월 뒤에만 들어가는게 아니기 때문. 윤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윤달 문서 참고.
2.2. 회계에서의 13월
직장이 있는 사람의 경우 자신의 수입에 걸맞는 양의 주민세, 소득세등 각종 세금을 꼬박꼬박 납부해야 한다. 그런데 이 세금의 경우 말 그대로 자신의 소득 및 지출 등에 비례한 세금을 내는 것인데, 모든 사람들의 소득과 지출이 다 매번 똑같진 않은 관계로 누군가는 소득세를 필요 이상으로 내고, 누군가는 반대로 필요 이하로 내는 경우가 늘 존재한다.
이에 연말에 그동안 소득/지출을 행한 내역들을 정리해서 보고해야 하는데 이걸 '연말정산'이라고 부른다. 이 연말정산을 치루고 나면 실제 소득/지출에 비례한 세금보다 더 많이 납부한 세금이 나오는 관계로 이 추가 납부한 세금을 세금에서 제외시켜주는데 이걸 '공제'라고 한다. 이렇게 '공제된' 세금은 당연히 납부자에게 다시 들어오게 되는데, 이게 흡사 월급을 받는 것 같다 하여 '월급'이라고 불렀고, 여기에 더해 정상적인 12월 내내 정기적으로 받는 월급과는 다른 것이니 13월을 붙여서 '13월 월급'이라고 부른게 정착되어서 그런 의미로 쓰인다. 다른 말로는 '0월 월급'으로 쓰기도 한다.
물론 반대로 세금을 필요 이하로 낸 사람의 경우 반대로 세금을 더 징수당하니 그런 사람들에겐 통하지 않는 개념이다. 아니, 13월의 세금이라고 해야 할지도.
실존하지 않는 개념이지만 회계 프로그램의 경우 13월에 해당하는 수령, 지급을 기록할 수 있다. 회계연도는 항상 1월 1일에 시작해야하는데 사람사는 세상이 대금지불, 회수라는 것이 그렇게 칼같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12월분의 돈 출입이지만 12월 31일 이후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연마감을 하지 않고 13월에 반영한 후 연마감하면 내년으로 깨끗하게 넘어갈 수 있다.
2.3. 기타
에티오피아에는 13월이 '''실제로 있다.''' 참고로 에티오피아의 달력은 1~12월 모두 30일이며, 13월은 5~6일이 존재한다.[3] 이는 KBS 스펀지 48회 방송분에서 소개된 바 있다.
'''네이버 웹툰 신의 탑에 나오는 13월의 무기는 이것과는 연관이 없다.''' 작품 설정상 작품 속 세계엔 정말로 13월이 존재하고 여기서 이름을 따온 것이기 때문.[4]
게임 테일즈위버에도 13월이 있다. 시벨린 우의 프롤로그에서 나오는 오늘란느 공국의 왕위계승자가 "(다른 공작가들이) 저주받은 13월에 태어난 자(자신)가 국가를 계승하는 것만큼은 막아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 거니까. 옛말에도 있지 않나. 저주 받은 달에 태어난 인간은 한 나라를 멸망시킬 운명을 타고 났다고..."라고 말하는 구절로 봤을 때 매우 불길하게 여겨지는 듯 하다.[5]
아룬드 연대기에는 황금 아룬드라는 이름으로 13월이 존재한다.
아이돌 가수 세븐틴의 노래 제목에도 '13월의 춤'이 있다. 세븐틴 퍼포먼스팀 호시, 준, 디에잇, 디노가 미국 뉴욕에서 원테이크로 촬영한 뮤직비디오가 2017년 10월 9일 자정에 브이앱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이후 11월 6일에 세븐틴의 정규2집 앨범에 수록되었다. 노래의 내용은 존재하지 않는 시간을 열어 널 위한 춤을 추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임창정이 2019년 9월 6일에 발매한 정규 15집의 제목과 타이틀곡 역시 십삼월이다. 단, 숫자 13으로 쓰지 않고 한글 '십삼'으로 쓴다.
3. 관련 문서
[1] 14월은 Dodecimber, 15월은 Tredicimber이 될 것이다. 이란같이 3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보는 해는 13월을 January, February에 이어 Gormanuary라 하기도 한다.[2] 여기서 파생된 개념이 '평달'이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1월, 2월, 3월... 12월 이 12개월이 평달이다.[3] 1~12월이 30일이니까 '''2월 30일'''도 있다.[4] 13월이라고 전해져 내려오던 것은 사실 그냥 전설이었고, 자하드와 그의 동료 12명이 135층으로 가는 열쇠를 나눠가지기 위해 13개로 나눈 것이다. 자하드 그리고 원래는 12가주가 되어야 했었던 10가주들.[5] 원작인 룬의 아이들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면 게임 개발 과정에서 삽입된 스토리인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