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운용
5. 종류
5.1. Mk21
5.2. Mk22
5.3. Mk24 Mod1
5.4. Mk28 Mod0
5.5. Mk28 Mod2
5.6. Mk29 Mod0
5.7. Mk30 Mod0
5.8. Mk30 Mod1
5.9. Mk30 Mod69
5.10. Mk32 Mod0
5.11. Mk32 Mod4
5.12. Mk37 Mod0
5.13. Mk38 Mod0
5.14. 포탑 장갑
6. 매체에서의 등장
7. 외부 링크


1. 개요


Mk.12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는 제2차 세계 대전동안 미국 해군이 운용한 주력 양용포이다. 함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물건으로 단장포, 연장포, 예비 물량 등을 합쳐 1만 문 이상이 생산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함포가 전투함의 주력 병기에서 밀려난 이상 앞으로도 이보다 많이 만들어질 함포는 등장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 제원


명칭
포신
사용 함정 목록
Mk.21
단장포
패러것급 구축함
Mk.22
연장포
포터급 구축함, 소머즈급 구축함
Mk.24 Mod1
단장포
Mk.28 Mod 0
연장포

Mk.28 Mod 1
연장포

Mk.28 Mod 2
연장포

Mk.28 Mod 3
연장포

Mk.29 Mod 0


Mk.30 Mod 0
단장포
플레처급 구축함
Mk.32 Mod 0
연장포

Mk.32 Mod 2
연장포

Mk.32 Mod 4
연장포

Mk.38 Mod 0
연장포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3. 상세


'''2차 대전기 가장 성공적인 양용포'''
본래 미 해군이 운용하던 5인치 함포는 대함용 51구경장과 대공용 25구경장으로 나뉘어 있었다. 전자는 대공사격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포신 부양각도 35도로 제한되어 있었으며 속사능력도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었다. 또한 지연신관을 사용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신관을 세팅하는 보조장비도 없었다. 후자의 경우는 부양각이 85도까지 나왔기 때문에 대공사격에 용이했으며 속사를 위한 각종 부수장비가 갖춰져 있었으며 지연신관을 세팅하는 장치까지 장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포신이 짧아 사거리와 포구 초속이 나오지 않아 대함용으로는 부적절했다.
둘 다 써보니 쓰이는 포탄의 구경은 같으면서 포를 따로 장비한다는 데에 굉장한 불합리함을 느낀 미 해군은 이 두 포를 합치기로 한다. 장포신은 대함용으로는 좋지만 대공용으로 쏘기엔 속사가 불가능하며, 대공화망을 구성할 때에 여러 발을 쏘면 포신 수명이 견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포신 대비 무겁고 긴 포신은 포탑의 회전 관성을 증가시켜 포탑회전속도가 떨어지게 되며 이는 대함사격 등 느린표적을 대상으로 할땐 문제가 없지만 빠르게 움직이는 항공기를 추적하고, 빠르게 대응해야하는 대공사격시엔 단점으로 작용한다. 반면 단포신은 이러한 문제로부터는 자유로웠으나 대함용으로 부적절하다는 문제가 있었으므로 그 중간에서 타협점을 찾기로 한다. 그리고 그렇게 38구경장이라는 중포신이 채택된다. 계산해보면 정말 딱 51구경장과 25구경장의 평균이다. 그렇게 채택된 38구경장은 1932년 설계가 완료된다. 포신은 딱 중간 길이지만 엄밀히 따지면 25구경장 대공포의 파생형으로, 단순히 25구경장 포를 대함 임무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포신을 늘인 것에 가깝기 때문이다. [1]
5인치 38구경장 함포는 Mk. 37이라는 걸출한 사통장치와 함께 쓰여 명중률은 물론 속사성도 크게 개선되었다. 최초로 5인치 38구경장을 이용한 함선은 1934년 취역한 구축함 패러것이며, 속사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전용 링마운트와 함께 쓰인 것은 구축함 그리들리로 1937년 취역했다.
그러나 미 해군은 38구경장 양용포의 대함능력이 약간 떨어진다는 문제를 인지하고 있었고, 그래서 포신의 길이를 키운 54구경장짜리 양용포를 만들어내고야 만다.[2] 이 54구경장 양용포의 경우 몬태나급 전함에 탑재될 예정이었으나 몬태나급 건조가 취소되고 대신 미드웨이급 항공모함등 2차 대전 말 혹은 2차 대전 직후에 취역하는 함선들에게 보급된다.

4. 운용


[image]
아이오와급 전함의 부포로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애틀랜타급 경순양함, 기어링급 구축함같은 보조함의 주포로도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포의 조준과 발사는 제도실 (Plotting room)에서 원격으로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사격 통제장치가 고장나거나 포와의 연결이 끊기면 포탑안에서 수동으로 발사가 가능하다. 또한 포탑을 독립적으로 조작할 때에는 포의 격발을 포인터가 담당한다. 방아쇠를 당겨 전류를 흘려 격발하는 방식과 페달을 밟아 공이치기로 격발하는 방식 두가지를 사용한다.
포탑의 좌우 동작을 수행하는 트레이너와 상하 동작을 수행하는 포인터가 표적을 직접 조준하는데 사용하는 망원 조준경이 있다. 망원 조준경의 편차 조정은 Sight setter가 담당하며 대형함선의 주포탑처럼 표적 정보 획득을 위한 측거의나 탄도 계산 컴퓨터가 따로 탑재되어 있지 않은 대신 밀폐형 포탑의 경우 포탑 상부 해치에 Mount captain이 직접 조준하여 조준 방향으로 포구를 조준시킬 수 있는 링사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image]
포탑이 전부가 아니다.
포탑 하부는 양탄기실(호이스트 룸)이라고 하는데 탄약을 종류별로 가지고 있다가 때에 따라 필요한 탄약을 포탑으로 올려준다.
사진은 양탄기실 하부에 바로 탄약고가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함정은 포탑이나 양탄기실이 피격되었을 때에도 탄약고 유폭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양탄기실과 탄약고 사이에 격실을 하나 더 마련하였다.
사진 오른쪽 아래 하부 탄약 양탄기를 2~4층 아래에 있는 탄약고까지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1개 포탑 운용에는 포탑요원과 양탄기 조작반원, 탄약고 요원까지 총 20~30여명이 투입된다.
전후 미처급 구축함을 시작으로 5인치 mk.39 양용포로 교체되었으며, 이후 포레스트 셔먼급 구축함에서 mk.42로 다시 교체된다.

5. 종류



5.1. Mk21



5.2. Mk22



5.3. Mk24 Mod1



5.4. Mk28 Mod0



5.5. Mk28 Mod2


[image]

5.6. Mk29 Mod0



5.7. Mk30 Mod0


[image]

5.8. Mk30 Mod1



5.9. Mk30 Mod69



5.10. Mk32 Mod0



5.11. Mk32 Mod4



5.12. Mk37 Mod0



5.13. Mk38 Mod0


[image]

5.14. 포탑 장갑


Mark 21 Mod 1 : 0.125 인치 (0.32 cm)
Mark 22 Mod 0 : 0.125 인치 (0.32 cm)
Mark 28 Mod 0 : 2.0 인치 (5.08 cm)
Mark 28 Mod 1 : 1.25 인치 (3.2 cm)
Mark 28 Mod 2 : 2.5 인치 (6.35 cm)
Mark 28 Mod 3 : 2.5 인치 (6.35 cm)
Mark 29 Mod 0 : 0.75 인치 (1.9 cm)
Mark 30 Mod 0 : 0.125 인치 (0.32 cm)
Mark 32 Mod 0 : 0.75 인치 (1.9 cm)
Mark 32 Mod 2 : 0.75 인치 (1.9 cm)
Mark 32 Mod 4 : 0.75 인치 (1.9 cm)
Mark 38 Mod 0 : 0.125 인치 (0.32 cm)

6. 매체에서의 등장


워썬더의 미국 해군 트리 구축함들의 주포로 등장한다. VT신관을 사용할 수 있고, 작약량도 상당히 높아서 일반적인 전투기들은 매우 손쉽게 격추할 수 있는데다가 소형 통통배들도 쉽게 격파가 가능하다. 연사력과 포탑 회전 속도도 상당히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고각으로 포를 쏘기 때문에 교전거리가 3km가 넘어가면 맞추기 힘들다.
월드 오브 워쉽의 미국 트리 구축함들이 주포로 애용하는 포이다. 9티어 구축함 플레처까지는 단장포로만 나오다가, 10티어 기어링에 와서야 연장포로 사용해 볼 수 있다. 기어링에 와서는 고증에 충실한 3초의 기본 재장전 시간으로 빠른 연사를 가졌다. 전함과 같이 다른 함종들도 부포로 떡칠하는 포로, 대공 방어에 매우 유용하다.
영화 언더 시즈에서는 토마호크 미사일을 탈취한 테러범들의 잠수함을 공격하는 전초작업인 조명탄 발사에 사용된다. 위 운용문단의 첫 사진이 영화속 그 장면이다.

7. 외부 링크


USA 5"/38 (12.7 cm) Mark 12
Gun Mount And Turret Catalog, Ordnance Pamphlet 1112

[1] 사실 포탑 회전속도의 증가는 구경장이 줄어서가 아니라, 밀폐형 포탑을 사용했기 때문에 빠르게 회전시키더라도 안전 문제가 적었고 유압식 회전장치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2] 우스터급 경순양함에 이르러서는 6인치 양용포도 선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