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USA
1. 개요
2. 《BEST&USA》
3. 수록곡
3.1. UNIVERSE feat.Crystal Kay & VERBAL[m-flo]
3.1.1. 가사
3.2. DO THE MOTION
3.5. Winter Love
3.6.1. 가사
3.7. Sweet Impact
3.9. LOVE LETTER
3.10. Sparkling
3.11. KEY OF HEART
3.12. make a secret
3.13. Everlasting
3.14. LOSE YOUR MIND feat.Yutaka Furukawa from DOPING PANDA
3.15. Believe in LOVE feat.BoA (Acoustic Version)
3.15.1. 가사
3.16. VALENTI ~BEST&USA Version~
3.16.1. 가사
4. 소개
5. 수록곡 선정에 대한 비판
6. 결과
[clearfix]
1. 개요
2009년 3월 18일에 발매된 BoA의 두 번째 일본 베스트 앨범이다. 미국 정규 1집 BoA와 같은 날에 발표되었으며, 처음으로 2CD, 2CD+2DVD등 현재까지의 커리어 중 가장 많은 CD, DVD 종류로 나온 앨범이다. BoA의 모든 정규/베스트 음반 중 '''마지막으로 오리콘 데일리 차트 1위'''를 기록한 앨범이지만, 첫주에 주간 차트 2위에 그치면서 연속 1위 기록은 7년으로 막을 내렸다. 총 132,570장, 14주 차트인을 기록하면서 일본에서 마지막으로 오리콘 10주 이상 차트인 및 10만장 이상 기록한 보아 앨범이 되었다.
2. 《BEST&USA》
3. 수록곡
3.1. UNIVERSE feat.Crystal Kay & VERBAL[m-flo]
3.1.1. 가사
3.2. DO THE MOTION
3.2.1. 뮤직비디오
3.2.2. 가사
3.3. 永遠[12]
3.3.1. 뮤직비디오
3.3.2. 가사
3.4. 七色の明日~brand new beat~[13]
3.4.1. 뮤직비디오
3.4.2. 가사
3.5. Winter Love
3.5.1. 뮤직비디오
3.5.2. 가사
3.6. メリクリ~BEST&USA Version~[14]
3.6.1. 가사
3.7. Sweet Impact
3.7.1. 뮤직비디오
3.7.2. 가사
3.8. 抱きしめる[15]
3.8.1. 뮤직비디오
3.8.2. 가사
3.9. LOVE LETTER
3.9.1. 뮤직비디오
3.9.2. 가사
3.10. Sparkling
3.10.1. 뮤직비디오
3.10.2. 가사
3.11. KEY OF HEART
3.11.1. 뮤직비디오
3.11.2. 가사
3.12. make a secret
3.12.1. 뮤직비디오
3.12.2. 가사
3.13. Everlasting
3.13.1. 뮤직비디오
3.13.2. 가사
3.14. LOSE YOUR MIND feat.Yutaka Furukawa from DOPING PANDA
3.14.1. 뮤직비디오
3.14.2. 가사
3.15. Believe in LOVE feat.BoA (Acoustic Version)
3.15.1. 가사
3.16. VALENTI ~BEST&USA Version~
3.16.1. 가사
4. 소개
BoA가 2008년 2월 6집 THE FACE, 2008년 6월 VIVID(Kissing You / Sparkling / Jouful Smile) 싱글을 발표한 직후 미국에 본격 진출하면서 일본에서 전례없는 공백기를 맞았다. 물론 2008년 11월에 BEST&USA 자켓을 촬영하고, 그해 12월 영원 싱글 계획이 공개되는 등 완전히 활동이 끊긴 것은 아니었지만, 꽤 오랫동안 일본에서 자리를 비우게 된 탓에 일본 팬들을 전전긍긍하게 만들었다. 해를 넘기고 2009년이 되어서 베스트 앨범 계획이 발표되었고, 미국 앨범 발매에 맞추어 3월 18일, 일본에서 두 번째로 베스트 앨범을 발표했다.
이 당시 한창 미국 활동에 주력한 데다 미국 정규 앨범과 같은 날에 나오는 바람에, 2CD와 2CD+2DVD는 미국앨범을 아예 패키지로 넣었다. 1CD에는 KEY OF HEART가 빠지고 I Did It For Love와 Eat You Up이 들어가 총 17트랙, 2CD와 2CD+2DVD에는 두 곡이 빠지고 다시 Key of Heart가 수록되어 총 16트랙이다. 한국엔 이미 BoA가 동시 발매되었기 때문에 한국 라이센스반에서는 미국앨범이 빠지고 BESTⅡ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원래 일본에서 발매가 되면 동시 발매하거나 1주일 뒤 라이센스반이 발매되는데 이 앨범은 일본 발매 후 1달여 정도가 지나서 국내에 발매되었다. 아마 첫번째 트랙 UNIVERSE에 참여한 크리스탈 케이의 당시 레이블인 소니뮤직과의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느라 늦게 나온 모양. 그래도 팬들은 UNIVERSE를 정식 음원으로 들을 수 있어서 행복해했다.[16] [17]
최고 히트곡인 Valenti[18] 와 メリクリ를 재녹음해 넣었다. 탁성이 깨끗하게 사라지고 청아해진 보컬이 포인트다.
자켓[19] 상 왼쪽의 보아는 강한 보아, 우측은 여린 보아를 상징한 것이다. 그냥 미국의 보아와 일본에서의 보아로 보면 될 듯 싶다.
5. 수록곡 선정에 대한 비판
트랙 리스트 공개 당시 논란이 있었다. 당시 미국 정규 앨범에 대해서 보아의 미국 공식 홈페이지도, SM USA도 타이틀곡을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공개하지 않은 상황에서 '''일본 공식 홈페이지에서 미국 앨범의 트랙리스트를 모조리 공개했다!''' 미국앨범 정보가 왜 일본 홈페이지에서 먼저 공개되는지 많은 팬들이 의문을 가졌으며, 정보 하나 제대로 간수 못하는 SM을 욕하거나, 제멋대로 정보 풀고 갑질한 에이벡스를 욕하는 쪽으로 나뉘기도 했다.
트랙 리스트에 대한 논란이 가장 많았던 앨범이기도 하다. 첫 번째 베스트 앨범 BEST OF SOUL은 보아의 양대 히트곡인 VALENTI, 메리크리가 포함되어 트랙에 대한 불만을 어느 정도 상쇄했고, 타이틀로 선정한 LISTEN TO MY HEART를 1번에 배치한 것을 예외로 둔다면 싱글 발매 순서대로 노래가 배치되었기 때문에 노래 순서에 어느 정도 일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이 앨범은 뜬금없이 한 달 전에 나온 싱글 수록곡이 1번 트랙으로 들어가질 않나, 발매 순서와 상관없이 뒤죽박죽 노래가 배치되어 일관성이 전혀 없었다.[20]
게다가 들어가야 할 곡이 빠지고, 없어도 될 곡이 들어가는 등 트랙 자체에도 불만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다. 예를 들자면 싱글 수록곡임에도 웬만한 싱글 곡보다 인기가 많았던 키미노토나리데[21] , 리컷 싱글도 아닌 be with you. 및 뮤직비디오까지 찍은 Kissing You가 빠지고, 1CD 버전에선 미국 정규 2곡을 싣느라 엄연히 정식 싱글로 발표된 KEY OF HEART가 빠지기까지 했다. 더욱이 한 달 전 발매된 영원 싱글 수록곡 3곡이 중구난방 배치된데다 지난 베스트에 수록된 VALENTI와 메리크리가 재편곡 버전으로 들어가는 등[22] 노래 선정에 의문을 표하는 팬들이 굉장히 많았다. 특히 일본 팬들이 KEY OF HEART를 베스트 앨범으로 들으려면 강제로 2CD 또는 2CD + 2DVD를 사야만 했고, Eat You Up과 I Did It For Love는 어떤 버전을 사던 무조건 들어있어, 일본 노래를 들으려고 산 앨범에서 뜬금없이 미국 신곡을 들어야만 하는 생뚱맞은 상황이 초래되었다.
이처럼 수록곡 선정에 대한 기준이 전혀 없었고, BEST OF SOUL 이후 대박 싱글이 없다고는 하나 그 이전에 나온 대박 싱글 곡을 재배치하는 등 정규 앨범답지 못한 저조한 퀄리티를 보여준 까닭에, 일본에서 가장 잘 팔리는 베스트 컴필레이션 음반임에도 연속 1위 기록이 깨지면서 3년 전 베스트의 1/8도 안 되는 초라한 판매량과 성적을 받아들여야만 했다.
6. 결과
오랜 공백기와 저조한 앨범 퀄리티로 일본 대중들의 기대는 낮아져 있었지만, 보아라는 가수의 이름값이 여전히 강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발매 당일을 포함 초반 3일은 오리콘 데일리 1위로 랭크인 되었으나, 며칠 뒤, 어느 한 국민가수의 앨범이 발매되었고 발매 첫날부터 판매량이 폭등하며 결국 이 앨범에 위클리 차트 1위를 빼앗기게 된다. 위클리 1위를 놓친 것이 아주 뼈아팠던 이유가, 당시 보아는 BEST OF SOUL - DO THE MOTION 이후 하락세가 지속되며 적절한 시점에서 반등이 필요했다. 특히 6집 성적을 보면 기존의 위상이 위태로운 정도의 성적이었는데, 설상가상 미국 진출을 해버리면서 공백까지 길어진 상황이었다. 그래서 이번 베스트 앨범은 보아라는 가수가 일본에서 현재의 입지를 얼마나 오래 지속시킬 수 있을지를 가르는 중요한 변곡점이라고 할 수 있었는데, 오리콘 차트 1위를 놓친 데다 13만장에 그친 성적으로 오랜 공백기를 무마시킬 성적을 전혀 내지 못하고, 오히려 하락세를 가속화시켰다. 결국 이 앨범을 끝으로 일본에서 10만장이 넘는 앨범을 배출해내지 못하였고, 이 다음해 낸 정규 7집 IDENTITY 이후로는 공백기가 더더욱 길어져 현역에서 레전드로 이미지가 급격히 넘어가게 된다.
총판매량:132,570장 최고순위:2위 등장횟수:14
[1] 발음은 「에이엔」, 뜻은 '영원(먼 길)'이다.[2] 발음은 「나나이로노 아시타」, 뜻은 '일곱 빛깔의 내일'이다.[3] 발음은 「메리크리」이다.[4] 발음은 「다키시메루」, 뜻은 '안아줄게'이다.[5] 발음은 「에이엔」, 뜻은 '영원(먼 길)'이다.[6] 일본, 대만 1CD 오리지널 반에는 미수록되었다. 한국 라이센스반에서는 1CD에도 실렸다.[7] 일본 2CD반은 DVD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 정규 1집이 2번째 디스크다.[8] 일본, 대만 2CD + 2DVD반 한정. 일본 2CD반은 DVD가 없기 때문에 이 앨범이 2번째 디스크이며, 한국 라이센스반은 미국 앨범이 따로 발매되어 2CD + 2DVD반이 나오지 않았다.[9] 곡을 받았을 때 기록된 크레딧에 B.Spears라 적혀 있었다고 한다. 스태프에게 물어보니 그 브리트니가 맞다고 해서 몹시 놀랐다고. 소문에 의하면 In The Zone에 수록하려다 앨범 분위기와 맞지 않아 무산되었고, 당시 프로듀서였던 Henrik Jonback이 이 앨범을 프로듀싱 하면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10] 애니밴드 3번 트랙에 실린 Daydream을 리메이크 하였다.[11] 한국 정규 5집 앨범 Girls On Top의 영어버전. 2005년 대비 말끔히 사라진 보아의 탁성이 귀를 확 끄는게 포인트[12] 발음은 「에이엔」, 뜻은 '영원(먼 길)'이다.[13] 발음은 「나나이로노 아시타」, 뜻은 '일곱 빛깔의 내일'이다.[14] 발음은 「메리크리」이다.[15] 발음은 「다키시메루」, 뜻은 '안아줄게'이다.[16] 소니뮤직이 저작권에 유독 박하다. BoA의 경우 THE FACE앨범 초회한정반 보너스 트랙의 경우 SEAMO의 레이블인 소니와의 저작권 문제로 라이센스에서 제외되었으며, 2013년 Here I Am 콘서트의 경우, LOSE YOUR MIND의 수록이 당시 기타 연주로 피쳐링에 참여했던 Doping Panda의 레이블과의 저작권 문제로 DVD 미수록이 되었다.[17] 이때 해결이 되어서 그런지 크리스탈 케이의 베스트 앨범에 수록된 Girlfriend feat.BoA도 문제없이 국내에 라이센스 발매가 되었다.[18] 2013년 한국 첫 콘서트인 Here I Am에서 메들리로 부를 때 이 편곡 버전으로 불렀다.[19] 2CD, 2CD+2DVD반 기준[20] 당장 위의 표를 보면 싱글 숫자가 어떠한 순서 없이 뒤죽박죽으로 쓰여진 것을 볼 수 있다.[21] 이 노래는 앨범 자켓을 찍었던 2008년 11월까지만 해도 수록 예정이었다. 그러나 중간에 트랙 리스트가 수정되면서 빠졌다.[22] 보통 어떤 가수던지 재편곡 버전은 정규 사이즈 앨범에 잘 싣지 않고 리믹스 앨범, 리마스터링 앨범 등 비정규 사이즈에 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