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ARK-1
[image]
대한민국 국군에서 사용하는 신경작용제 해독제킷. 미군의 MARK-1과 동일하다. KD-1#s-2과 함께 병기본 화생방의 필수요소.
[image]
미군의 MARK-1.
스프링으로 자동 주사되는 주사기 두개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법도 간단해서 작은 아트로핀 주사기 - 큰 옥심 주사기 순으로 엉덩이나 허벅지에 찔러넣으면 된다. 아드로핀 주사기는 신속한 증상억제용, 옥심 주사기는 작용제 치료용으로 사용된다.
꼭지부분이 눌리면 내부 스프링에 의해 바늘이 튀어나오고 해독제가 순식간에 주사된다. 이런 자동주사기와 동일한 원리로 만들어 민간에서 자가주사제로 널리 쓰이는 물건이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 자가주사제로 널리 쓰이는 에피펜이다. 땅콩 알레르기나 말벌에 쏘인 과민성 쇼크의 구급약으로 쓰인다.
가끔 실습용으로 빼둔 사용품이 진짜로 작동돼서 부대가 난리나기도 한다.[1] 아드로핀 주사의 경우 신경작용제의 신속한 증상억제를 위해 제작되어 신경작용제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이 투여할 경우 동공확대, 두통, 어지럼증을 동반하며 심각한 탈수증상으로 인해 자칫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2] 실수로 폐기물 처리 작업하다가, 손가락에 찔려 약간의 약물이 투입될 경우 처음에는 아무렇지 않겠지만 점점 붓고, 손가락이 잘려나갈 것 같은 고통을 느끼게 된다. 하룻동안 얼음찜질을 하고 다음날에는 고통은 사라지고 붓기는 며칠동안은 계속 갈 것이다. 훈련중에 실 교보재를 실수로 주사했다면 주변 인원에게 알리고 신속하게 의무대에 가 보는것이 좋다.
아트로핀 주사기는 누른 쪽에서, 옥심 주사기는 누른 쪽은 물론이며, 반대쪽의 버튼을 눌러도 바늘이 튀어나온다. 헷갈리지 말자. 바늘의 위력은 마른 나무가지 정도는 충분히 파고들어갈 정도이며, 재수없으면 바늘이 순식간에 손을 관통하여 손톱이 들릴 수도 있다. 그러니까 취급에 익숙치 않으면 그냥 어디든 간에 손으로는 누르지 않는것이 좋다.
사용한 주사기는 버리지 말고 투여 용량 초과를 방지하기 위해 바늘을 구부린 후 사용자의 가슴 주머니에 꽂아놓거나, 옷을 벗겨놓아야 하는 등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3] 몸에 글씨를 써서라도 몇 번 투여하였는지 눈에 띄게 표시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1인당 1키트씩 3회(10~15분마다 1회)까지 주사할 수 있으며, 4회 이상으로 주사해야할 경우 군의관과 상의하여야 한다.
실습용 KMARK-1의 녹슨 주사바늘에 파상풍에 걸렸다는 도시전설이 있으나, 10년 이상 지난 물건도 바늘이 밀봉되어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녹슬 일도 없고, 다들 입대할 때 파상풍 주사 맞는다.
화학부대에는 창고에서 굴러다닐 정도로 많은 물건이지만 의외로 비싸서 단가가 삼만원을 넘어간다. 당연한 것이 1.의약품 2.완전 밀봉 3.자동주사킷 이 3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쌀리가 없다.
실습으로 수평으로 발사하는 경우 내리쳤더니 약물이 3미터가량 발사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MARK-1 분사 장면
이렇게 강한 바늘과 약물 분사압이 적용된 이유는, 상술했듯이 '''신경작용제 노출 상황에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화학탄이 이미 터져서 가스가 퍼진 상황이고, 병사들은 이미 가스에 노출될대로 노출되어 힘을 잃고 죽어가는 상황에 쓰라고 만든 것이다. 그래서 병사들이 약한 힘으로도 두꺼운 전투복과 화생방보호의를 뚫고 최대한 빨리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서 저런 바늘과 압력을 쓸 수밖에 없다.
신경의 뉴런 간 신호 전달에는 아세틸콜린 (이후 ACh)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이용된다. 신경신호가 전달된 후 아세틸콜린은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이후 AChE)라는 효소에의해 분해되어야 정상적 신호전달을 계속할 수있다. 그런데 신경작용제는 그 분해효소와 결합해서 분해작용을 방해한다. 그러니 신경작용제에 노출되면 분해되지 않는 아세틸콜린에 의해 계속 흥분상태가 이어지므로 부교감신경이 과다한 자극을 받아 신경작용제 오염반응이 나타난다. 아트로핀은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결합하여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과도하게 활성된 신경이 안정되도록 진정제 역할을 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트로핀 항목 참조.
아트로핀은 신경작용제로 인한 신체의 이상작용을 잠시 멈추게 할 뿐 궁극적으로 치료를 해 주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곧바로 옥심(정확히는 옥심의 일종인 pralidoxime, 2-PAM 또는 2-pyridine aldoxime methyl chloride(모두 동의어)) 주사를 맞아야 한다. 옥심은 신경작용제와 결합하여 기능을 상실한 AChE를 복원한다. 이 때 옥심은 신경작용제와 AChE를 분리할 뿐 신경작용제를 궁극적으로 제거해주지는 않는다. 그래서 옥심은 아트로핀보다 신경작용제를 좀 더 근본적으로 막아주긴 하지만 완전한 치료제가 되지는 않는다.[4] 체내에 있는 신경작용제를 완전히 제거해야 치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5] .
결국 아트로핀 주사는 죽어가고 있는 병사가 약간의 시간이라도 벌 수 있도록 정신줄을 붙잡을 수 있게 해 주는 주사이고, 옥심 주사는 그 병사가 후방으로 빠져서 제대로 된 의료적 처치를 받을 수 있을 때까지 증상을 억제시켜 주는 주사라고 보면 되겠다.
1. 개요
대한민국 국군에서 사용하는 신경작용제 해독제킷. 미군의 MARK-1과 동일하다. KD-1#s-2과 함께 병기본 화생방의 필수요소.
2. 상세
[image]
미군의 MARK-1.
스프링으로 자동 주사되는 주사기 두개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법도 간단해서 작은 아트로핀 주사기 - 큰 옥심 주사기 순으로 엉덩이나 허벅지에 찔러넣으면 된다. 아드로핀 주사기는 신속한 증상억제용, 옥심 주사기는 작용제 치료용으로 사용된다.
꼭지부분이 눌리면 내부 스프링에 의해 바늘이 튀어나오고 해독제가 순식간에 주사된다. 이런 자동주사기와 동일한 원리로 만들어 민간에서 자가주사제로 널리 쓰이는 물건이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 자가주사제로 널리 쓰이는 에피펜이다. 땅콩 알레르기나 말벌에 쏘인 과민성 쇼크의 구급약으로 쓰인다.
가끔 실습용으로 빼둔 사용품이 진짜로 작동돼서 부대가 난리나기도 한다.[1] 아드로핀 주사의 경우 신경작용제의 신속한 증상억제를 위해 제작되어 신경작용제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이 투여할 경우 동공확대, 두통, 어지럼증을 동반하며 심각한 탈수증상으로 인해 자칫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2] 실수로 폐기물 처리 작업하다가, 손가락에 찔려 약간의 약물이 투입될 경우 처음에는 아무렇지 않겠지만 점점 붓고, 손가락이 잘려나갈 것 같은 고통을 느끼게 된다. 하룻동안 얼음찜질을 하고 다음날에는 고통은 사라지고 붓기는 며칠동안은 계속 갈 것이다. 훈련중에 실 교보재를 실수로 주사했다면 주변 인원에게 알리고 신속하게 의무대에 가 보는것이 좋다.
아트로핀 주사기는 누른 쪽에서, 옥심 주사기는 누른 쪽은 물론이며, 반대쪽의 버튼을 눌러도 바늘이 튀어나온다. 헷갈리지 말자. 바늘의 위력은 마른 나무가지 정도는 충분히 파고들어갈 정도이며, 재수없으면 바늘이 순식간에 손을 관통하여 손톱이 들릴 수도 있다. 그러니까 취급에 익숙치 않으면 그냥 어디든 간에 손으로는 누르지 않는것이 좋다.
사용한 주사기는 버리지 말고 투여 용량 초과를 방지하기 위해 바늘을 구부린 후 사용자의 가슴 주머니에 꽂아놓거나, 옷을 벗겨놓아야 하는 등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3] 몸에 글씨를 써서라도 몇 번 투여하였는지 눈에 띄게 표시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1인당 1키트씩 3회(10~15분마다 1회)까지 주사할 수 있으며, 4회 이상으로 주사해야할 경우 군의관과 상의하여야 한다.
실습용 KMARK-1의 녹슨 주사바늘에 파상풍에 걸렸다는 도시전설이 있으나, 10년 이상 지난 물건도 바늘이 밀봉되어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녹슬 일도 없고, 다들 입대할 때 파상풍 주사 맞는다.
화학부대에는 창고에서 굴러다닐 정도로 많은 물건이지만 의외로 비싸서 단가가 삼만원을 넘어간다. 당연한 것이 1.의약품 2.완전 밀봉 3.자동주사킷 이 3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쌀리가 없다.
실습으로 수평으로 발사하는 경우 내리쳤더니 약물이 3미터가량 발사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MARK-1 분사 장면
이렇게 강한 바늘과 약물 분사압이 적용된 이유는, 상술했듯이 '''신경작용제 노출 상황에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화학탄이 이미 터져서 가스가 퍼진 상황이고, 병사들은 이미 가스에 노출될대로 노출되어 힘을 잃고 죽어가는 상황에 쓰라고 만든 것이다. 그래서 병사들이 약한 힘으로도 두꺼운 전투복과 화생방보호의를 뚫고 최대한 빨리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서 저런 바늘과 압력을 쓸 수밖에 없다.
3. 원리
신경의 뉴런 간 신호 전달에는 아세틸콜린 (이후 ACh)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이용된다. 신경신호가 전달된 후 아세틸콜린은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이후 AChE)라는 효소에의해 분해되어야 정상적 신호전달을 계속할 수있다. 그런데 신경작용제는 그 분해효소와 결합해서 분해작용을 방해한다. 그러니 신경작용제에 노출되면 분해되지 않는 아세틸콜린에 의해 계속 흥분상태가 이어지므로 부교감신경이 과다한 자극을 받아 신경작용제 오염반응이 나타난다. 아트로핀은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결합하여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과도하게 활성된 신경이 안정되도록 진정제 역할을 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트로핀 항목 참조.
아트로핀은 신경작용제로 인한 신체의 이상작용을 잠시 멈추게 할 뿐 궁극적으로 치료를 해 주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곧바로 옥심(정확히는 옥심의 일종인 pralidoxime, 2-PAM 또는 2-pyridine aldoxime methyl chloride(모두 동의어)) 주사를 맞아야 한다. 옥심은 신경작용제와 결합하여 기능을 상실한 AChE를 복원한다. 이 때 옥심은 신경작용제와 AChE를 분리할 뿐 신경작용제를 궁극적으로 제거해주지는 않는다. 그래서 옥심은 아트로핀보다 신경작용제를 좀 더 근본적으로 막아주긴 하지만 완전한 치료제가 되지는 않는다.[4] 체내에 있는 신경작용제를 완전히 제거해야 치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5] .
결국 아트로핀 주사는 죽어가고 있는 병사가 약간의 시간이라도 벌 수 있도록 정신줄을 붙잡을 수 있게 해 주는 주사이고, 옥심 주사는 그 병사가 후방으로 빠져서 제대로 된 의료적 처치를 받을 수 있을 때까지 증상을 억제시켜 주는 주사라고 보면 되겠다.
[1]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교보재용 주사기는 미리 약물을 빼놓고 바늘을 부러뜨려 놓기도 한다[2] 실제로 K마크-1을 멀쩡한 사람에게 주사하면 얼마 못가 픽 쓰러진다. 약제의 원리가 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독성 물질을 이용해 다른 물질의 효과를 억제시키는 이독제독 방식이기 때문에, 이 약제도 사실 해로운 독성 물질이다.[3] 제독 과정에서 피복을 제거해야 할 수 있다. 방독면으로 막아내는 것에 실패하여 KMARK-1까지 써야하는 상황이라면 화학무기가 피복에 묻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4] 참고로 시간이 지나면 옥심이 듣질 않는다 이걸 aging이라고 부르는데 이 상태에서는 Ache가 복원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신경작용제를 소량으로라도 투입되었더라면 군의관 기다리지 말고 바로 옥심 먼저 찾아라.[5] 소만 가스(GD)의 경우 Pralidoxime의 작용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만에 노출되면 치료가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