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43
디지털큐브의 PMP 브랜드인 아이스테이션의 중반기 모델 중 하나.
스테디 셀러였던 V43을 기반으로 더욱 기능과 성능을 확장시켜 한때 시대를 풍미했던 PMP 중 하나이다.
V43과 같이 차세대 PMP를 논하게 만든 녀석. 즉 재생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동시에 외부 '앱'들을 구동할 수 있었다.
30GB/60GB 및 사전이나 DMB가 가능한 버전으로 구분되었다.
게다가 후기에는 USB장착형 무선랜도 나왔다. 물론 공식적인 소프트웨어 지원이 병맛이라 브라우저는 유저들이 알아서 구해다 썼다.
리눅스 기반의 OS를 사용하였고, 당연히 이는 이 PMP의 확장성을 PDA부럽지 않게 쓸 수 있도록 했다. 사실 인터넷 사용의 제약이 있었고[1] , 앱만 부족했지 마치 안드로이드가 설치된 현세대 MP3들을 쓰는 느낌으로 쓸 수 있었다.
V43 당시 유저들이 PDA의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인 'Qtopia'를 V43용으로 컨버젼해서 인스톨해 사용하였고, T43이 발매 할 때 이 'Qtopia'를 기본 OS로 사용했다. 당연이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었다.
아무튼 상당이 확장성이 뛰어났던 PMP.
캐비넷(cab) 파일을 지정된 폴더에 넣고, PMP상에서 실행함으로서 설치할 수 있었다. 애초에 기기 자체가 그러라고 시스템 영역 용량을 충분하게 잡아줬었다. 이렇게 설치된 앱들은 수는 적었지만 '브라우저' '신체리듬' '사전' '소설 뷰어' '만화 뷰어' '오픈 소스 그림판' 등 한번쯤은 현세대 스마트폰에 깔아봤을 녀석들.
런처(스킨) 공유가 활성화 되어있었는데, 지정된 폴더에 플래시 기반의 파일을 넣으면, 그 파일로 기본 화면을 잡아주기 때문에 유저 입맛대로 시작화면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었다. 바탕화면 이미지만 바뀌는게 아니라 플래시 파일 기반의 레이아웃 등이 확 바뀌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내부 시스템 파일을 자체적인 PMP 브라우저로 교체할 수 있었기 때문에, window스킨이라든지 각종 스킨을 교체하는 일도 많았다.
게다가 이놈은 웃긴게 2006년 PMP 주제에 메모리(그러니까 램)의 실시간 사용량을 보여주기도 했다. 여러모로 비범했던 녀석.
컨트롤이 막장이되지만 워크를 돌린 사람도 있었다. 스타는 초반화면만 실행되었는듯.
화면 갱신 속도가 안습이긴 하지만 PC를 원격조정 할 수도 있었다.
이외에도 유저들이 만든 런처OS를 실행할 수 있는 버튼도 공식 지원했다.
보통 에뮬레이터를 돌릴때 사용했는데 이 에뮬들로
게다가 PSP의 커스텀 펌웨어에서 돌아가도록 변환된 미연시 게임들이 폰트 정도만 만져주면 그대로 돌아갈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T43을 비롯한 아이스테이션 PMP로 미연시에 입문한 사람도 굉장이 많다.
당시 준 공식 포럼들의 자료실에는 V43,T43,M43 등 에서 돌릴 수 있는 미연시 파일들이 공연연히 돌아다녔다.
V43 처럼 기본 밸류 팩 외의 주변기기와 악세사리는 모두 별도 구매라는 것도 유저들의 악평을 받았다. (가죽 파우치, 전용 스트랩, 추가 배터리, 외부 전원용 어댑터, 네비게이션 셋트, '''리모컨''', '''크래들''', DMB 셋트 등.)
어찌됐든 여러모로 시대를 풍미한 기기.
스테디 셀러였던 V43을 기반으로 더욱 기능과 성능을 확장시켜 한때 시대를 풍미했던 PMP 중 하나이다.
V43과 같이 차세대 PMP를 논하게 만든 녀석. 즉 재생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동시에 외부 '앱'들을 구동할 수 있었다.
30GB/60GB 및 사전이나 DMB가 가능한 버전으로 구분되었다.
게다가 후기에는 USB장착형 무선랜도 나왔다. 물론 공식적인 소프트웨어 지원이 병맛이라 브라우저는 유저들이 알아서 구해다 썼다.
리눅스 기반의 OS를 사용하였고, 당연히 이는 이 PMP의 확장성을 PDA부럽지 않게 쓸 수 있도록 했다. 사실 인터넷 사용의 제약이 있었고[1] , 앱만 부족했지 마치 안드로이드가 설치된 현세대 MP3들을 쓰는 느낌으로 쓸 수 있었다.
V43 당시 유저들이 PDA의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인 'Qtopia'를 V43용으로 컨버젼해서 인스톨해 사용하였고, T43이 발매 할 때 이 'Qtopia'를 기본 OS로 사용했다. 당연이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었다.
아무튼 상당이 확장성이 뛰어났던 PMP.
캐비넷(cab) 파일을 지정된 폴더에 넣고, PMP상에서 실행함으로서 설치할 수 있었다. 애초에 기기 자체가 그러라고 시스템 영역 용량을 충분하게 잡아줬었다. 이렇게 설치된 앱들은 수는 적었지만 '브라우저' '신체리듬' '사전' '소설 뷰어' '만화 뷰어' '오픈 소스 그림판' 등 한번쯤은 현세대 스마트폰에 깔아봤을 녀석들.
런처(스킨) 공유가 활성화 되어있었는데, 지정된 폴더에 플래시 기반의 파일을 넣으면, 그 파일로 기본 화면을 잡아주기 때문에 유저 입맛대로 시작화면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었다. 바탕화면 이미지만 바뀌는게 아니라 플래시 파일 기반의 레이아웃 등이 확 바뀌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내부 시스템 파일을 자체적인 PMP 브라우저로 교체할 수 있었기 때문에, window스킨이라든지 각종 스킨을 교체하는 일도 많았다.
게다가 이놈은 웃긴게 2006년 PMP 주제에 메모리(그러니까 램)의 실시간 사용량을 보여주기도 했다. 여러모로 비범했던 녀석.
컨트롤이 막장이되지만 워크를 돌린 사람도 있었다. 스타는 초반화면만 실행되었는듯.
화면 갱신 속도가 안습이긴 하지만 PC를 원격조정 할 수도 있었다.
이외에도 유저들이 만든 런처OS를 실행할 수 있는 버튼도 공식 지원했다.
보통 에뮬레이터를 돌릴때 사용했는데 이 에뮬들로
게다가 PSP의 커스텀 펌웨어에서 돌아가도록 변환된 미연시 게임들이 폰트 정도만 만져주면 그대로 돌아갈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T43을 비롯한 아이스테이션 PMP로 미연시에 입문한 사람도 굉장이 많다.
당시 준 공식 포럼들의 자료실에는 V43,T43,M43 등 에서 돌릴 수 있는 미연시 파일들이 공연연히 돌아다녔다.
V43 처럼 기본 밸류 팩 외의 주변기기와 악세사리는 모두 별도 구매라는 것도 유저들의 악평을 받았다. (가죽 파우치, 전용 스트랩, 추가 배터리, 외부 전원용 어댑터, 네비게이션 셋트, '''리모컨''', '''크래들''', DMB 셋트 등.)
어찌됐든 여러모로 시대를 풍미한 기기.
[1] T43전용 무선랜카드를 별매품으로 판매하긴 했으나 당시에는 스마트폰도 대중화되지 않았던 때라 무선공유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집도 많았고, 웹브라우저도 KDE의 컹커러의 기능을 다이어트한 버전이어서 인터넷에 접속이 되어도 할 수 있는 작업이 많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