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03 전차

 




[image]
M103 Heavy Tank[1]
미국에서 대량생산중전차이자 미군 최후의 중전차이다.
1. 제원
2. 탄생배경
3. 성능
4. 생산 및 배치,운용
5. 각 형식별 목록
5.1. 파이팅 몬스터?
6. 매체에서의 등장
6.1. 게임
6.2. 모형


1. 제원


  • 중량 : 58t
  • 전장 : 6.99m
  • 전폭 : 3.76m
  • 전고 : 3.23m
  • 승무원 : 5명 (전차장,포수,조종수,탄약수 2명)
  • 장갑 : 최대 186mm
  • 주무장 : 120mm M58(T123E1) 1문 (34발)
  • 부무장
  • 엔진
    • M103A1 : Continental AV-1790-5B/-7/-7B/-7C 12기통 공랭식 가솔린엔진 810hp
    • M103A2 : Continental AVDS-1790-2A, 12기동 공랭식 이중 터보차져 디젤엔진 750hp
  • 톤당 마력
    • M103: 12.4 hp/ton
    • M103A2: 11.5 hp/ton
  • 변속기
    • M103A1 : General Motors CD-850-4A/-4B, 2단 전진, 1단 후퇴
    • M103A2 : General Motors CD-850-6/-6B, 2단 전진, 1단 후퇴
  • 현가장치 : 토션 바
  • 연료적재량 : 710리터
  • 항속거리
    • M103 : 130km
    • M103A2: 480km
  • 속도
    • M103 : 34km/h
    • M103A2 : 37km/h
  • 생산량 : 300대

2. 탄생배경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된 다음 소련의 전승기념 퍼레이드에 나타난 IS-3 중전차에 충격에 빠진 미국은 훗날 있을지 모르는 소련과의 전쟁에서 일어날 소련의 전차돌격작전에 대비해 개발한 중전차다. 포는 120mm M1 대공포를 기반으로 하며, 이미 2차 대전 중에 개발한 120mm 시제기 T34의 정보를 많이 채용했다. 이 데이터는 똑같이 발등에 불 떨어진 영국이 개발한 FV214 컨커러에도 들어가 영미가 개발한 중전차는 거의 동일한 주포를 사용하게 된다. 프랑스의 경우 AMX-50에 올릴 120mm 클립형 주포를 개발하기도 했지만, 포 자체는 달랐다.

3. 성능


[image]
M103의 장갑 도면
참고 대상이었던 T34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로 만들어 방어력을 향상시켰으며, M48 패튼M60 패튼의 810, 750 마력의 엔진들을 공유해 시속 34km를 주행할 수 있는 무난한 기동성을 지녔다.
주포로는 120mm M1 대공포을 개수한 68.5구경장 120mm 포를 탑재하여 M48 패튼이나 센츄리온보다 훨씬 강력한 화력을 갖추었고, APBC탄을 사용할시 1000야드에서 60도로 기울인 124mm 두께의 강판을 관통할 수 있었고, 2000야드에서는 114mm를 관통할 수 있었다. HEAT-FS탄 사용시 수직장갑에 382mm, 60도 경사에 191mm의 관통력으로 T-54IS-3를 포함한 당시 바르샤바 조약군의 모든 전차를 정면에서 격파할 수 있었다. 그리고 120mm 포탄을 빠르게 장전하기 위해 탄약수를 2명으로 늘려서 포탑이 거대화되었으며, M47 패튼이 도입한 것과 유사한 M15 스테레오식(Stereoscopic) 거리측정기와 조준장치도 도입되었다.[2] 이후 미 해병대가 M103A1으로 개량하면서 M14 기계식 탄도 계산기를 추가하였다.
장갑은 차체 전면이 60도 경사의 127mm, 포탑 전면 254mm이며 소련의 122mm D-25, 100mm D-10 계열의 철갑탄을 효과적으로 막아내는 수준이다.
다만 M103은 평야지대에서의 초장거리 저격으로의 격파를 목표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측,후면 장갑의 방호력이 무게에 비해 굉장히 얇았다.[3] M103은 특유의 장갑 배치로, 컨커러보다 8톤정도가 더 가벼우면서 비슷한 수준의 정면 장갑을 가지고 있었는데, M103의 장갑 설계는 장점이자 단점이었다. 왜냐하면 M103의 장갑은 컨커러처럼 적당히 장갑을 골고루 배치한 것이 아니라 포탑이 정면을 바라볼 때만 유효한 방호력을 가지기 때문이다.[4][5]

4. 생산 및 배치,운용


그냥 저냥 개발하고 있다가 한국전쟁이 터지는 바람에 상층에서 닦달하기 시작하여 1951년 원형인 시제차 T43[6]이 6대 제작되었고, 1952년에 한반도에 투입하기로 결정하여 300대를 주문해 1953년에 더욱 더 개량된 T43E1 300대를 제작했다. 하지만 시험 결과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질 못해 한반도에 발을 딛지 못했고, 1955년 8월에 창고에 들어가 개조를 받았다. 이 후 98가지의 개선점이 적용되어 1956년에서야 M103 중전차로 명명되었고, 300대의 T43E1 중 80대를 미 육군이, 220대를 미 해병대에서 수령하였다. 미 육군이 수령한 80대의 T43E1중 74대가 M103 표준으로 개량되어 배치되었다. 이후 미국은 유럽에서 한개의 중전차 대대를 배치하게 되었는데, 이 중전차 대대는 4개의 전차 중대로 구성되며 각 중대는 6개의 소대로 구성되었다. 각 소대별로 3대의 M103을 보유하였다. 이러한 배치와 더불어서 T95 중형전차의 120mm 장착이 가능해짐에 따라 차기 중전차 계획인 T110은 무산됐다.
미 해병대는 수령한 220대의 T43E1중 219대를 M103A1으로 개량하여 배치하였다. M103A1의 개량점은 새로운 T52 거리측정기 장착, M14 탄도 컴퓨터 장착, 동축기관총 1정 제거 및 전기식 포탑 구동 장치 개량, 포탑 바스켓 장착이다. 미 해병대는 해병 예비부대를 포함한 해병 전차대대에 1개씩의 중전차 중대를 배치하였다. 1964년엔 M60 전차에도 사용된 AVDS-1790-2 750마력 디젤 엔진을 장착하여 최고속도가 37km/h로 늘어나고 항속 거리가 480km로 개량, M15 거리 측정기를 M24 거리 측정기로 개량한 M103A2가 등장하였다. 219대의 M103A1중 153대가 M103A2로 개량되어 미 해병대에서 1973년까지 운용되는 기간 중에 실전경험 없이 퇴역했다. 최종적으로 서독미국 영역에 국한되어 활용됐다.
  • 사용 탄종
    • APBC-T M358
    • HEAT-T M469
    • HE-T M356
    • TP-T M359E2
    • WP-T M357

5. 각 형식별 목록


  • T43 : 1951년, 6대의 시제차량 제작
  • T43E1 : 1953년, 300대 제작
  • T43E2 : 1955~56년, 2대 제작, 포수와 포탑 바스켓이 전방으로 이동, 새로운 사격통제장치 (T52 거리측정기, T33 컴퓨터, T44 포수조준경) 탑재, 유압식 포탑 구동장치가 전기식으로 개량
  • T57, T58 : T43 차체에 요동 포탑을 올린 실험용 중전차. 각각 120mm, 155mm 포에 자동 장전 장치가 달렸다.
  • M103 : 1957년, 미 육군이 T43E1에서 74량 개량
  • M103A1 : 1959년, 미 해병대가 T43E1에서 219량 개량, T52 거리측정기와 M14 탄도컴퓨터 탑재, 동축기관총 1정 제거, 새로운 전기식 포탑구동장치, 포탑 바스켓 탑재
  • M103A2 : 1964년, 미 해병대가 153량 개량, 새로운 750마력 AVDS-1790-2 엔진 탑재, M15 기계식 거리측정기를 M24 합치식 거리측정기로 변경. 미 해병대에서 1973년까지 마지막으로 운용. 몇몇의 퇴역차량은 1977년에 사격연습 표적으로 개조되어 토우 대전차 미사일의 연습 표적으로 사용.
  • M51 중 구난전차 : 1954~55년 동안 제작되어 1956~58년에 걸쳐 개량, M103을 구난하기 위해 187량 제작

5.1. 파이팅 몬스터?


한편 국내에서 M103을 M103 파이팅 몬스터라고 부르는 경우가 일부 있으며,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도 T29 항목에 M103 파이팅 몬스터라고 언급되어있다. 그러나 정작 영문위키에서는 M103 중전차[7]라는 항목명이며 M103 파이팅 몬스터라고는 언급한 공식적인 자료는 일절 없다. '''또한 미국 기갑의 본좌인 R.P.Hunnicutt의 저서인 Firepower: A History of the American Main Battle Tank에서도 이러한 명칭은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영문으로 검색해봐도 월드 오브 탱크에서 일본인이 언급했다는 이야기와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그런 언급이 있다는 이야기만 나온다. 실제로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1975년에 나온 일본발 저서에서 나온 M103의 별명이 파이팅 몬스터라고 언급되어 있고, 다른 국가에서 쓰인 적은 없다고도 설명되었다. 즉, M103의 닉네임이 파이팅 몬스터라는 것은 잘못된 정보라는 것이다. 공식적으로 M103에 붙여진 이름은 '''없다'''.[8]
월드 오브 탱크 유저들에 의해서 퍼진 것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월드 오브 탱크 이전에도 M103 파이팅 몬스터라는 언급이 있는 것을 보면 그 이전에 일본 쪽에서 출발한 루머가 국내로 퍼진 것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정확하게는 1970년대 중반에 한국어로 번역된 1974년판 '도감 세계의 전차'라는 책에 도해와 함께 등장한 것이 우리나라에서 파이팅 몬스터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 계기이다.[9] 이 이름으로 출시된 일제 프라모델.
이런 식으로 국내에 잘못 알려진 밀덕계 정보들 상당수가 일본발인 경우가 많다. 부끄러운 역사인데, 비단 밀덕계로 한정하지 않더라도 70~80년대에 일본 자료나 서적(학습만화 등) 베끼기가 워낙 횡행했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잘못된 자료조차 일말의 검증 없이 그대로 들여온 것. 비슷한 사례로 초창기 타미야가 멋대로 별명을 붙인 '롬멜' 야크트판터, '나폴레옹' AMX-30, '주코프' SU-100 등이 있다. 당연히 해당 이름들도 모조리 그대로 국내에 카피되면서 프라모델이나 서적에 마치 해당 별명들이 진짜 이름인 것마냥 수록되었다.

6. 매체에서의 등장



6.1. 게임


[image]
온라인 게임 월드 오브 탱크 미국 9티어 중전차로 등장한다. 현 8티어 프리미엄 중전차이자 한때의 9티어 중전차였던 T34를 밀어내고 새롭게 9티어 중전차로 등장한다. 전 티어인 T32까지는 하체부실이었다가 이 전차부턴 꽤 많은 하부 보강이 이루어 져서 T32보다는 여유롭게 차체를 들이밀 수 있다. [10] 중전차치고는 꽤 준수한 기동성을 보여준다. 거기다가 M103의 진가는 통칭 '''레일건''' 120mm M58 주포이다. 철갑탄 평균 258mm, 골드탄인 성형작약탄의 평균 340mm라는 우수한 관통력과 발당 평균 데미지 400짜리 포탄을 8~9초당 한발씩 쏴대는 포였다. 명중률도 100m에 0.37로 준수한 수준이며 골드탄을 쓰면 티타임 각도를 주지 않은 VK 45.02 B, E-75의 차체 상부장갑을 뚫을 수 있다. 그마저도 패치전엔 일반탄 관통력이 269mm였다. 패치가 됨에 따라 관통력이 너프를 먹어도 쓸만한 주포이다.
카탈로그 수치와는 엄청난 괴리감을 가져다주는, 골드탄을 들거나 조준만 잘한다면 8티어 전차들도 공략해볼만한 왠지 들쑥날쑥한 차체 전면 방어력과 고폭탄에도 뚫리는 측후면과 헛웃음 나오는 모듈,[11], 포탑 한쪽에 몰려있는 승무원 배치, 그리고 포탑의 심각한 방호력이다. 특히 포탑에 문제가 많은데, 날아오는 탄을 모조리 받아먹는 관대한 각도를 가진 포탑의 상판과, 포방패 주위의 취약부위[12], 차체와 마찬가지로 살짝만 돌려도 손쉽게 관통당하는 포탑 측면이 기동성을 이용한 적극적 플레이에 아주 큰 걸림돌이 된다. 부각이 평범해진 것도 단점으로 다가올 수 있다.[13] 원거리에서 싸우면 포탑의 약점을 피격당할 일은 절대적으로 적어진다. 그리고 재 HD화가 되어서 포탑 방어력은 이제 10티어 전차들의 은탄은 막아낸다.
즉, 요약하자면 소련제 레일건이라 일컫어지는 M62-T2 포를 장착하고 우수한 기동을 살린 유연한 플레이가 가능한 T-10, 9티어 떡장갑의 대명사인 ST-1, VK 45.02 B, E-75와 비교하자면 주포 성능은 큰 차이가 나지 않으면서, 장갑은 유달리 부족한 전차다.
[image]
워썬더 지상군에서도 미국 5티어 중전차로 등장한다. 아직도 고증오류로 인해 탄의 관통력이 완전히 반영되지는 않았으나, 이전보다 관통 버프도 많이 받고 장갑도 많이 수정돼 지금은 충분히 탈만한 전차가 된 상태.
주포 화력이 굉장히 우수하다. 기본 철갑탄부터 영거리 300mm 관통력을 지녔기 때문에 티거 2의 차체 전면 상단을 관통할수 있다. 120mm라는 구경 덕분에 생철갑임에도 파편량이 압도적이다. 정중앙이나 측면을 맞추면 한방컷이 자주 난다.
380mm 관통의 대전차고폭탄을 언락한다면 어지간한 동랭크 전차들은 다 뚫어버릴수 있다.
장갑은 여전히 그닥 좋지 않은 편이다. 멀리서 들어오는 탄은 잘 튕기지만 근거리에서는 운이 나쁘면 T-34/85한테도 죽는다. M103을 잘 활용하고 싶다면 시가전은 되도록 피하고 중장거리 저격전에 써먹도록 하자.
강철의 왈츠에서는 M103과 M103A2가 3성중전차로 등장한다.

6.2. 모형


다른 인기 차량들에 비해 워낙 떨어지는 인지도 탓에, 입체화와는 오랫동안 인연이 적었다. 그나마 일부 개라지 메이커에서 1/35와 1/72로 내놓은 레진 풀 킷이 몇 안 되는 유이한 제품이었을 정도.
그러다 200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각종 마이너/페이퍼 플랜 차량 발매 붐에 힘입은 탓인지[14] 2013년 10월, 드디어 드래곤에서 새로 내놓은 블랙 레이블(Black Label)이란 브랜드의 첫 타자로 1/35 M103A1이 발매되었는데, 기대에도 아랑곳 없이 드래곤답지 않은 '''핵지뢰급 오류 덩어리'''가 튀어나와 버렸다.
일반적으로 지적되는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아래 문제에서 제시되는 칫수는 실물이 아닌 제품 기준으로서, 이게 만약 실물대 모형이었다면 실물에 비해 해당 칫수×35만큼의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단위가 mm라고 해서 우습게 볼 게 절대 아니다!
  • 주포 길이가 심각하게 짧다. 무려 13.6mm나! 실물에서라면 자그마치 47.6cm(!)나 짧은 것으로, 이것은 미묘하기는커녕 드래곤 역대급 흑역사 수준이다. 차체에 비해 거대한 포탑과 우람한 주포는 M103을 패튼 시리즈와 구분짓는 가장 큰 외형적 특징인데, 주포가 빈약해지면서 벌써 인상이 크게 달라져 버렸다.
  • 포탑 상면 돌출부 표현이 너무 약하다. 실차 포탑을 정면에서 보면, 주포 뒤쪽부터 해치에 이르는 상면장갑이 지붕처럼 Λ자 모양으로 야트막하게 솟아 있다. 제품에는 이 표현이 전혀 안 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꺾임부가 너무 뭉툭해서 잘 눈에 띄지 않는다.
  • 옆에서 봤을 때, 윗쪽 포방패가 포탑에서 붕 떠 있다. 실물의 경우 포방패와 주포 가동축 고정부의 곡면이 서로 거의 밀착되도록 구부러져 있는데, 이 제품의 포방패는 위로 갈수록 점점 벌어져 버린다. 정확히 말하면 포방패의 문제가 아니라 포탑 쪽이 너무 깎여 있어서 생긴 문제. 정확히 말하자면 주포 가동축의 위치가 너무 위로 올라가버린 게 근본 원인이다.
  • 포방패에 방수포가 생략되어 있다. 정작 박스아트에는 방수포를 씌운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는 게 함정.
  • 엔진 데크 위의 배기구 커버에 걸려 포탑의 360도 회전이 불가능하다. 사실 제품의 포탑 버슬 밑에는 배기구 커버가 충분히 들어갈 만한 공간이 있지만, 그 양 옆의 버슬 좌우 테두리가 너무 밑으로 늘어져 있어서 바로 여기에 배기구 커버가 걸려버리는 것. 실물은 이렇게 늘어진 부분이 없이 그냥 평평하기 때문에 당연히 이런 문제가 없다. 사실은 옆에서 봤을 때 버슬이 위로 들려올라가기 시작하는 위치가 실차보다 뒤로 밀려서 생긴 문제다.
  • 실물은 포탑 버슬 오른쪽 아래에 혹처럼 튀어나온 돌출부가 있는데[15], 제품의 돌출부는 뒤에서 봤을 때 버슬 중앙에 박혀 있다.
  • 포탑링 위치가 약 8mm 정도 앞으로 치우쳐 있다. 실물 기준으로는 280mm이므로, 거의 30cm 정도 앞으로 밀려버렸다는 얘기.
  • 포탑링 위치 오류와 맞물려, 엔진 데크가 너무 길게 나왔다. 같은 엔진을 쓰므로 실제로는 이 부분 사이즈가 똑같아야 하는 동사 M48A3 제품과 비교했을 때 무려 11mm 이상 길다.
  • 차체 전면의 곡선부(차체 하판과 상판이 만나는 위치)가 정상 위치보다 무려 3mm나 더 튀어나왔다. 실물에서 이 부분은 정측면에서 봤을 때 유동륜에 가려 보이지 않아야 하는데, 제품은 유동륜과 궤도를 지나 거의 펜더 위치만큼 튀어나와 있는 게 눈에 보일 정도. 상기했다시피, 정작 포탑 링은 앞으로 더 치우쳐 있기 때문에 차체 전면까지의 길이는 원래보다 더 짧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문제가 생긴 것은 사실 이 부분의 곡률이 원래보다 훨씬 크기 때문.
  • 기동륜(스프로켓 휠)의 위치가 너무 높다. 실차의 경우 제일 뒤쪽 리턴 롤러가 기동륜보다 조금 높은데, 제품의 경우 거의 수평에 가깝기 때문에 궤도 역시 리턴 롤러에서 거의 꺾이지 않고 기동륜과 만난다.
  • 차체 후면에 없어야 할 꺾임각이 있다. 실물 차체의 후면장갑은 중앙에서 한 번만 꺾이는데, 제품은 왠지 모르게 그 위에서 꺾이는 부분이 하나 더 있다.
이쯤 되면 그냥 '''총체적 난국'''이다.
상기 문제들은 전차의 프로포션을 결정짓는 칫수 문제들로서, 전체적인 인상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단순한 실수라고 보기에는 가장 기초적인 칫수, 그것도 1~2mm 정도도 아닌 수 mm에서 십 수 mm급[16]의 오류로 도배되어 있어서 무리가 크다. 조립성이나 디테일 묘사는 훌륭하지만, 실물의 재현을 우선으로 하는 스케일 모형으로서의 가치는 크게 떨어지는 것. 이는 제품 개발의 가장 기초가 되는 실물 리서치가 개판으로 이루어졌다는 반증이다.
특히 2000년대 이후의 스케일 모형 시장은 갈수록 레드오션화가 심하게 진행되어 있어서, 과거에는 개라지 메이커의 전유물이었던 에칭 파트나 메탈 포신, 연결식 궤도 등이 인젝션 킷에 기본 포함되는 등 품질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 제품은 자사의 기존 디럭스 킷이나 신생 중국 메이커들의 신제품들처럼 구성이 풍부한 것도 아니면서, 가격은 무려 한국내 소비자가격 기준 7만원대[17]로서 자사의 기존 디럭스 킷과 맞먹거나 더 비싼 가격을 자랑한다. 심지어 궤도조차 매직 트랙[18]이 아닌 그 악명높은 DS 트랙[19]이 들어 있을 정도로, 흔히 고급품에나 붙는 '블랙 레이블'이라는 브랜드 네임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구성.
1년 뒤인 2014년 11월, 블랙 레이블 시리즈 후속작으로 엔진이 바뀐 M103A2형이 발매되었다. 차체야 엔진 데크 형상이 완전히 다르니 당연히 신금형으로 나왔지만, 포탑을 비롯한 상기 문제들은 여전하다. 프라모델 인젝션 금형 제작비용이 워낙 높기는 하지만, 특히 금형을 오랫동안 우려먹기로 유명한[20] 드래곤의 근성을 볼 때 가까운 시일 내에 개선될 여지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은 사태의 근본 원인은 드래곤의 일본인 개발진들이 단체로 퇴사했기 때문이라는 루머가 있다. 이후 영입한 자국민 개발진들의 실력이 워낙 개판이라 신제품이 나오는 족족 폭망하고 있다는 것. 그래서인지 M103 시리즈는 물론이고 차기작인 1/35 MBT-70컨쿼러 등 같은 블랙 레이블 제품들 모두 M103에 못지 않은 풍성한 오류로 도배된 덕분에, 전세계 프라모델 팬덤에서 가루가 되도록 까이고 있다.

[1] 사진의 M103은 M60의 엔진을 탑재한 M103A2이다.[2] M47의 경우 거리측정기를 세계에서 두번째로 도입한 전차였으나, 너무 포탑 앞쪽에 위치하는 바람에 몇 발을 쏘고 나면 오차가 커져서 사실상 봉인되었다. 첫음으로 도입한 판터 F형의 경우 목업과 실물 1대씩 만들어지고나서 전쟁이 끝나 차체가 없는 상태에서 사격시험 조준시험 등을 행한후 표적으로 영국군이 사용하여 반파된 상태로 보빙턴에 있다. 이후 M103과 M48부터는 후방쪽에 위치했다. 영국의 경우 다른 분야에서는 삽질을 했지만, '''큐폴라에서 측정'''하는 것을 채용해서 이 문제는 없었다.[3] M103과 같은 설계사상을 가진 FV214 컨커러도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4] 다르게 말하면 굉장히 수세적으로만 운용해야 한다는 의미다. 거기에다가 항상 피탄각을 주의하면서![5] 근데 이건 컨커러도 비슷했다. 장갑은 골고루 배치되어 있었지만 주포 구동부 보호를 위해 기동간 부앙각 조절이 불가능했기 때문.[6] T43의 데이터와 형상은 T48. 즉 M48 패튼에 적용되었다. 말하자면 M103과 M48은 T43에서 나온 이복형제인 셈.[7] heavy tank.[8] 덧붙여 2차대전 모든 미군 전차/자주포의 기갑차량들은 랜드리스 받은 영국군이 지어준 별명이며 미군은 공식 문서에는 전차 별명을 기재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다. 물론 원칙은 원칙일뿐 실제 문서들을 보면 별명으로 기재한 사례도 있지만 M26, M46, M47, M48과 같이 퍼싱, 패튼이라는 이름은 별명일 뿐 정식적으로 붙여진(또는 별명에서 정식 이름으로 바뀐) 이름은 아니다. 공식적으로 별명이 정식 이름으로 붙여진 것은 M1 에이브람스부터다.[9] 자매 서적으로 '도감 세계의 전투기'와 '도감 세계의 군함'이 있었으며 역사상 유명했던 무기들과 일본 무기들이 적당히 섞여 소개된 책이었다. '도감 세계의 전차'에는 일본의 치하(97식 전차)도 '말레이반도의 시마다 전차대'라는 스토리와 함께 소개되어 있었다. 74식 전차는 당시 최신형 차세대 전차로 소개되어 있었고, '세계의 전투기'에서는 F-4J가 세계 최강의 전투기라고 소개되어 있었으며 F-15나 F-16, MIG-29 등은 아직 정보도 불충분한 시절이었기 때문에 언급도 없었다.[10] 하지만 포탑의 방호력은 T32보다 '''압도적으로 떨어진다'''.[11] '''측면 50mm, 후면 38mm''' 밖에 안 된다. '''플라잉 병투''' 라는 별명을 가진 T49에게 측면에 피격당하면 발당 910 이상의 대단한 치명타를 입을 수 있고, 자주포에게 맞으면 한발에 사출당하거나 2~3명의 승무원, 탄약고가 리타이어 당하는 진풍경을 자주 볼 수 있다...[12] 포탑 전면은 180mm 급경사지만 포방패 언저리가 114mm다. 헐다운 플레이시 M103 유저의 발목을 잡는 요소다.[13] 전 티어인 T32의 부각은 -10도였으나 M103은 -8도. 차이가 별로 안나는 것 같지만 직접 몰다보면 의외로 이게 문제가 된다.[14] 특히 월드 오브 탱크 흥행 이후 이런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15] 문제의 그 배기구 커버와 포탑링 사이의 작은 공간에 튀어나와 있다.[16] 모든 플라스틱 사출물은 사출 후 냉각되면서 금형의 원래 크기보다 미세하게 수축하는 특징을 가진다. 때문에 수축을 고려하지 않고 제품을 설계하면, 정확한 축척으로 줄인 크기에 비해 1~2 mm 이내의 오차는 날 수 있다. 물론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수축하기만 한다면, 최소한 칫수는 다소 틀려도 비례는 틀리지 않으므로 큰 문제는 없다. 근데 이건...[17] 수입량이 극히 적은 일부 마이너한 아이템을 제외하면 국내 프라모델 판매가는 해외와 그렇게 큰 차이는 없다.[18] 연결식이기는 하지만 궤도 조각들이 런너에 달려 있지 않고 전부 개별 사출되어 있어서 작업량이 크게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드래곤 디럭스 킷의 상징과도 같았던 물건.[19] 통짜 연질 수지제 궤도. 수지 접착제가 먹힌다는 점을 제외하면 별 장점이 없다. 게다가 국내 몇몇 모형 커뮤니티 에서는 DS트랙에 도색을 하고 장기간 둘 경우 트랙이 변질되어 비스킷처럼 바스러지거나 끊어지는 현상 등이 보고되고 있다[20] 바리에이션 제품에 활용하기 위해서인데, 드래곤은 특히 일부 부품이나 데칼 등이 다른 소위 '유사 신제품'을 많이 내놓는 편이다. 반다이는 금형에 스위치를 박아 런너 일부를 분할/교체할 수 있어 유사 신제품 발매가 상대적으로 쉽지만, 그렇지 못한 드래곤은 이런 유사 신제품을 내놓을 경우 기존 제품 중 필요한 부품이 있는 런너를 그냥 통째로 넣어버린다. 심할 경우, 이렇게 들어간 런너 한 장에서 쓰는 부품은 고작 한두 개 뿐이고 나머진 전부 불필요 부품일 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