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않'의 구별

 

1. 개요
2. 구별하는 방법
3. 예시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


한국인들이 헷갈려하는 맞춤법 중 하나이다.[1][2]
'안'은 '아니'의 준말이고, '않-'은 '아니하-'의 준말이다. 즉, 사용 시에 '아니하'를 대입하여 말이 되면 '않'을 쓰고, '''안'''(아니) 되면 '안'을 쓴다.
예)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아니하다(O)
예) 그건 않된다 = 그건 아니하 된다(X)

2. 구별하는 방법


'''헷갈리는 부분을 잠깐 가려서'''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는 이 물건을 안 훔쳤어요."와 같은 문장에서 '안'을 가리고 읽어도 문장이 성립한다.[3] 위와 같은 경우는 '안'을 쓰는 것이 옳다. 하지만 "저는 이 물건을 훔치지 않았습니다."의 경우 '않'을 가리고 읽으면 "저는 이 물건을 훔치지 았습니다."가 되어 문장이 성립하지 않는다. 이러는 경우에는 '않'을 쓰면 되는 것이다.[4]
또 다른 구별법으로서 각각에 '아니'와 '아니하'를 넣어보면 된다. 이게 기본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이 원리를 완벽히 이해하면 이 잘못 쓸 일은 없다. "저는 이 물건을 아니 훔쳤어요."가 "저는 이 물건을 아니하 훔쳤어요."보다 자연스럽다. 또한 "저는 이 물건을 훔치지 아니하였습니다."(아니했습니다.)가 "저는 이 물건을 훔치지 아니었습니다."보다 자연스럽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안'과 '않' 바로 앞에 있는 단어가 '-지' 형식으로 끝나면 '않'을 쓰면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그렇지는' 같이 '-지' 뒤에 조사가 붙은 경우에도 '않'을 써야 하는 것이다.
또한 '안' 다음엔 한 칸 띄어 써야 맞는다. 그러므로 '안 했다', '안 돼', '안 그래?' 등으로 쓰는 것이 옳다. 그 밖에도 한국어의 부정문의 종류를 생각해 보는 방법이 있는데,
긴 부정문: 그렇지 '''않'''다, 예쁘지 '''않'''다, (~를/을) (~)하지 '''않'''았다, (체언)이지 '''않'''다[5]
(그러하지 아니하다, 예쁘지 아니하다, (~를/을) (~)하지 아니하였다[6], (체언)이지 아니하다)
짧은 부정문: '''안''' 그렇다, '''안''' 예쁘다, (~를/을) '''안''' (~)했다/(~를/을) '''않'''았다[7], (체언) '''아니'''다[8]
(아니 그러하다, 아니 예쁘다, (~를/을) 아니 (~)하였다, (체언)가/이 아니다)
이다. 이 두 가지의 부정문의 의미는 같다. 곧, 동사 앞에 오는 건 거의 전부가 '안'이며, '안되다(가여워지다)' 등의 예외적인 경우가 아닌 이상 띄어 써야 하는 것.
보조용언 '아니하다'의 준말로는 '안하다'는 국어사전에 없고, '않다'만 국어사전에 있다. 또, 위 예문처럼 동사 바로 앞에 목적어가 있느냐 부사어(서술어 어간 + 연결어미 '-지')가 있느냐로 구별할 수도 있다. 다만 둘 다 뒤에 '를'을 쓸 수는 있는데, 이 '를'은 목적어 뒤에서는 목적격 조사이고, 부사어 뒤에서는 보조사이다. '하지 아니 하였다'(부사어v부사어v서술어)는 겹말인 셈.
어쩌면 'ㄶ'을 무성 비음으로 발음하면 구별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혼동의 이유가 발음이 같기 때문인데, 발음에 차이를 두면 혼동할 일이 매우 줄어든다.

3. 예시


  • 않그래(X) → 안 그래(O)
  • 않돼(X), 안되(X), 안돼(O)→ 안 돼(O) 않되(아니하되) (O): '안되다'와 '안 되다'는 의미가 다르다. 잘못 쓴 후자는 여기를 참고할 것.
    • '아니하되'의 준말로서의 '않되'는 옳은 말이다. 발음은 [안퇴/안퉤]이다.
예) 굶지는 않되 식사량을 줄여야 체중이 준다.
  • 외않됀데(X) → 왜 안 된대(O): 해당 문서 참고.
  • 않하다(X) → 안 하다(O), 않다(O): 보조용언 '아니하다'의 준말로는 '않다'만 인정한다.
인터넷에서 '않'과 '안'을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의'와 '에'를 구별하지 못하는 것, \''''''''을 쓰는 것과 더불어 아주 많다고 한다. 아예 구별을 못 하는지 '않 되나요'가 표준어로 보일 지경.
인터넷 기사와 심지어 방송 프로그램으로도 가끔씩 틀린다.
사례 1
사례 2(동영상을 볼 것)
그런데 '이렇습니다'와 '않습니다', '않는다'를 그대로 환원하면 '이러하습니다', '아니하습니다', '아니하는다'가 된다. 또, '아니하면'은 줄이기만 하고 다른 건 건드리지 않으면 '않면'으로 줄어든다. '-지 않면'으로 쓰인 글들이 있기도 하다.

4. 여담


  • '않'은 '안'(內)과 '마음', '가슴'의 옛말이기도 하다. ㅎ말음 체언 문서도 참고.
  • 오히려 이를 이용해서 인터넷에서는 못 구별하는 사람을 놀리거나 재미 목적으로 '아니'라는 표현을 일부러 '않이'로 바꿔 쓰기도 한다. 다른 표현들과는 다르게 '아니' 라는 말은 매우 자주 쓰이므로 이를 그르게 쓰는 사람은 없기에 오히려 재미삼아 쓸 수 있는 표현이다. 굳이 추가 부연설명 없이 일부러 재밌게 표현하려고 이 표현을 썼다는 것을 글을 보는 사람들도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9]

5. 관련 문서



[1] 대부분의 잼민이들도 많이 헷갈려한다.[2] 입양하세요를 들어가면 안과 않을 구분하지 못하는 유저를 많이 볼 수 있다.[3] 물론 문장의 의미는 정반대가 되지만 이런 건 접어두고 '문장이 성립하나 안 성립하나'만 보면 된다.[4] 이 방법은 '미안, 다시는 안 할게'와 같은 문장에서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불완전한 방법이다.[5] '~가/이 아니다'만 옳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접미사 '-적' 뒤가 아니어도 쓸 수 있는 표현이다. 반대로 '-적' 뒤에도 '~가/이 아니다'를 쓸 수 있다.[6] 각각 '않-' + '-았다', '아니하-' + '-았다' 구조로서 본말은 불규칙 활용이고, 준말은 규칙 활용이다.[7]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않다'가 '아니 하다'(부사어v용언)의 준말로도 등재되어 있다.[8] 용언 '아니다'는 '안다'로 줄일 수 없다.[9] 반대로 조금 애매한 표현에서 '안'과 '않'을 틀리게 쓰면 문법을 지적하거나 바보로 치부하는 사람들이 나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