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름

분류
단모음
음성
ɐ
1. 개요
2. 본문


1. 개요


한글 자모의 열다섯 번째[1] 글자이자 모음의 첫 번째 글자. '아' 라고 읽는다.
중세국어에서 아래아와 함께 이야기할 때는 아래아에 대응되는 표현으로 '윗아'라고 부르기도 한다. 모음 순서를 쓸 때 예전에는 맨 앞 순서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적었는데, 20세기에 최종적으로 정해진 모음 순서로 'ㅏㅑㅓㅕ.... ' 를 적으면 'ㅏ'가 위에, ㆍ가 맨 아래에 왔기 때문에 'ㅏ'를 '윗아', 'ㆍ'를 '아래아'로 부르게 된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기에는 'ㆍ'가 , 와 함께 거의 맨 앞에 왔기 때문에 그 기준으로 이름을 정했다면 오히려 'ㅏ'가 아래아가 됐을지도 모른다.
차량 번호판에서 가, 나, 다, 라, 마는 자가용, 바, 사, 아, 자는 운수사업용, 하는 렌터카에 쓰이며[2] 차, 카, 타, 파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다. 오토바이 번호판의 용도기호에는 무조건 ‘ㅏ’가 들어간다. 정확히는 가~하 14개의 용도기호 중 하나를 쓰는 것.

2. 본문


IPA로 '[a](전설 평순 저모음) 또는 [ɑ](후설 평순 저모음)'라고 나타내는 경우도 있지만 현대 한국어에서의 음가는 그보다 혀가 좀 더 올라간 중설 근저모음([ɐ])이다. 물론 전설 평순 저모음([a])로 발음하는 사람도 당연히 있다.
훈민정음에서는 를 결합한 양성모음이라고, 훈몽자회에서는 阿(아)와 동일한 음가라고 설명하고 있다.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라는 속담이 있다. 한자성어로 표현하면 阿異於異(아이어이). 阿와 於는 훈몽자회에서 음차한 한자 표기를 그대로 따온 듯.

[1] 14개의 자음이 먼저 자리를 차지한다.[2] 본래 허만 쓸 수 있었으나 2014년 ‘호’와 함께 추가됐다. 다만, 장기렌터카 소비자들은 ‘호’를 더 선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