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모음
低母音 / Open vowel
[image]
혀의 높이가 가장 아래일때 나오는 모음. 혀를 입바닥에 붙이고 발음하면 된다.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를 입바닥에 붙여서 발음하는 소리.
/a/ 음소는 흔히 볼 수 있지만 정밀 전사로 전설모음 [a]가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보통 [ä\]나 근저모음인 [ɐ\]로 소리난다. 실제 전설 저모음은 /a/[ä]나 /æ/의 변이음으로나 나오는 편.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를 입바닥에 붙여서 발음하는 소리.
혀의 최고점을 앞과 뒤의 중간에 놓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를 입바닥에 붙여서 발음하는 소리. 일본어의 あ단에서 이 소리가 난다. 폴란드어 a도 이 소리.
ä라고 많이들 쓰지만 ◌̈는 중설'''화'''된 모음이므로 엄밀히는 틀린다. 그래서 나온 대체 표기가 ɐ̞. 물론 모음의 수는 제한적이므로 그냥 ä를 통째로 중설 저모음으로 정의하면 그만.
독일어의 Ä(ä)와는 같은 글자를 쓰지만 별 상관 없다. 이 글자는 현대 한국어의 ㅐ와 같은 전설 평순 중저모음 /ɛ/이다.
혀의 최고점을 뒤에 놓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를 입바닥에 붙여서 발음하는 소리.
우크라이나어, 차하르[1] 몽골어의 а가 이 소리.
미국식 영어 pot의 '''o'''에서, art의 '''a'''에서 이 소리가 난다. 각각 [pɑ:t], [ɑ:ɹt].
영국식 영어에서는 미국식 영어에서 '''æ''' 소리가 나는 낱말 중 몇몇에 이 소리가 난다.(예 : fast[fæst]/[fɑ:st], answer[ˈæn.sɚ]/[ˈɑːn.sə(ɹ)]. 오른쪽이 영국식 영어이다.)
우리말의 ㅏ가 이 소리라는 관념이 있지만 실제로는 중설 근저모음([ɐ])으로 발음된다. 그것도 원순화되어.
혀의 최고점을 뒤에 놓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를 입바닥에 붙여서 발음하는 소리. 영국식 영어에서 pot의 '''o'''가 이 소리가 난다. 제주도 방언의 아래아도 이 소리가 났으나 현재 /ɔ/로 옮겨가고 있다. 헝가리어의 a가 [ɒ]~[ɔ] 정도의 소리가 나지만 평순성이 강하다.
영국식 영어를 들어보면 'ㅓ'나 'ㅗ'처럼 들린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IPA-한글 대조표에는 실려있지는 않지만 온라인가나다에서 '오'로 적는 것이 가장 가깝다는 의견을 보인 바 있다#. 헝가리어 표기에서는 평순성이 강해서 그런지 a를 '어'로 적도록 하고 있다.
1. 개요
[image]
혀의 높이가 가장 아래일때 나오는 모음. 혀를 입바닥에 붙이고 발음하면 된다.
2. 조음 방법
2.1. 전설 평순 저모음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를 입바닥에 붙여서 발음하는 소리.
/a/ 음소는 흔히 볼 수 있지만 정밀 전사로 전설모음 [a]가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보통 [ä\]나 근저모음인 [ɐ\]로 소리난다. 실제 전설 저모음은 /a/[ä]나 /æ/의 변이음으로나 나오는 편.
2.2. 전설 원순 저모음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를 입바닥에 붙여서 발음하는 소리.
2.3. 중설 저모음
혀의 최고점을 앞과 뒤의 중간에 놓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를 입바닥에 붙여서 발음하는 소리. 일본어의 あ단에서 이 소리가 난다. 폴란드어 a도 이 소리.
ä라고 많이들 쓰지만 ◌̈는 중설'''화'''된 모음이므로 엄밀히는 틀린다. 그래서 나온 대체 표기가 ɐ̞. 물론 모음의 수는 제한적이므로 그냥 ä를 통째로 중설 저모음으로 정의하면 그만.
독일어의 Ä(ä)와는 같은 글자를 쓰지만 별 상관 없다. 이 글자는 현대 한국어의 ㅐ와 같은 전설 평순 중저모음 /ɛ/이다.
2.4. 후설 평순 저모음
혀의 최고점을 뒤에 놓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를 입바닥에 붙여서 발음하는 소리.
우크라이나어, 차하르[1] 몽골어의 а가 이 소리.
미국식 영어 pot의 '''o'''에서, art의 '''a'''에서 이 소리가 난다. 각각 [pɑ:t], [ɑ:ɹt].
영국식 영어에서는 미국식 영어에서 '''æ''' 소리가 나는 낱말 중 몇몇에 이 소리가 난다.(예 : fast[fæst]/[fɑ:st], answer[ˈæn.sɚ]/[ˈɑːn.sə(ɹ)]. 오른쪽이 영국식 영어이다.)
우리말의 ㅏ가 이 소리라는 관념이 있지만 실제로는 중설 근저모음([ɐ])으로 발음된다. 그것도 원순화되어.
2.5. 후설 원순 저모음
혀의 최고점을 뒤에 놓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를 입바닥에 붙여서 발음하는 소리. 영국식 영어에서 pot의 '''o'''가 이 소리가 난다. 제주도 방언의 아래아도 이 소리가 났으나 현재 /ɔ/로 옮겨가고 있다. 헝가리어의 a가 [ɒ]~[ɔ] 정도의 소리가 나지만 평순성이 강하다.
영국식 영어를 들어보면 'ㅓ'나 'ㅗ'처럼 들린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IPA-한글 대조표에는 실려있지는 않지만 온라인가나다에서 '오'로 적는 것이 가장 가깝다는 의견을 보인 바 있다#. 헝가리어 표기에서는 평순성이 강해서 그런지 a를 '어'로 적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