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분류
단모음
음성
ɯ~ɯ̽
1. 개요
2. 본문
3. 그 외


1. 개요


ㅡ. 한글의 23번째 낱자이자 아홉번째 모음자다.

2. 본문


원칙적으로는 [으](ɯ)로 소리가 난다지만 한국어에서 'ㅡ'의 위치를 생각해 보면 굉장히 애매해진다. 일단 '으' 발음부터가 사람들마다 많이 차이가 나는 편. 표준어에서는 후설 평순 고모음 [ɯ]이지만, 중세 한국어와 20세기 말 이전의 구 서울 방언에선 중설 평순 고모음 [ɨ][1]로 발음한다. 동남 방언에선 중설 중모음 [ə][2], 일부(대략 16.7%) 북한 한국어 화자는 중설원순고모음 [ʉ]로 발음한다. 그 외에도 [ɯ̹](일본어 발음)로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 때에 따라서는 자신이 탈락하고 딸려 있는 자음을 성절 자음화하는 경우도 있다.
자신의 ㅡ발음을 확인해 보고 싶다면, '흐'를 발음해 보자, ㅎ이 [x\]로 연구개음화하면 [ɯ]로 발음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다른 음가로 발음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어에서 자음은 반드시 모음과 결합하여 발음하도록 되어 있으며, 현대 한글에서도 합용 병서를 받침 표기에 한해 쓰고 외래어 표기에는 쓰이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외국어에 이중/삼중 자음이 있는 경우 자음마다 ㅡ를 붙여서 발음하고 표기한다.[3] 물론 합용병서를 초성에도 썼을때 이중/삼중 자음이 있는경우에는 합용병서를 써야된다는 논의는 있었지만 맞춤법이 제정되면서 ㅡ로 쓰게 된 것이다. 그래서 한국인들은 stress를 '스트레스'로, first를 '퍼스트'라고 쓰고 읽는다. 이 점은 이중/삼중 자음을 주로 う단의 글자로 표기하는 일본어와 비슷하다.[4] 한국어와 모음이 비슷한 외국어가 아니라면 외국어 발음할 때 ㅡ를 빼고 발음해야 원어민에 가까운 발음이 된다. # 이 점에 있어서 가장 난항을 겪는 언어는 터키어로, ㅡ에 해당하는 음가(I ı)가 따로 있으면서 영어마냥 자음만 연달아 있는 상황이 있곤 하는 끔찍한 혼종(...)이기 때문. 당장 견과류를 뜻하는 fıstık를 읽으려면 한국어 화자 입장에선 어떻게 발음할지 감이 안 올 것이다(대부분의 경우 'pısıtık'으로 읽게 될 것이다).
또한 프랑스어에도 'ㅡ'에 해당하는 음가인 'e'와 자음만 연달아 있는 상황이 동시에 있어 한국인이 프랑스어의 미묘한 발음 차이를 알아차리기는 힘들다.
이렇게 발음이 제각각인 모음이지만 훈민정음에서는 천지인(天地人)중 地(땅)을 본따 만든 모든 음성 모음의 기본이 되는 글자라고 설명한다. 이 ㅡ와 (아래아)를 합하여 기본 낱자 ·, ·가 만들어졌다. 또한 중성 모음 와 결합하여 이중 모음 를 만들기도 한다. 17세기 이후 아래아 발음이 한국어에서 소멸되기 시작하면서 나 ㅡ 발음으로 편입되기도 하였고, 비슷한 시기에 양순음 뒤의 ㅡ 발음이 대부분 ㅜ 발음으로 바뀌었다(예: 블 → , 믈 → ). 푸다가 불규칙 활용인 이유도, 원래 프다였는데 기본형 푸다로 바뀌었기 때문.
한국에서는 로마자로 전사 시 ŭ 또는 eu로 옮기는 편이다. 다만 루마니아어에서는 ㅡ를 â 또는 î라고 표기하고[5] 터키어에서는 ㅡ를 ı로 표기한다.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많은 언어들 사이에서는 ㅡ를 ï로 표기하기도 한다. Acehnese라는 언어에서도 [ɯ]를 eu로 표기한다.
많은 외국인들이 ㅓ 다음으로 어려워하는 발음이다. 이 분처럼 작중에서 아주 자연스럽게 발음하는 외국인도 있다.
종종 한자(한 일)이나 영어 문장부호인 -(하이픈)과 — (대시), 일본어 장음 부호 ー와 헷갈리기도 한다. 하이픈은 길이라도 짧아서 분별이 되는데 '한 일'은 거의 생겨먹은 게 판박이라. 한자 一이 모음 ㅡ보다 좀 더 위에 있긴 하다.[6] 실제로 한국 인터넷에선 장음을 표현할 때 'ㅡ'를 대신 쓰기도 한다.
ㅡ를 두 번 써서 째진 눈 이모티콘으로 쓰기도 한다. ㅡㅡ 참고.

3. 그 외


초성체를 발음할 때 가장 많이 내는 소리다. 가령 ㅅㅂㅅ"스브스"로 발음한다거나, ㄱㄴㄷㄹㅁㅂㅅ를 "그느드르므브스"라고 발음한다거나 한다. 이는 한글 모음 중 가장 음가가 약한 것이 ㅡ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약모음이기에 모음끼리 충돌할 때에는 가장 먼저 날아가는 모음이다. ('쓰- + -어' → '써') 특히 치경 마찰음을 발음할 때는 거의 반드시 탈락한다고 봐도 좋을 정도로 약하다.
이러한 약모음적 특성은 음양 대립에서 'ㅡ'와 짝을 이루는 'ㆍ'도 마찬가지였던지라, 양성 모음 환경에서 같은 양상을 보였다. 가령 범어의 'svaha'는 'ᄉᆞᄫᅡ 하'로 옮겨졌는가 하면[7], 'ᄒᆞ-'에 '-오-'가 붙을 때는 'ㆍ'가 탈락해 '호-'가 되었다.
위에서 언급한 외래어의 이중/삼중 자음에 ㅡ 모음이 들어가는 것과 같은 원리. ㅋㅋ의 경우도 "크크"로 읽는 것이 일반적이다. 재미있는 건, 격조사 등을 고려해 보았을 때 <훈몽자회> 시절까지만 해도 ㄱㄴㄷㄹ을 '기니디리'로 읽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8] 비슷하게, 일본에서 옛날에 들어온 외래어는 모음 없는 자음에 ㅣ 발음을 넣었다.[9] 현재는 대개 う단으로 옮긴다.
과거 차량 번호판에서는 용도기호로 그~흐가 들어간 적이 있었다.
Among Us라는 게임에서 한국인 플레이어들 중에 'ㅡ'라는 닉네임을 단 사람이 상당히 많다. 보통 어딘가에 숨을 때 티나지 않기 위해 이런 닉네임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어몽어스에서는 한 방에 똑같은 닉네임을 단 사람이 두명일 경우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나중에 온 사람 닉네임 뒤에 숫자를 붙여서[10] 같은 방에 ㅡ 라는 닉네임을 가진 사람이 두명이면 나중에 온 사람은 닉네임이 'ㅡ 1' 이 되어버리니 주의하자.

[1] 러시아어의 ы 발음이며, 단모음화된 가 이 발음이다.[2] 동남방언은 도 [ə\]로 발음하는 편이라 ㅓ와 ㅡ의 발음상 구분이 잘 안 가는 경우가 많다.[3] park, cake처럼 모음이 긴 단모음이거나 이중 모음인 경우엔 음절 말 자음을 받침으로 쓸 수 있는데도 굳이 'ㅡ'를 붙여 쓰는데, 이는 영어에서 짧은 단모음 뒤의 무성 파열음은 불파음에 가까울 정도로 짧게 발음되므로 우리말의 받침 폐쇄음과 비슷하지만 이중 모음이나 긴 단모음 뒤의 무성 자음은 폐쇄를 넘어 파열까지 제대로 해 주기 때문이다.[4] 일본어의 경우 か행의 경우에 특히 간혹 い단인 로 표현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케이크(ケーキ). 또한 た행의 경우 う단의 つ가 자음 측면에서 너무 달라지기 때문에 お단인 를 사용한다.[5] 둘 다 중설 비원순 고모음이며, â는 주로 어중에서, î는 주로 어두와 어말에서 쓰이나 혼용되는 경우 역시 많다.[6] 여담이지만 이 문서보다 한자인 문서가 더 먼저 생겼다. [7] 이 글의 다섯 번째 그림 참고. 'sva'가 1음절임을 나타내기 위래 'ᄉᆞᄫᅡ'를 (세로 쓰기로) 딱 붙여 놓았다. 한편 여섯 번째 그림을 보면 'ᄇᆞ라'가 보이는데, 이는 'pra'에 해당한다.[8] 지금도 동남 방언에선 기니디리로 읽는다.[9] 한 예로, 고대 일본에서 기록한 한반도 남부의 어떤 단어가 발음이 'アリヒシ'인데, 그 뜻이 '남쪽' 또는 '아래'를 뜻했다. 오늘날 일본어 발음으로는 "아리히시"이지만 고대 음가로 하면 "아리피시"에 가깝다. 이때, 'リ', 'ヒ'. 'シ'의 모음 i를 모두 떼어내면 '아ㄹㅍㅅ'이 되어, '앞', '남쪽'의 중세 한국어 형태인 '앒'과 유사해진다. 이러한 소급을 통해 고대 한국어 남부에서 '앞'과 '남쪽'을 뜻하는 말은 '*앒ㅅ(*alps)'이었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고대 한국어 재구에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10] 예를 들어 위키라는 사람이 먼저 방에 있었는데 뒤이어 2명이 들어왔을 경우 두번째 사람은 닉네임이 '위키 1', 세번째로 온 사람은 닉네임이 '위키 2' 이런 식으로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