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포수

 

우리나라의 속담.
  • 제멋대로 집떠났다 자기가 오고 싶을때 때때로 에 들르는 남자.
지금은 사라졌지만, 산골이 깊은 강원도호랑이가 숨기에는 최적인 장소였고, 자연스럽게 호환도 잇따랐다. 조선시대때에는 아예 착호갑사나 호벌대라 하여 호랑이를 소탕하는 부대를 조직하여 호랑이를 토벌하려고 하였고, 임진왜란 이후엔 총들이 민간에 풀리면서 포수들이 호벌대에 포함되어 호랑이 사냥을 하다가 영영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물론 그런 호랑이를 비롯해 여러 맹수와 짐승들을 사냥하던 강원도의 포수들은 조선시대 전국팔도에서 만주포수 다음으로 알아주는 포수였다. 구한말의 선교사들이 남긴 기록들에 따르면 '''이들은 눈앞에서 맹수가 돌진해도 겁먹지 않고 골동품급의 화승총으로 급소를 조준해 한방에 처치하는 실력을 가졌다고 한다'''.
창작물등에선 추노의 '''총만 들면 무력서열 1위'''인 삼보방포(三步放砲)의 대가 업복이가 강원도 포수 출신의 노비이며, 설화 유복이와 금강산 호랑이의 주인공 유복이와 아버지 또한 강원도 포수 출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