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지렁이

 

혐오감이 들 수 있으므로 이 링크로 대체한다.
'''갯지렁이'''
분류

'''동물계(Animalia)'''

환형동물문(Annelida)

다모강(Polychaeta)
''''''
'''털갯지렁이목'''(Eunicida)
'''부채발갯지렁이목'''(Phyllodocida)
참갯지렁이과(Nereididae)
참갯지렁이속(''Neanthes'')
'''참갯지렁이/갯지렁이(''N. japonica'')'''
'''꽃갯지렁이목'''(Sabellida)
'''유령갯지렁이목'''(Terebellida)
'''실타래갯지렁이목'''(Cirratulida)
'''오뚜기갯지렁이목'''(Sternaspida)
'''요정갯지렁이목'''(Opheliida)
'''갓모갯지렁이목'''(Orbiniida)
'''싸리버섯갯지렁이목'''(Oweniida)
'''양손갯지렁이목'''(Magelonida)
'''버들갯지렁이목'''(Capitellida)
1. 개요
2. 특징
3. 갯벌과의 관계
4. 기타
5. 관련링크


1. 개요


갯벌, 바위 밑, 해초, 산호초 등에 흔히 서식하는 지렁이. 다모강의 여러 생물을 일컫는데, 대체로 '갯지렁이'라고 하면 참갯지렁이과의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를 가리킨다.

2. 특징


가늘고 긴 모양이고, 많게는 108개에서 적게는 91개의 환절로 되어있다. 길이는 보통 9.5cm에서 12.5cm 정도이나 종에 따라 2m에 달하는 것도 있다. 몸의 색깔 중 일부는 선홍색 또는 녹색이고, 또는 칙칙하거나 보는 각도에 따라 색이 달라보이기도 한다.
갯지렁이는 바위 밑이나 산호의 틈새, 버려진 조개껍질에 숨어 살며 모래나 진흙에 굴을 파고 산다. 일부 종들은 침전물 위나 해저의 연기질 속에 관을 만들기도 하고, 또다른 종들은 원양에서 떠다니며 다른 플랑크톤들과 같이 살기도 한다. 이렇기에 플랑크톤처럼 사는 부류들은 바다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위치를 지닌다.
갯지렁이는 잘 발달된 머리와 특수한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어 자매분류군인 지렁이와 거머리와는 전혀 다른 차별성을 두고 있다. 대부분의 체철에 쌍을 이루며 지느러미 역할을 담당하는 측각이 있으며 환대는 없다. 매우 많은 강모를 가지며, 강모는 대개 측각 위에 다발 형태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전구엽을 가진다. 이 전구엽이라는 기관은 종에 따라 안으로 수축될 수도 있다. 이 부위에는 눈과 촉각, 각수가 달려있다. 입을 둘러싸는 위구절네는 강모와 수염이 있고 육식성의 경우에는 마치 곤충의 그것과 닮은 턱이 있다. 여과섭식성 종들은 머리 앞에 왕관 모양의 촉수를 펼쳤다가 관 속으로 집어넣는 방식으로 섭취한다.
체절화된 갯지렁이의 몸은 마디마다 측각,여러 개의 엽들, 촉수, 강모들이 존재한다. 측각은 등측각과 베측각으로 나뉘는데, 이는 종에 따라 둘 중 어느 하나가 발달되어 있거나 축소되어 있다. 측각은 바닥을 기어다니거나 유영, 또는 관 내부 고착용으로 쓰이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호흡기관의 역할을 한다.
눈과 평형포 등의 감각기관이 지렁이와는 달리 매우 잘 발달되어 있는데, 안점부터 시작해 원시적인 형태의 눈 구조도 가지고 있다.
자웅이체이다. 하지만 영구적인 생식기관이나 생식세포를 수송하는 영구적인 수송관이 없다. 대신 생식세포가 생식관 및 신관을 통해 배출되기도 하고, 체벽이 파열되면서 체외로 배출되기도 한다. 생식소는 복막이 일시적으로 부풀어 올라 형성되어 배우자를 체강 내부로 내뿜는다. 수정은 체외에서 일어나며, 을 낳는다. 간접발생으로 인해 담륜자 유생 시기를 거쳐 성체가 된다.
육식성이며 구더기와 더불어 낚시용 미끼로 자주 사용된다. 물고기나 갑각류에게도 잘 잡아먹힌다. 플라나리아와 비슷하게 여러 조각으로 자르면 각각 다른 개체가 된다. 여담으로 낚시용 미끼로 처음 만나게 되면 당황할 확률이 높다. 일반 지렁이와는 다르게 물기 때문. 그렇기 때문에 물지 못하게 머리를 잡고 입쪽을 바늘로 뚫은뒤 적당한 길이로 잘라서 쓴다. 다만 이것도 처음하면 당황할 가능성이 높은데 갯지렁이도 바늘에 뚫리지 않기 위해 바늘을 열심히 물어대기 때문.

3. 갯벌과의 관계


육상의 지렁이들이 땅을 비옥하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듯 갯지렁이들도 갯벌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갯지렁이는 갯벌 여기저기에 구멍을 뚫어놓는데 이 구멍으로 공기나 바닷물이 들어가서 갯벌이 썩지 않게 해준다. 그러니 징그럽다고 마구 죽이지 말 것. 이들이 없다면 갯벌이 황폐화되는 건 시간 문제다. 또한 흙속에 더러운 유기물까지 먹어주어 청소부 역할도 한다.

4. 기타


베트남에서는 갯지렁이를 식용으로 사용하는데 쯩둑즈어이(Trứng đúc rươi)라고 한다. 대체로 한국의 파전이나 일본의 오코노미야키 와 거의 비슷한 식으로 계란, 야채 등과 섞어 기름에 지져내어 먹는다.
[image]
갯지렁이 종류 중 꽃갯지렁이류는 보통의 갯지렁이와 달리 화려하고 특이한 생김새를 지녀 해수어항에서 관상동물로 기르기도 한다.
오랫동안 낚시용 미끼외에는 용도가 없은 것으로 생각되어 왔는데, 최근 와서 의학 분야의 주목을 받고 있는 생물이기도 하다. 그 이유는 다름아닌 갯지렁이의 혈액인데, 갯지렁이의 혈액은 인간의 혈액에 비해 산소 전달 효율이 무려 40배에 이르는 뿐만 아니라 수혈할 경우 어떠한 혈액형에 대해서도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꿈의 혈액이라는 것이다. 물론 다른 생물간에 수혈이 이루어질 경우 거부 반응이 없더라도 여러 문제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정제와 가공이 필요하겠지만, 학자들은 실용화 될 경우 높은 산소 전달 효율을 이용해 사고나 수술 등으로 많은 피를 흘린 환자의 생존 확율을 높이거나 장기이식에 있어서 장기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참고로 갯지렁이가 이런 특수 혈액을 가지는 방향으로 진화된 이유는, 썰물로 물이 빠진 갯벌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최소 8시간이상 숨을 참은채 버틸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5. 관련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