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람

 


高覧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2. 정사
3. 연의
4. 미디어 믹스


1. 개요


후한 말의 인물로 원소 휘하의 장수다.

2. 정사


정사에서는 〈무제기〉에서 원소가 순우경이 공격당하고 있다는 말을 듣고 조조가 돌아갈 곳을 없도록 만들겠다며 장합과 고람을 보내 조조군 본진을 공격하는데, 오소가 함락되자 고람과 장합은 역으로 원소의 본진을 공격해 원소군을 혼란에 빠뜨리고 조조에게 항복했다.
정사에서는 특별히 빛나는 장면도 안습한 장면도 없이 1회 등장하고 마는 엑스트라다.

3. 연의


연의의 수혜자인지 피해자인지 난감하다. 연의에서는 용장으로 비교적 무게감 있게 묘사되지만 최후가 어이없기 때문이다.
관도전에서는 조조 쪽에서 장료허저를 내보내자 이미 안량문추가 죽은 원소군에서 장합과 함께 출진해 장합은 장료와 고람은 허저와 일대일 대결을 벌여 막상막하의 싸움을 펼쳐 첫 번째 전투를 혼전으로 이끌었다.
조조군이 오소를 습격했을 때 장합과 고람의 오소를 구원하자는 의견과 곽도는 조조군의 본진을 치자는 의견으로 서로 갈리게 되고 거기서 원소는 장합과 고람을 본진으로 보내고 오소에는 장기가 이끄는 경기병만을 보내나 오소는 함락되고 조홍순유가 지키는 관도는 함락되지 않으니 자신의 계책이 실패하여 화가 미칠 것이 두려운 곽도는 장합과 고람을 모함해서 원소가 둘을 불러들이는 사자를 보내게 한다. 그래놓고서 정작 고람, 장합이 원소와 대면해서 이야기를 나누면 곽도 자신이 거짓으로 모함한 것이 들통나니, 곽도는 두 장수가 원소에게 오지 않고 도망치거나 조조군에 항복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또 따로 두 장수에게 사자를 보내 원소가 둘을 죽이려고 사자를 보냈다고 거짓말을 했다.
사신의 앞에서 장합은 명령에 응할 것인지 조조군에 투항할 것인지를 놓고 망설였으나, 그와 달리 고람은 단숨에 사자를 베고 장합과 함께 조조군에 투항하여 동래후 편장군에 임명된다.
후에 창정전투에서 정욱의 십면매복지계의 일면으로 활약하고 여남에서는 유비를 향해 돌격하여 유벽#s-1.2을 베고 유비가 자포자기할 정도의 포스를 보였으나 갑자기 뒤에서 나온 조운에게 뒤치기를 당해 죽는다.
밸런스상 허저와 대등하게 싸운 고람이 조운에게 단합에 죽는 건 말이 안된다고 까는 사람들도 있으나 실상은 갑자기 등장한 조운에게 뒤에서 기습당해 죽은 것이기 때문에 말이 안될 것이 없다. 감녕이 쏜 화살에 맞아 중상을 입은 악진, 정봉의 화살에 맞아 죽은 장료, 맹달한테 헤드샷 당한 서황 등의 예를 생각해보자. 덕분에 일부 창작물에서는 고람을 원소 군에서 안량, 문추, 장합 다음으로 가는 넘버 4로 설정하려는 경향이 있다. 일명 하북사정주. 허저와 대등하게 싸우고, 유벽을 상대로 킬수도 냈고, 조운과의 싸움도 기습이었으니 일대일 대결 기록은 나쁘지는 않은 편이다.

4. 미디어 믹스


고람/기타 창작물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