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적운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퍼블릭 도메인.
사진자료 더 보기
[image]
'''구름 정보'''
'''고적운'''
'''약어'''
'''Ac'''
'''기호'''
[image]
[1]
'''고도'''
중층운 /
2,000m ~ 6,100m
(6,500ft ~ 20,000ft)
'''강수여부'''
없음
1. 소개
2. 생성과 특징
3. 바리에이션
4. 같이 보기


1. 소개


高積雲 / Altocumulus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
중간 정도의 높은 하늘에서 웅장하게 나타나는, 다수의 구름 덩어리들이 모여 이루어진 구름.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높쌘구름" 이라고 하는데, 한자어 "고적운" 이나 영어 "Altocumulus" 셋 다 모두 "높은 곳에서 수직으로 쌓여 있다" 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 외에도 그 모양을 따서 "양떼구름" 이라고도 하고, 영어에서는 고등어의 비늘 같다는 표현을 즐겨 쓴다.

2. 생성과 특징


고층운과는 달리, 중간 고도에서 대기가 불안정하여 대류 현상이 일어날 때 그 결과로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구름이다. 대류권 하층에서부터 상층부까지 대기가 난장판(…)이라 지표에서부터 한없이 피어오르는 적운이나 적란운과의 차이점이 이것. 다만 각각의 구름덩어리의 규모는 적운보다는 작고 권적운보다는 크다. 한편 『구름 쉽게 찾기』[2]에서는 대략 "하늘을 향해 손을 뻗고, 구름덩어리 하나의 지름이 새끼손가락보다 클 경우를 고적운으로 한다" 고 구분하고 있다.
수직으로 쌓여 올라가는 구름이기는 하나 강수의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수렴한다. 물론 이 구름이 나타난 후에 대류가 다시 불안정하게 바뀔 확률이 낮지는 않으므로 권적운처럼 이 구름이 '''강수의 징조가 될 수는 있다'''. 스스로 강수를 일으킬 수 없을 뿐. 극히 낮은 확률로 고적운의 하부에서 안개비가 내리기도 하지만, 지표에 닿기도 전에 도로 증발하는지라 강수량에는 기별도 안 간다.[3] 단, 고적운이 있는데 그 밑에서 적운이 피어오르기 시작한다면 이것은 상당히 가능성 높은 강수의 신호가 된다.
거의 대부분의 고적운 사진들을 보면 대규모로 발생하여 하늘의 절반 이상을 덮는 장관을 연출한다. 그러나 이 정도까지 가는 상황은 거의 드물고, 가장 흔한 사례는 고층운의 가장자리 변두리에서 슬그머니 나타났다가 조용히 사라지는 등의 출현일 듯. 정말 간혹 가다가 열 개 이하, 심지어 한 개의 구름덩어리가 외따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이쯤 되면 어지간히 훈련받지 않은 관찰자는 저게 고적운인지도 모르겠지만.(…)

3. 바리에이션


고적운은, 앞서 언급했듯 고등어의 비늘 같은 하늘(mackerel sky)처럼 하늘 전체를 가득 덮는 모습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은 그 정도까지는 아니며, 고층운과 함께 나타나기도 하고, 상층부에 권운이나 하층부에 적운을 끼고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실제로 이 경우들이 전부 각각의 기호들로 분류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피디아의 해당 항목 참고.
앞서 말했듯 고적운의 하부에서 미세한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지표까지 도달하지 못한 비가 미류운(virga)의 형태로 털 내지는 꼬리처럼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를 "Altocumulus virga" 라고 부르는데, 일반에는 그 모양새 때문에 흔히 "해파리구름"(jellyfish cloud)이라고도 불린다. 한편 고적운이 꽤 높은 곳까지 탑처럼 뭉게뭉게 성장한 것은 "Altostratus castellanus" 라고 한다.
흔히 '''렌즈구름'''(Lenticular cloud)이라 불리는 "Altocumulus lenticularis" 은 고적운의 유명한 변종이다. 렌즈구름은 그 자체로도 매우 이채롭고 흥미로운 생김새를 하고 있어, 종종 UFO로 오인받기도 한다.

4. 같이 보기




[1] 고적운을 의미하는 다양한 기호 중 가장 일반적인 것.[2] 이대암, 진선출판사, 2005.[3] 레이더 에코에서는 강수가 있지만 실제로는 강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