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운

 

[image]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퍼블릭 도메인.
사진자료 더 보기
'''구름 정보'''
'''고층운'''
'''약어'''
'''As'''
'''기호'''
[image]
'''고도'''
중층운 /
2,400m ~ 6,100m
(7,900ft ~ 20,000ft)
'''강수여부'''
안개비[1]
1. 소개
2. 생성과 특징
3. 바리에이션
4. 같이 보기


1. 소개


/ Altostratus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
흔히 보는 '''흐린 날씨의 주범.''' 하늘 전체를 덮는 옅은 회색의 장막이나 베일 같은 구름. 중간 정도 높이의 하늘에서 발생한다. 때로는 온대저기압의 온난전선의 접근을 알리는 신호가 된다. 순우리말 이름은 '''높층구름''' 또는 '''차일구름'''. 영어 이름에서 Alto-는 높다는 뜻이며, stratus는 층 형태를 의미한다. 한자어 이름인 "고층운" 과 그대로 통하는 뜻.

2. 생성과 특징


스모그 구름 같은 느낌이 들기는 하지만 사실 비가 있는 먹구름이다.
지상 관측자에게는 권층운난층운과 비슷해 보이나, 발생 고도는 둘의 중간쯤이며, 색상도 중간의 회색빛이다. 태양은 대개의 경우 비쳐 보이지만, 상당히 어렴풋한 빛덩어리 같은 모습으로 나타나며 눈부시지도 않다. 권층운과는 달리 햇무리가 관측되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또한 이 구름이 수증기로 구성된 것인지, 빙정으로 구성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영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최고층부는 약간의 빙정, 중간부는 큰 사이즈의 물방울, 하층부는 작은 사이즈의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매끄러운 형태의 층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주름이나 얼룩, 섬유 모양이 구름 속에 도드라져 보이기도 한다. 특히 간혹 물결 모양으로 파도치는 형태도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거친물결구름의 존재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의심된다. 이와 같은 무늬(?)가 나타나는 이유는 명확하진 않으나 대체로 구름 속에서 윈드시어가 발생하면서 그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짐작되고 있다.
수증기를 포함한 대규모의 공기 덩어리가 일광 등의 원인으로 대류를 받아 부드럽게 상승하면서 발생한다. 물론 더 많은 양의 수증기가 유입되고 대류가 더 강해진다면 그대로 난층운으로 변화하여 비를 뿌리게 되지만, 별다른 비를 뿌리지 않고 그냥 개어 버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3. 바리에이션


대부분의 고층운은 태양이 희끄무레한 빛으로 비쳐 보이는 회색빛 구름인데, 이런 경우를 "Altostratus Translucidus" 라고 부른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는 "Altostratus Opacus". 한편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파도치는 모양의 고층운도 있는데, 이런 종류는 "Altostratus Undulatus" 라고 한다. 아예 구름의 모양이 깨져 버렸다면 "Altostratus Fractus". 눈치챈 위키러도 있겠지만 몇몇 문자들의 조합으로 파생형 구름의 이름을 붙이는 것인데, 각각의 명칭이 각각의 특징을 의미하는 영단어와 유사점이 많다.[2]
고층운 자체가 조금만 더 수증기가 많아진다면 비를 뿌릴 수 있으니만큼, 간혹 가다 미약한 비를 뿌리는데 그게 도중에 하늘에서 증발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구름의 아래쪽에 마치 수염이나 꼬리, 털이 달린 것처럼 보인다. 이런 구름을 보통 미류운(Virga) 또는 꼬리구름이라 하는데, 이런 게 붙어 있는 고층운은 "Altostratus Virga" 라고 한다.

4. 같이 보기




[1] 두꺼워질 때 한정, 점차 빗줄기가 굵어지면 난층운의 전조로 이해된다.[2] 각각 영어의 translucent, opaque, undulant, fracture를 연상시킨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