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청렴지수

 

1. 개요
2. 평가지표
3. 대한민국의 연도별 지수
4. 여담
5. 관련 항목


1. 개요


공공청렴지수(IPI)는 유럽 반부패 국가역량 연구센터(ERCAS)가 전세계에서 117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부패통제 수준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2015년에 개발한 지표다. 10점 만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더 청렴하다는 의미이다.
IPI는 국제투명성기구에서 매년 발표하는 부패인식지수(CPI)에 주관적 평가 요소가 다소 반영된 것과 달리 객관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두고 있으며, 부패통제능력과 높은 연관성이 입증된 6개의 제도적 요인을 평가지표로 삼고 있다.
국내에서는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인용하기 시작하면서 주류 제도언론들이 보도해 널리 알려지게 된 지표이다.

2. 평가지표


1. 전자적 시민권 (E-Citizenship)
2. 행정적 부담 (Administrative Burden)
3. 정부예산 투명성 (Budget Transparency)
4. 언론 자유 (Freedom of the Press)
5. 교역 개방성 (Trade Openness)
6. 사법부 독립성 (Judicial Independence)

3. 대한민국의 연도별 지수


연도
공공청렴지수
순위
2015년
8.04
23위
2017년
8.02
24위
2019년[1]
'''8.33'''
'''20위'''
2019년 12월에 발표된 2019년도 조사에서 대한민국은 전자적 시민권(1위) 및 행정적 부담(19위)에서 높은 점수를, 정부예산 투명성(26위) 언론 자유(36위) 교역 개방성(40위) 사법부 독립성(49위) 항목에서는 비교적 낮은 점수를 받았다.
아시아에서는 8.34점을 받은 19위 일본에 한자리 밀려 2위를 기록했다.

4. 여담



5.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