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주가(소춘풍)
1. 개요
조선 전기 함경도 영흥(永興)의 기생인 소춘풍(笑春風)이 당시 왕이었던 성종 앞에서 창작한 3수의 한글 권주가. 해동가요(海東歌謠), 청구영언(青丘永言)에 그 시조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2. 내용
조선 성종(1469~1494) 때의 함경도 영흥(永興) 기생이었던 소춘풍(笑春風)이 왕인 성종의 총애를 받아 선상기(選上妓)가 되어 궁중의 연회에 참석하였을 때 지은 3곡의 시조이다.
성종이 연회에서 대신들에게 소춘풍의 기재를 자랑하며 즉석에서 싯구를 짓게 하자 바로 다음과 같은 시조를 지었다.
이에 문신을 높이고 무신을 깔아 낮추는 내용이라 하여 그 자리에 있던 무신들이 불쾌해했다. 그러자 웃으며 바로 다음과 같은 시조를 지었다.
이에 무관들이 흡족해 하였으나 이젠 문관들이 삐질려고 하자 또 다시 웃으며 바로 다음과 같은 시조를 지었다.
이 마지막 시조까지 모두 듣고나자 그 자리에 있던 문관과 무관 모두가 기뻐하며 기생 소춘풍의 재능에 크게 감탄하였다고 한다.
왕 앞에서 문관과 무관을 마음대로 희롱하는 대담함과 순발력 있는 재치, 그리고 연회를 화락한 분위기로 이끌며 즐거움을 더하는 기지가 일품인 작품들로 기녀 시조 특유의 멋을 볼 수 있는 작품으로 인정받는다.
월탄 박종화는 어째서인지 소설 '세종대왕'에서 성종대의 인물인 그녀와 이 권주가를 뜬금없이 태종대에 등장시킨다. 심지어 그녀의 딸인 비오리는 '''한글창제'''에 사실상 주역으로 참여(...) 더 어이가 없는것은 권주가의 배경이 문관과 무관 사이의 대립이 아니라 그냥 쓸개빠진 권신을 희롱하기 위한 것으로 각색된데다가, 작가가 쓰다가 설정을 까먹은것인지 소춘풍과 비오리가 등장하기 한참 전에는 가희아라는 이숙번네 집 가희가 등장해 태종이 참석한 연회에서 이와 비슷한 내용의 권주가를 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가희아는 무려 효빈 김씨가 된다(...)[1]
3. 바깥고리
[1] 실록에서 언급하기로는 효빈 김씨는 원경왕후 민씨의 몸종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