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도 다레초
Guido d'Arezzo. 구이도 다레초, 또는 아레초의 귀도.
중세 시대 이탈리아의 베네딕토회 수도자이며 동시에 음악 교육자.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계이름을 지정한 사람이다. 기보법도 발전시켰다.
'성 요한 찬가'라는 곡에서 각 마디[1] 의 첫째 음절을 따서 이를 계이름으로 지정했다. 이때의 계이름은 'Ut, Re, Mi, Fa, Sol, La'의 6개였다. 즉 도, 레, 미, 파, 솔, 라 까지 지정했다는 것.
라틴어에서 유래한 ‘도레미파솔라시’는 중세 그레고리안 성가(그레고리안 찬트)에서 기원한다.
대략 서기 1000년경까지의 악보에는 4선으로 된 악보위에 ‘네우마’라고 하는 여러 종류의 음표만을 찍었을 뿐,
‘도레미파솔라시’와 같은 음계명은 없었다.
그렇던 것을 당시의 교회음악가이자 수도자인 귀도 다레초(Guido d’Arezzo,995-1050)가, 성가대가 음을 확실히 잡게 하고 연습할 때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당시에 잘 알려져 있던 성가인 ‘성 요한 찬미가-(Ut queant laxis)’라는 노래를 가지고 음계의 각음 명칭을 만들었다.
그는 '성 요한 찬미가'에서 딴 6음(ut, re, mi, fa, sol, la)으로 솔미제이션(Solmization:階名唱法)을 고안하여 악보의 시창(視唱)을 쉽게 하였으며, 여러 음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편법으로 '구이도의 손'을 창안하였다.
17세기에 ut가 dominus 로 바뀌어 do가 되었다 (dominus의 뜻은 하느님, 주님)
이 노래의 라틴어 가사는 아래와 같다. (직역)
“하느님, 당신의 종들이 당신이 행하신 일의 아름다움을 자유롭게 노래할 수 있도록, 그들의 더럽혀진 입술에서 모든 죄악의 더러움을 씻어 주소서.”
ㅡ 작자 성 요한 ㅡ
이라는 뜻이 된다. 이것이 우리가 아는 도레미파솔라시도의 형성 과정이다.
그는 또한 기보법도 발전시켰다. 요즘은 오선보를 쓰지만, 중세 시대에는 달랑 한 줄만 그어서 옆에 F나 C만 붙인 것이[2] 악보였다. 그러다 점차 2개의 선을 그어 F와 C를 같이 나타내게 되었고, 여기에 귀도가 2개의 선을 더 그어 좀 더 정확한 계이름의 표기가 가능하게 된 것이었다. 거의 음악의 기초를 확립했다고 해도 될 만하다.
1. 개요
중세 시대 이탈리아의 베네딕토회 수도자이며 동시에 음악 교육자.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계이름을 지정한 사람이다. 기보법도 발전시켰다.
2. 계이름 지정
'성 요한 찬가'라는 곡에서 각 마디[1] 의 첫째 음절을 따서 이를 계이름으로 지정했다. 이때의 계이름은 'Ut, Re, Mi, Fa, Sol, La'의 6개였다. 즉 도, 레, 미, 파, 솔, 라 까지 지정했다는 것.
라틴어에서 유래한 ‘도레미파솔라시’는 중세 그레고리안 성가(그레고리안 찬트)에서 기원한다.
대략 서기 1000년경까지의 악보에는 4선으로 된 악보위에 ‘네우마’라고 하는 여러 종류의 음표만을 찍었을 뿐,
‘도레미파솔라시’와 같은 음계명은 없었다.
그렇던 것을 당시의 교회음악가이자 수도자인 귀도 다레초(Guido d’Arezzo,995-1050)가, 성가대가 음을 확실히 잡게 하고 연습할 때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당시에 잘 알려져 있던 성가인 ‘성 요한 찬미가-(Ut queant laxis)’라는 노래를 가지고 음계의 각음 명칭을 만들었다.
그는 '성 요한 찬미가'에서 딴 6음(ut, re, mi, fa, sol, la)으로 솔미제이션(Solmization:階名唱法)을 고안하여 악보의 시창(視唱)을 쉽게 하였으며, 여러 음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편법으로 '구이도의 손'을 창안하였다.
17세기에 ut가 dominus 로 바뀌어 do가 되었다 (dominus의 뜻은 하느님, 주님)
이 노래의 라틴어 가사는 아래와 같다. (직역)
알아듣기 쉽게 의역하면ㅡㅡㅡ'''Ut Queant laxis''' 당신의 종들이
'''Resonare fibris''' 자유로이 찬미할 수 있도록
'''Mira gestorum''' 기적을 행하시는
'''Famuli tuorum''' 당신의 역사로써
'''Solve polluti''' 정결케 하소서 모든 흠을
'''Labii reatum’''' 그들의 더러운 입술로부터
'''Sancte Ioannnes.''' 성 요한이여
“하느님, 당신의 종들이 당신이 행하신 일의 아름다움을 자유롭게 노래할 수 있도록, 그들의 더럽혀진 입술에서 모든 죄악의 더러움을 씻어 주소서.”
ㅡ 작자 성 요한 ㅡ
이라는 뜻이 된다. 이것이 우리가 아는 도레미파솔라시도의 형성 과정이다.
3. 기보법
그는 또한 기보법도 발전시켰다. 요즘은 오선보를 쓰지만, 중세 시대에는 달랑 한 줄만 그어서 옆에 F나 C만 붙인 것이[2] 악보였다. 그러다 점차 2개의 선을 그어 F와 C를 같이 나타내게 되었고, 여기에 귀도가 2개의 선을 더 그어 좀 더 정확한 계이름의 표기가 가능하게 된 것이었다. 거의 음악의 기초를 확립했다고 해도 될 만하다.
[1] 사실 마디라고 하기가 힘든 게, 중세 시대에는 지금처럼 음악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서 마디의 구분이 없었다. 한 소절이나 호흡이라고 생각하면 된다.[2] F나 C를 붙이는 건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F음과 C음이 주로 기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