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image] '''이탈리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공화국
Repubblica Italiana
'''
[image]
[image]
'''국기'''
'''국장'''
'''상징'''
'''국가'''
'''마멜리 찬가'''
'''국화'''
'''데이지'''
'''역사'''
'''이탈리아 왕국 수립''' 1861년 3월 17일
'''공화국 수립''' 1946년 6월 2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수도/최대도시'''
로마
'''면적'''
301,340㎢
'''접경국'''
[image] 바티칸, [image] 산마리노, [image] 프랑스, [image] 스위스, [image] 오스트리아, [image] 슬로베니아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전체 인구'''
60,367,471명(2021년) | 세계 24위
'''인구 밀도'''
200명/㎢(2020년)
'''출생 인구'''
400,000명(2020년)
'''기대 수명'''
84세(2020년)
'''출산율'''
1.38명(2020년)
'''공용 언어'''
이탈리아어
'''종교'''
가톨릭 83.3%, 무종교 12.4%, 이슬람 3.7%, 기타 0.6%
'''군대'''
이탈리아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레조네'''
20개[22]
'''프로빈차'''
107개[23]
'''코무네'''
7,960개

'''정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정치 체제'''
공화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 '''29위'''(2020년)[결함있는민주주의]
'''대통령'''
'''(국가원수)'''
세르조 마타렐라
(Sergio Mattarella)
'''상원의장'''
엘리사베타 카셀라티
(Elisabetta Casellati)
'''대의원의장'''[24]
로베르토 피코
(Roberto Fico)
<bgcolor=#009246> '''각료평의회 의장'''[25]
'''{{{-2 [[정부수반|{{{#fff (정부수반)
]]'''
마리오 드라기
(Mario Draghi)
}}}}}}}}}
'''경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경제
'''명목
GDP'''

'''전체 GDP'''
1조 8,482억 달러 / 세계 8위(2020년 10월)
'''1인당 GDP'''
30,657 달러 / 세계 25위(2020년 10월)
'''GDP
(PPP)'''

'''GDP(PPP)'''
2조 4,154억 달러 / 세계 12위(2020년 10월)
'''1인당 GDP(PPP)'''
40,066 달러 / 세계 31위(2020년 10월)
'''국부'''
$11조 3,580억 / 세계 8위(2019년)
'''무역'''
'''수출량'''
5,062억 4,100만 달러(2017년)
'''수입량'''
4,521억 4,300만 달러(2017년)
'''외환보유고'''
1,431억 8,300만 달러(2016년)
'''신용 등급'''
'''Moody's''' Baa3
'''S&P''' BBB
'''Fitch''' BBB-
'''공식 화폐'''
유로(€)

'''단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기년법'''
서력기원
'''시간대'''
UTC+01:00(서머타임 적용)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대한 수교 현황'''
조선국 최초수교: 1884년
대한민국: 1956년, 북한: 2000년[26]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
'''국제 연합 가입'''
1955년
'''주한 대사관
총영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 98

'''국가 코드'''
'''380, ITA, IT'''
'''ccTLD'''
'''.it'''
'''국제 전화 코드'''
'''+39'''
'''여행 경보'''
'''특별여행주의보'''
'''전 지역'''[코로나19]
<colcolor=#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246, #009246 33%, #fff 33%, #fff 67%, #ce2b37 67%, #ce2b37)" '''위치'''
[image]


1. 개요
2. 상징
2.1. 국호
2.2. 국기
2.3. 국가
4. 자연환경
4.1. 지리
5. 인문환경
5.4. 종교
5.5. 인물
10.2. 교육
10.3. 스포츠
10.3.1. 축구
10.3.3. 농구
10.3.4. 배구
10.3.5. 럭비
10.3.6. 야구
10.3.8. 올림픽
10.3.9. 그 외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의 여러 모습들'''
'이탈리아'는 남유럽지중해에 위치한 반도 국가이다. 반도의 모양이 장화와 비슷한 것으로 유명하다. 지중해아드리아해에 접해 있다. 수도는 로마. 로마 제국의 중심지였던 국가라 고대 유럽 문화의 핵심이었고 라틴 문자의 발상지다. 북서쪽에 프랑스, 북쪽에 스위스, 오스트리아, 동북쪽에 슬로베니아와 육지상으로 국경을 접하고 있고, 직접 국경을 접하고 있진 않지만 이탈리아와 가깝고 바다만 건너면 닿는 주변국들로는 서쪽에 모나코, 스페인, 서남쪽에 알제리, 튀니지, 남쪽에 몰타, 동쪽 아드리아해 건너편에 발칸 반도에 속한 크로아티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알바니아, 그리스가 있다.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사실 발칸 반도의 범위를 최대로 확장하면 '트리에스테(Trieste)'라는 슬로베니아와의 국경 근처에 위치한 도시까지도 발칸 반도에 포함된다.
G20G7 참가국이다. GDP 8위의 국가이며,[1] 1인당 GDP는 25위, IMF 투표권은 7위다.
군축을 많이 한 걸로 알려져 있지만, 국방비 순위는 11위로 무시할 수는 없는 정도이다. #.

2. 상징



2.1. 국호


<colcolor=#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246, #009246 33%, #fff 33%, #fff 67%, #ce2b37 67%, #ce2b37)" '''언어별 명칭'''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어
Repubblica Italiana
Italia
그리스어
Ιταλική Δημοκρατία
Ιταλία
나폴리어
Repubbreca (i)taliana
(I)talia
독일어
Italienische Republik
Italien
라딘어
Republica Taliana
Talia
라틴어
Res publica Italica
Italia
러시아어
Италья́н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Ита́лия
로망슈어
Republica Taliana
Italia
롬바르디아어
Republega Italiana
Itàlia
리구리아어
Repubbrica Italiann-a
Itàlia
베네토어
Republica Itałiana
Itałia
사르데냐어
Repùblica Italiana
Itàlia
시칠리아어
Ripùbbrica Taliana
Italia 혹은 Talia
에밀리아로마냐어
Repóblica italiâna
Itâlia 혹은 Itâglia
영어
Italian Republic
Italy
코르시카어
Republica Taliana
Italia
프랑스어
République italienne
Italie
프리울리어
Republiche Italie
Italie
피에몬테어
Repùblica Italian-a
Italia
일본어
イタリア共和国
중국어
意大利(義大利)共和国
한자 음차
伊太利(이태리)

공식 국명은 이탈리아 공화국(Repubblica Italiana)이다. 시라쿠사의 안티오코스(기원전 5세기)에 따르면, 원래 이탈리아라는 명칭은 이탈리 사람들이 살던 남부의 칼라브리아 지방에만 쓰였다. 송아지를 의미하는 라틴어 비툴루스와 관련이 있는 비텔리아의 그리스어 형태인 것으로 보인다. 이 명칭이 쓰인 것은 그 지방의 목초지와 소 때문일 수도 있고, 그 지방 사람들이 수소 신의 후손으로 자처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로마 제국을 거치면서 반도 전체로 뜻이 확장되었고, 로마 제국이 기원전 1세기 무렵 사비네 족, 삼니테 족 등 이탈리아 반도의 여러 부족들을 통칭하여 이탈리아인이라 표현하였다.
서로마 멸망 이후 이탈리아라는 이름은 지리적으로만 쓰이다가 리소르지멘토를 계기로 민족적 함의를 지니게 되었다. 1861년에 반도의 통일을 이루면서 국호로 이탈리아 왕국(Regno d'Italia)을 채택했다. 1948년에 공화국이 되어서도 이탈리아라는 국명을 유지하고 있다.
한자 음차 명칭은 이태리(伊太利)이다. 그 외에 이태리아(伊太利亜), 의대리(意大利, 義大利) 등이 있다. 한 글자로 줄여 부를 땐 ''''이''''(伊) 라고 한다.

2.2. 국기


[image]
초록, 하양, 빨강의 3색기로 왼쪽에 파랑을 사용하는 프랑스의 3색기와 구분하기 위해 이탈리아 3색기라고 부른다. 초록, 하양, 빨강의 색깔의 유래는 여러 가지 설이 있어서, 자유, 평등, 박애라고 보기도 하고 이탈리아의 삼림과 국토의 초록, 알프스의 눈과 평화의 하양, 애국과 열혈의 빨강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백인들의 벽안 눈동자, 눈자위, 피를 상징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국기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만들어준 것이다. 나폴레옹은 1796년부터 정복한 이탈리아 반도 내의 영토들을 프랑스의 종속국으로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고, 이탈리아 북부에 치살피나 공화국(Repubblica Cisalpina)[2]을 만들었다. 이 국가의 국기가 프랑스의 국기를 본따서 만든 초록, 하양, 빨강의 삼색기[3]였다. 초록은 당시 밀라노 민병대의 제복 색깔이었고 하양, 빨강은 비스콘티 가문[4]이 지배하던 시절 밀라노 공국의 국기(성 조지의 십자가)에서 따왔다. 그렇지만 오늘날 이탈리아는 이렇게 해석하지는 않는다.
[image]
1848년 이탈리아 통일을 시작할 당시 사르데냐 왕국의 군대는 이 삼색기에 사보이아 왕조의 문장을 삽입한 국기를 군기로 채택하였다. 이 때 삼색기는 처음의 통일 대상이자 밀라노가 있었던 롬바르디아 사람들을 뜻하였는데 의미가 확장되어 전 이탈리아를 상징하게 되었다. 1861년 이탈리아 왕국이 성립된 후에도 이것을 국기로 채택하였으나 1946년 왕정을 폐지하고 공화국으로 개헌한 이후 사보이아 왕조의 문장을 삭제하였다.
외국의 이탈리안 레스토랑 등에서도 이탈리아 국기가 게양되거나 무늬가 그려질 정도로 인지도가 높기도 하다. 국기의 색깔이 피자의 토핑 색깔과 비슷하기 때문에 기억하기도 쉽다.[5]
이탈리아 요리에 빗대어서 3색은 바질, 모짜렐라 치즈, 토마토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피자 마르게리타는 이탈리아 국기에서 따와서 마르게리타 왕비를 위해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 이 요리가 등장한 것은 그보다 훨씬 전이지만 현재도 이탈리아를 상징하는 음식으로 전세계에서 유명하다.

2.3. 국가




3. 역사





4. 자연환경



4.1. 지리


이탈리아는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에 있기 때문에 지진 위험 국가 중 하나다. 큰 지진이 한 번 일어나면 그 지역은 많은 피해를 입는다. 특히 피해를 입은 지역은 대부분 벽돌 건물이어서 피해가 더 컸다.
기원전 1450년 규모 7.1, 최대 진도 X인 지진이 고대 도시 Lacus Cimini(라쿠스 시미니)에서 발생했다. 79년 8월 24일 규모 6.9, 최대 진도 X인 지진이 나폴리에서 발생했다. 이날 베수비오 화산이 대폭발을 일으켰고, 그 영향으로 폼페이가 사라졌다. 1065년 1월 21일 규모 6.8, 최대 진도 X인 지진이 시칠리아에서 발생했다. 사망자 975명. 1456년 12월 5일 규모 6.3, 최대 진도 XI인 지진이 아벨리노, 나폴리를 중심으로 발생했다. 사망자 30,000여명. 1570년 11월 17일 규모 5.5의 지진이 페라라를 중심으로 발생했다. 사망자 125명. 1693년 1월 11일, 규모 7.4, 최대진도 XI의 대지진이 시칠리아에서 발생했다. 사망자는 '''60,000명.''' 1980년 11월 23일 규모 6.9, 최대 진도 X인 지진이 이르피니아에서 발생했다. 사망자 2,483-4,900명. 2009년 4월 6일 규모 6.4, 최대 진도 VIII인 2009년 라퀼라 지진이 발생했다. 2016년 8월 24일 규모 6.2, 최대 진도 IX인 2016년 이탈리아 중부 지진이 발생했다. 2016년 10월 30일 규모 6.6, 최대 진도 IX인 2016년 이탈리아 페루자 지진이 발생했다.

5. 인문환경



5.1. 인구




5.2. 민족




5.3. 언어



공용어는 이탈리아어다. 현대 표준 이탈리아어는 토스카나 지방의 피렌체 방언에 기초하고 있다.
다른 유럽 국가와 마찬가지로 지역마다 언어가 다르다. 흔히 사투리라고 하지만 이탈리아의 여러 방언들은 현재의 표준 이탈리아어를 포함해 모두 속라틴어(Vulgar Latin)에서 파생된 것들이고 이탈리아 반도가 한 국가로 통합된지도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방언을 쓰는 사람은 스스로 방언을 쓰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표준 이탈리아어와는 다른 언어를 쓰고 있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다. 아예 표준 이탈리아어와 의사 소통이 힘든 방언들도 많다. 그리고 라딘어 등도 쓰이고 있다.
그 외에도 쥐트티롤 지방에서는 역사적 이유로 인해 독일어(극소수는 바이에른어)가 많이 쓰이며, 시칠리아사르데냐의 언어(시칠리아어, 사르데냐어, 카탈루냐어 알게로 방언 등)는 표준 이탈리아어와는 의사소통이 힘들 정도로 이질적이다. 이탈리아에서도 슬라브계 민족들이 일부 거주하고 있어서 슬로베니아어[6], 크로아티아어[7]도 쓰이고 있다. 이탈리아내에도 알바니아인들이 거주하고 있어서 알바니아어[8]도 쓰이고 있다. 그 외에도 세르비아어[9]와 남부 일부 지역에서 그리스어[10]도 쓰이고 있다. 발레다오스타에선 프랑스어가 이탈리아와 함께 쓰이고 있어서 이중언어구사자가 쥐트티롤과 마찬가지로 높은 편이다. 이탈리아는 각 지방에서 쓰이는 언어들이 다양하지만,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유럽 지방 언어·소수 언어 헌장에는 서명하지 않았다.
주요 외국어는 영어지만,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도 많이 가르치고 있다.

5.4. 종교


가톨릭의 총본산인 바티칸이 로마 시내에 있다는 점만 봐도 바로 알 수 있듯이 유럽 국가 중에서도 매우 독실한 가톨릭 국가라 보수적인 면이 많다. 그렇지만 이탈리아는 오랫동안 지방 분권적인 성향을 가졌기 때문에 다양한 종교 관습이 남아 있다. 그러나 세속화가 진행되면서 종교의 영향이 많이 줄고 있고, 2017년 기준으로 무종교인도 26%로 늘었다.

5.5. 인물



6. 행정구역





7. 정치




7.1. 외교




7.2. 사법




8. 경제




9. 사회




10. 문화




10.1. 관광




'''10 Best Places to Visit in Italy - Travel Video'''

10.2. 교육


예술 분야에서는 유학을 갈 국가를 정할 때 이탈리아를 먼저 생각할 정도로 유명하다. 예술에 대한 존중 의식도 깊기 때문에 이탈리아에서 교육을 받은 예술가들은 예술 작품의 표현 성향이 꽤나 자유로운 편이다.
다만, 유럽 내에서는 25∼64세 사이에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이수한 인구 비율은 62.2%로 영국을 포함한 유럽연합(EU) 28개국 평균(78.7%)에 한참 못 미쳤다.# 여기에 고질적인 남북 간의 교육 이수 차이도 드러난다.

10.3. 스포츠



10.3.1. 축구


유명한 스포츠 강국으로, 특히 축구로 널리 알려졌다. 축구 외에도 여러 종목에서 좋은 성적을 올리는 선수들을 많이 배출하고 있다. 올림픽에서도 메달 순위 상위권에 자주 이름을 올린다.

이탈리아인에게 이탈리아 최대의 종교가 뭐냐는 질문을 한다면, 대부분 2개의 종교를 이야기할 것이다. 첫째로 당연히 바티칸에 수장을 두고 있는 가톨릭이다. 이탈리아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성당들과 몇백만의 신자들이 있지 않은가. 둘째로 의심의 여지없이 코베르챠노(Coverciano)에 본거지를 둔 축구교다. 이탈리아 축구 협회(FIGC)의 기술 부서가 있는 피렌체 코베르챠노에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훈련이 이루어진다. 가톨릭 성당처럼 축구에도 성전이 있다.

이탈리아 남북을 통틀어 각 지방마다 수만 개의 축구장이 있고 신봉자는 3천만 이상인데, 이탈리아 국민의 약 52%인 셈이다. 흥미로운 점은 이탈리아 대다수의 축구장은 정말 성당 뒤에 있다는 것이다. 이탈리아에는 모든 작은 도시마다 성당이 있다. 역사적으로 모든 성당들 바로 옆에 축구장이 있는데, 이 곳에서 미사가 끝난 뒤에 아이들이 축구를 하며 시간을 즐길 수 있다. 100년이 넘도록 매주 일요일 아침 성당에서 미사를 드리고, 낮에는 축구를 하는 풍경이 낯선 우연이 아닌 것이다. 아이들은 공을 차고, 어른들은 마음에 품은 팀이나 고향 팀을 응원하게 된다.

알베르토 몬디[11]

유럽이 대체로 다 그렇지만 주말이 되면 당연히 축구를 봐야 한다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고 저녁 시간이 되면 술집에는 자신이 속한 지역 축구팀의 경기를 보며 스포츠 복권을 사고 술을 마시면서 응원을 한다. 종주국인 영국에 비교해도 될 만큼, 어쩌면 그 이상으로 전국민이 축구에 열광하는 국가고 그에 따른 서포터들의 애정이 너무나도 커서 거대한 조직인 울트라스 식으로 단체 응원을 하는 경우가 많다. 서포터들의 성향은 대체로 비슷하지만 과격한 응원을 한다. 영국훌리건들을 엄중하게 처벌하는 경우가 많아서 점점 줄었지만, 지금의 이탈리아 서포터들은 영국의 과격한 훌리건들과 비교해도 될 만큼 과격한 일이 많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종주국인 영국이 만든 Footbal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이탈리아어로 공차기라는 뜻의 Calcio라는 말을 쓴다.
FIFA 월드컵 우승 기록도 브라질의 5번에 이어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 우승한 독일과 함께 4번이며 이탈리아의 축구 리그 세리에 A는 지금은 칼치오폴리 사건으로 다소 침체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세계 4대 리그로 평가받는다.세계적인 축구 스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를 떠나 이탈리아 유벤투스에서 뛰게 되어 더 유명해졌다.
전통적인 축구 스타일은 빗장 수비(카테나치오)로 유명하며, 축구 대표팀은 별칭으로 아주리 군단이라 불리기도 한다. 반면에 공격진은 다른 강팀보다 수준이 떨어진다.
다만 이탈리아에서는 축구를 (TV로) 보는 문화지 축구장에 가는 문화가 아니다. 낙후된 경기장(대부분 종합 경기장)과 서포터들의 과격한 응원으로 인한 위험성 때문에 90년대를 정점으로 관중수는 계속 감소세다. 많은 사람들이 TV 중계를 보는 것을 선호하기에 세리에의 자국내 중계권료는 분데스리가와 거의 같은 수준이다. 2014년 기준으로 새로 맺은 계약이 양쪽 다 연간 10억 유로 정도다. 반면에 관중석은 비어있는 경우도 흔하고 티켓값도 싼 편이다.(티켓값이 분데스리가의 1/3 이하 수준) 이탈리아 축구장의 연간 관객 점유율은 54% 정도다. 90%를 당연히 넘는 EPL이나 분데스리가와 비교하기 민망할 정도다.

10.3.2. 포뮬러 1


스포츠카 브랜드로 알려진 포뮬러 1의 최고 명문팀 스쿠데리아 페라리가 이탈리아 국적의 팀이다. 1929년 엔초 페라리가 자신만의 레이싱 팀을 만들기 위해 만든 스쿠데리아 페라리는 그야말로 이탈리아 모터 스포츠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팀으로, 스포츠카 페라리도 이 팀의 운영 자금을 대기 위해 생산한 것이 그 시초다. 2000년대 초반 미하엘 슈마허를 앞세워 5년 연속으로 F1을 제패하는 최전성기를 누렸지만, 요즘은 메르세데스 AMG 페트로나스 F1레드불 레이싱에 밀려 예전보다는 못하다. 그래도 역사든 누적 성적이든 스쿠데리아 페라리가 F1 최고 명문임을 부정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사실상 페라리의 홈구장으로 불리는 몬자 서킷을 가득 채우는 티포시들의 광신적인 응원열기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워낙 인기팀이라 2010년에는 성적부진으로 프런트인 루카 디 몬테제몰로 전 페라리 회장이 이탈리아 국회 청문회에 불려나간 적도 있다. 스포츠카의 고장이지만 유명세가 널리 알려진 뛰어난 드라이버는 몇명 없다. 이전까지는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야르노 트룰리 등이 있었고, 현재는 안토니오 지오비나치가 현역으로 뛰고 있다.

10.3.3. 농구


농구도 세계적인 강국이다. 2004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을 땄다.[12] 다만 유럽에 프랑스, 스페인, 그리스, 세르비아, 러시아, 터키 같은 다른 농구 강국들도 넘치고 축구의 이미지가 워낙 커서, 농구에서 크게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한다. 프로 리그도 유럽에서 수준높은 리그 중 하나다.

10.3.4. 배구


배구도 남녀 배구 평균으로 따지면 러시아와 함께 유럽 투톱이라고 할 수 있다. 남자 배구는 1990년-1998년 3차례 연속으로 세계 선수권에서 우승했다.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은 아직 없지만 은메달 2개와 동메달 3개를 땄다. 그 외에 월드 리그 8회 우승, 유럽 선수권 6회 우승, 월드컵 1회 우승을 한 강팀이다. 세계선수권에서도 수많은 족적을 남겼다. 여자 배구 또한 강팀이기는 하지만, 남자 배구와는 다르게 본격적으로 국제 무대에 나선것은 2000년대다. 올림픽 본선에 처음 진출한 때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으로 9위를 기록했지만 이후 계속 8강에서 탈락하는 중이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쿠바에게 2-3으로 패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미국에게 2-3으로 패배,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36년만에 4강에 진출한 대한민국에게 1-3으로 패배했다. 월드컵은 2007년, 2011년 월드컵에서 우승해 2연패를 기록했다. 이탈리아 남녀 배구 리그는 세계 최고의 배구 리그 중 하나로 통한다. 배구도 인기가 꽤 있지만, 축구에 가려 배구 강국이라는 이미지는 별로 생각나지 않는다.

10.3.5. 럭비


럭비도 인기 스포츠 중 하나다. 하지만 인기와 다르게 국제 대회 성적은 내세울 게 없다. 럭비 월드컵에 꾸준히 나가지만 1987년-1995년에 1승 2패, 1999년에 0승 3패로 탈락했다. 참가국이 20개로 늘어난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조 예선에서 2승 2패로 3위를 거두고 있긴 하지만, 럭비 월드컵에선 8강부터 토너먼트를 치루기에 조 2위를 거둬야 하니 여전히 탈락이다. 물론 2승이라도 기록하는 중위권 성적을 거두고 럭비 월드컵에 계속 참가하는 걸 보면 실력은 상당히 있는 편이다.

10.3.6. 야구


이탈리아 에서 야구는 축구 등 타 종목에 비해 인기는 없는 편이지만 네덜란드 다음으로 실력이 있는 팀으로 알려져 있어, 유럽에서 야구를 하는 국가로 자주 이야기되고 있다. 종목 특성 상 장비가 필요하여 상대적으로 부유한 이탈리아 북부 지역 중심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시설 및 야구인구 등 인프라는 갖춰져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기가 성행 하고 있지만, 그렇지 못한 남부 지역은 인기가 없고 존재감이 미미한 편이다. 한대화의 홈런으로 유명한 1982년 세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2승 7패로 최하위를 기록했으나, 2승을 우승팀 대한민국[13] 준우승팀 일본에서 기록했다. 미국에 거주하던 이탈리아인 맥스 오토에 의해 보급되기 시작, 1948년에 세리에 A 프로 야구 리그[14]가 열렸다.
현재 1부 리그는 10개 클럽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리에 A1 리그가 2007년에 IBL(이탈리아 야구 리그)로 개명되었고, 2018년부터 다시 세리에 A1 리그로 회귀하였다. 그 아래에 세리에 A2, B, C 순으로 등급이 정해져 있다.
네덜란드와 마찬가지로 그래도 세미프로리그이기 선수들의 목표는 미국, 일본 등지로의 진출이지만 막상 2020년 현재 이탈리아 메이저리거 8명은 전부 미국이나 베네수엘라 출생이고 이탈리아 출생은 물론 어린 시절 이탈리아에서 자란 선수조차 단 한 명도 없다. 올림픽은 유럽에서 사실상 야구를 하는 나라가 네덜란드, 이탈리아 둘 뿐이다보니 출전권을 쉽게 획득하여 정식 종목 채택 이후 4차례 참가, 대한민국보다 더 많이 참가하기도 했다. 2013 WBC에서 사상 최초로 8강에 진출했다. 2013 아시아 시리즈에 이탈리아 프로 야구 리그인 IBL의 클럽팀인 포르티튜도 볼로냐 1953이 유럽 챔피언 자격으로 최초로 참가하였다. G.G.사토가 포르티튜도 볼로냐 1953에 진출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16년, 이탈리아 출신의 투수 알렉스 마에스트리한화 이글스의 입단 테스트에 합격, 한국프로야구 사상 첫 이탈리아 국적 선수가 되었다.

10.3.7. 사이클


유럽은 물론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콜나고, 치폴리니, 카레라, 다꼬르디, 피나렐로, 비앙키, 데로사 등의 전통적인 고급 자전거 브랜드가 있으며, 3대 구동계 메이커이자 최고의 휠 제조사로 알려진 캄파놀로가 있다. 그 외에도 3T, 데다 엘리멘티, 카스텔리, 산티니, 카스크, 루디 프로젝트 등 자전거 업계의 명품 브랜드가 있다. 비앙키는 100년이 넘은 역사와 더불어 자전거 용기병들이 타던 자전거를 만들던 회사로도 유명하다. 윈드 브레이커의 영향으로 상당히 유명해진 자전거 브랜드기도 하다. 덕분에 비앙키를 타는 라이더들이 다소 억울함을 호소한다. 대부분의 제조사가 예전만큼은 못하다는 말을 듣는 편이긴 하지만 여전히 감성의 이탈리아라는 말로 평가받는다. 지금은 대부분이 대만에서 OEM으로 찍어내는 편이다.
세계 3대 투어 중 하나인 지로 디탈리아(Giro d'Italia)가 개최되며, 해당 대회의 우승 선수에게 주어지는 핑크색 저지 말리아 로자로 유명하다.
아무래도 유럽은 고급 자전거는 어디까지나 레저용으로 다루는 편이라 도심에서 좋은 자전거들이 굴러다니는 것은 보기 힘들지만 피나렐로, 비앙키처럼 생활용도 만드는 자전거의 브랜드도 많이 볼 수 있다. 주말이 되면 도심과 조금 떨어진 지역에서 사이클로 산을 오르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10.3.8. 올림픽


역대 올림픽에서 미국, 러시아(소련 포함), 독일(동독 포함), 영국 다음으로 동하계 올림픽 합산 금메달 수 기준으로 메달 획득 순위가 높은 국가다. 2012 런던 올림픽 직전까지는 4위였는데, 개최국 영국이 많은 금메달을 따면서 순위가 하나 밀렸다. 역대 하계 올림픽에서는 프랑스, 중국보다 적은 금메달을 땄지만, 동계 올림픽까지 합치면 이탈리아가 더 많은 금메달을 땄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프랑스와 함께 전통적으로 펜싱과 사이클이 특히 강했다.[15] 현재 이탈리아의 주요 메달 종목은 펜싱, 사격, 양궁이다.
따뜻한 국가라는 이미지가 있어 동계 스포츠와 멀어 보이지만, 알프스 산맥을 끼고 있는 국가로 유럽에서 스키로 알아주는 국가 중 하나다. 알프스 국가답게 알파인 종목에서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고, 러시아 등이 독점하던 크로스컨트리 스키 종목에서도 1990년대부터 이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어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선수를 여럿 배출하였다. 그 밖에 썰매 종목(봅슬레이, 루지)에서도 꽤 많은 메달을 땄다. 동계 스포츠도 특정 종목에 편중되지 않고 여러 종목에서 뛰어나고, 여러 대회를 자주 유치하고 있다.
1980년-1990년대 스키를 제패한 스키 제왕 알베르토 톰바가 이탈리아 사람이다. 피겨 스케이팅에서는 카롤리나 코스트너[16] 정도가 유명하지만, 역사적으로 페어를 제외한 피겨 3종목에서 모두 탑랭커를 배출한 적 있는 국가다. 러시아, 미국, 일본만큼은 아니라도 유서있는 피겨 강국이다.
쇼트트랙에서는 유럽 최강국'''이었었다.''' 유럽선수권에서 메달수 1위를 달리고 있고 이탈리아의 간판 선수인 아리안나 폰타나올림픽 메달 8개로 메달 최다보유자[17] 중 한 명이다. 특히 여자 계주에서는 대한민국, 중국, 캐나다와 함께 단골이었다. 다만 세계 무대에서는 대한민국, 미국, 캐나다, 중국 등 전통 강호들에게 밀려 큰 활약은 하지 못 했고 최근 유럽 내에서도 러시아, 네덜란드의 강세에 밀리는 모습이다.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스웨덴의 스톡홀름 오레를 제치고 2026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가 선정되었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프랑스와 미국에 이어 동계 올림픽을 3번 이상 개최한 국가가 되었다.
동하계 올림픽을 통틀어 4차례 올림픽을 개최했다. 미국과 프랑스에 이어 세운 기록이다.
다른 나라와는 달리 개회식 때 앙숙인 이란과 이스라엘 사이에 끼우지 않고 맨 마지막에 입장시켰다.

10.3.9. 그 외


  • 유럽 여러 국가에서 인기가 있는 편인 핸드볼은 이탈리아 국가 대표팀이 성적이 최하위권이지만 3부 리그까지 구성되어있다.
  • 필드하키도 실력은 형편없지만 3부 리그까지 구성되어있다.
  • 아이스하키는 유럽 국가에 비하면 인기가 없는 편이지만 그래도 국제적으로는 중상위권 국가로 통하며, 인근 유럽 국가로 진출하는 이탈리아 선수도 많고 9개 정도의 팀이 참가하는 자국 세리에 리그도 있다. 2012년 남자 세계 선수권에서는 세계 최정상권 대회인 챔피언십에 참가하였으나 끝에서 2위를 하여 2013년에는 디비전 1A로 한단계 내려가 경기를 하게 되었다.

11. 군사



로마 제국 시대에 너무 잘 나갔던 모습이 두드러져서 그런지 이후로는 전쟁에 상당히 약하다는 이미지가 있고 특히 근대 이후에는 이런 경향이 두드러져 상당한 과장이 더해졌지만 이탈리아군의 졸전 기록들은 거짓말이라고 해도 믿을 정도로 화려하다.
그러나 시칠리아에서 유래한 마피아[18] 극성 훌리건들, 붉은 여단 등을 보면 정부 주도의 싸움만 못하는 것 같다는 이미지도 있다. 게다가 이탈리아계 미국인들을 보면 미군에 입대해 잘 싸우는 사람들도 많다. 술 때문에 그런 거 아니냔 설도 있는데 묘하게 설득력이 있다(…). 대전 중 유명한 101공수사단에서도 아일랜드계 미국인 이상으로 이탈리아계 미국인 숫자가 많았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
이미지가 좋지 않다고는 하지만 통일 이탈리아 왕국이 세워진 19세기 후반부터 이탈리아는 열강의 반열에는 꾸준히 들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도 결코 못싸운 건 아니었다. 이탈리아보다 체급이 한 단계 더 컸던 열강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상대로도 잘 맞서 싸웠으며 해군력은 이미 통일 이후부터도 세계 순위권에 들어서 당시 지중해에서 오-헝제국과 해군 양대산맥이었다. 이후에는 오-헝제국이 1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하여 해체되면서 남티롤과 이스트리아를 획득하고 지중해에서 최강의 해군력을 보유하게 되었다.[19]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서는 세계 5위 규모의 해군을 보유한 상태로 참석하여 세계 4위 규모로 여겨진 프랑스와 동급의 대접을 받았고. 이탈리아 해군은 배의 크기와 용기는 반비례한다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다만, 어쨌든 보유 전력 자체는 무시할 만한 상황은 아니었다. 2차대전 직전까지도 영국은 이탈리아가 추축국으로 참전하면 지중해가 위험해질까봐 이탈리아의 참전을 막으려고 노력했다.
여러 가지 이야기가 나와도 이탈리아군이 못 싸운다고 평가받는 건 사실 제2차 세계 대전 때문인데, 이탈리아군의 입장에서는 조금 억울한 면이 없잖아 있다. 그래봐야 선전포고를 남발해 동맹국에게 엄청난 민폐와 피해를 입혔으니 할 말은 없겠지만, 사실 이탈리아 통일 전후 이탈리아 반도의 상황이 워낙 어지러웠던지라 국가 전체가 혼란스러웠고 이 때문에 군대의 문제를 혁신할 여력이 없었다고도 할 수 있다. 으레 웃음거리 삼는 민족성이나 국민성의 문제로 못 싸운 건 아니다. [20] 이러한 환경을 살펴보지 않고 이탈리아군을 평가하면 '정부 주도의 싸움은 못한다' 거나 '남의 나라에선 잘 싸우던데?' 하는 식으로 묘사하게 되는 것이다. 이탈리아인의 기질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라 마땅히 군 조직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 그리고 그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무책임하게 참전한 수뇌부에게 가장 큰 원인을 물어야 할 것이다. 여기까지는 사실 상식적인 내용이지만 기본적으로 이탈리아는 상위권의 열강보다는 산업력이 떨어졌다는 것도 고려를 해야 한다.
이러한 산업력 등으로 무기 자체도 안습에 가까웠다. 사실 아프리카에 파견온 이탈리아군을 독일 북아프리카군의 리더인 에르빈 롬멜이 와서 시찰했을 때, '''병사 개개인의 능력은 뛰어나다'''고 극찬했다. 하지만 2차대전부터 매우 중요해지는 기갑장비, 특히 전차가 타국에 비해 떨어져서 어떤 무모한 열도와 동급인 수준이었다고 보기도 한다. 전차가 발전하려면, 전차 제작사에도 경쟁사가 있어야지 군에 제식 채용되기 위해서 더 좋은 기능을 넣는데, 이탈리아군의 전차는 피아트의 독점 체제라고 봐도 무방했고 영국이나 프랑스 같은 국가를 제외하면 개발 시점은 비슷했지만 나중에는 많은 차이를 가져 오게 되었다.
냉전 시대에 NATO군이 WTO군과 충돌하게 될 경우의 작계에서 이탈리아군독일 전선으로 차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칸 반도아드리아해(즉, 유고슬라비아 방면)를 통해 침입해 올 바르샤바 조약군의 저지와 동지중해의 대잠작전을 담당하고 있었다. 독일 전선으로 차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었다는 오해는 이렇게 역할을 맡은 전선이 다른 것을 착각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발칸 반도는 상당히 불안정한 곳이기 때문에[21] 위급한 상황에서는 빠르게 저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지중해는 러시아의 침략이 일어날 때 러시아 흑해 함대가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 전력을 차단해야 할 국가가 필요하다. 이탈리아는 적당한 위치에서 이런 일을 맡기에 적당한 국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역할을 맡았다고 볼 수 있다. 지중해 전선에서 이탈리아가 빠지면 그리스와 발칸 반도의 일부 소국들이 이를 커버해야 하는데 흑해 함대의 위용을 생각하면 이들이 전선을 감당하는 것은 상당히 힘들다. 이탈리아도 나토의 주역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고 지중해 전선도 상당히 중요한 곳이기 때문에 적합한 역할 분담이라고 할 수 있다.

[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경보[1] 다음 GDP IMF 순위[2] 고대 로마 시대에는 이 지역에 갈리아 키살피나라는 이름의 속주가 있었는데, 치살피나(고전 라틴어로 키살피나)는 알프스 안쪽이라는 뜻이다. 강이나 산맥처럼 경계가 될 만한 특정 지명 앞에 치스가 붙으면 안쪽이라는 뜻이 되고 트란스가 붙으면 바깥쪽이라는 뜻이 된다.[3] 국기의 디자인이 계속해서 바뀌어서, 오늘날 이탈리아 국기처럼 좌측에서부터 초록, 하양, 빨강이었던 적도 있지만 위에서 아래로 빨강, 하양, 초록이었던 때도 있었고 빨강 네모 안에 하양 네모 안에 초록 네모였던 때도 있었다.[4] 밀라노밀라노 공국으로 발전시키고, 공작으로 취임한 가문. 이후 가문의 후계가 없어지고 스포르차 가문에게 공작 자리를 내어준다.[5] 대표적으로 피자 마르게리타의 토핑은 토마토 소스, 바질, 모짜렐라 치즈만 들어가기에 적절한 사례. 그래서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이 국기가 연상되는 이미지에 피자 마르게리타를 가장 선호했다는 이야기가 있다.[6] 표준 슬로베니아어와는 조금 이질적이다[7] 몰리세 크로아티아어라고 불리며 여기도 마찬가지로 본토와는 이질적.[8] 여기는 표준 알바니아어랑 말이 거의 안통한다.[9] 세르비아 본토와는 이질적이다.[10] 그리스 본토와 달리 사투리 차이가 있는 편이다.[11] #[12] 금메달을 딴 아르헨티나에게 84-69로 패배했지만, 당시 아르헨티나는 세계 최강급 팀이었다. NBA의 스타 플레이어들로 중무장된 미국을 준결승에서 만나서 89-81로 승리했다.[13] 유일한 1패였다.[14] 준리그 수준이기는 했다. 미국, 멕시코, 일본 다음이었다.[15] 역대 올림픽에서 이탈리아와 프랑스펜싱과 사이클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다만 프랑스는 최근 펜싱에서 부진하며, 2012 런던 올림픽에서는 금메달은커녕 52년만에 1개의 메달도 획득하지 못하였다. 이탈리아도 사이클에서는 최근 영국의 초강세로 주춤하다.[16] 이탈리아의 볼차노 태생으로 독일어도 원어민 수준으로 구사한다. 아버지부터가 이탈리아 국가 대표 출신에, 사촌 이졸데 코스트너도 이탈리아에 올림픽 메달을 가져다 주었다.[17] 빅토르 안, 아리안나 폰타나, 아폴로 안톤 오노[18] 시칠리아 마피아는 흉폭하기로 악명 높다. 그 악명은 영화 대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시칠리아인들이 많이 이민 온 나라가 미국이다.[19] 프랑스 역시 지중해와 접하고 있으나 프랑스는 지중해 외에도 접하고 있는 바다가 많아 해군 전력을 분산시켜야 했다.[20] 로마 제국군의 전투력은 현재까지도 정평이 나있고 이는 현대 유럽과 미국의 군사력 투사 전략의 토대가 되었다.[21]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그리고 그리스가 포함되어 있다. 영토 분쟁과 특히 코소보 사태로 상당히 감정이 격화된 국가들이 포진하고 있기 때문에 국지전과 같은 위험성이 항상 내재되어 있다. 더구나 코소보의 경우, 현재까지 자주 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형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