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Namuviki, arbor sapientiæ vobiscum colenda.'''[1]

'''나무위키, 여러분과 함께 가꾸어 나갈 지식의 나무.'''

'''Latina'''
'''라틴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 사용국
'''바티칸 시국'''[2]
원어민
'''모국어 화자는 사실상 없음'''[3]
어족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크어군
라틴어'''
문자
라틴 문자
'''언어 코드'''
ISO-639
'''LA'''
'''주요 사용 지역'''
[image]
1. 개요
2. 역사
2.1. 상고 시대
2.2. 고전 시대
2.3. 중세 시대
2.4. 근세와 현대
3. 라틴어의 위상
4. 계통
5. 분류
5.1. 상고 라틴어
5.2. 고전 라틴어
5.3. 교회 라틴어
5.4. 속 라틴어
6. 현대의 라틴어
7. 문자
8. 발음
8.1. 고전 라틴어
8.2. 교회 라틴어
8.3. 유럽 각 언어의 라틴어 발음
9. 문법
9.1. 영어한국어 화자들을 위한 라틴어식 어순 예제
10. 난도
11.2. 고등학교
11.3. 기타
12. 사용 예문과 관용어구
13. 기본 회화
14. 들어보기
15. 창작물에서의 라틴어
16. 구사자
17. 관련 문서
18. 관련 사이트

[clearfix]

1. 개요


고대 로마(특히 서로마 지역)에서[4] 쓰였던 언어. 말 그대로 라틴 민족의 언어라 하여 '라틴(Latin)어'라고 한다. 한자로는 나전어(羅甸語)라고 쓴다.[5]
로마 제국의 문화적인 영향력이 너무 컸기 때문에 이 언어로부터 분화된 로망스어군 또한 상당한 영역과 수억 명에 달하는 사용자수를 자랑하며, 로망스어계가 아닌 언어지역에서도 라틴어에서 기원한 차용어를 다수 사용하는 등,[6] 지금도 영향력이 막강한 고전 언어다. 오늘날 서유럽과 남유럽의 언어들은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라틴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덕분에 대부분의 서·남유럽 국가들은 서로의 언어를 배울 때 상당히 쉽게 배우는 편이다.
이베리아로망스어에 속하는 라디노어(Lingua djudeo-espanyola)나 레토로망스어에 속하는 라딘어(Lingaz ladin)와는 다른 언어이다.

2. 역사



2.1. 상고 시대


라틴어는 본디 이탈리아 반도의 라티움 지방(오늘날의 이탈리아 라치오)의 토착어에 유래하였다. 그리스 문자[7]에트루리아를 통해 로마로 넘어가 라틴어를 표기하는 라틴 문자가 완성되었다.
현재 발굴된 가장 오래된 라틴어 기록 중 하나는 'Carmen Saliare'라는 제가(祭歌)로, 로마 공화정 말기, 제정 시기의 작가들의 저서에서 전문이 전해지고 있다. 이 노래의 추정 작성년도는 기원전 700년경으로, 아직까지 완벽하게 해석되지 않고 학자들마다 일부 문장에 대해 다른 번역을 내놓고 있다. 무엇보다 이미 키케로 등 공화정 말기 시절 로마인들마저도 이 노래를 전부 해독해내지 못했다고 한다. 당대 로마인들 입장에서도, 기원전 700년과 공화정 말기 사이에는 약 600~700년 정도의 시대 차이로 언어가 달랐기 때문이다.
[image]
고대 로마의 팽창 직전 이탈리아 반도 중부의 언어 분포
<color=#373a3c> '''파랑'''
'''라틴팔리스크어군'''
<color=#373a3c> '''초록'''
오스크움브리아어군
<color=#373a3c> '''노랑'''
에트루리아어
또 초기의 라틴어는 당대 인근의 고대 언어들과 비슷하게 좌우교대서법을 썼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우리들에게도 익숙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방식이 정착했다.

2.2. 고전 시대


로마 제국이 규모를 확장하면서 로마 제국의 영역에는 라틴어가 널리 퍼졌으며, 이것들은 이후 다양한 다른 언어로 발달하였고, 또 이것이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지는 아니하였으나 인접한 영역의 거주민들에게도 전해져서 또 변형되었고, 또 그것이 로마와 붙어있지 않은 제3의 지역으로까지 퍼져나가고 변형되어가는 과정을 거쳐서 오늘날의 로망스어군에 속한 언어들이 탄생하게 되었다.
[image]
<color=#373a3c> '''빨강'''
고대 로마가 라틴어로 통치한 지역
'''빗금'''
20세기 중반 서부 로망스어군의 분포 지역
'''보라색 빗금'''
20세기 중반 동부 로망스어군의 분포 지역
[image]
4세기 발칸 반도의 라틴어권과 그리스어권 경계(Jireček Line). 저 경계 북쪽의 라틴어는 후에 루마니아어를 비롯한 동로망스어가 된다.
다만 로마 제국은 다민족 국가였던 만큼 제국에서 라틴어만을 쓰던 것은 아니었다. 공화정 시기부터 그리스를 비롯한 동부 지역에서는 그리스어(코이네 그리스어)가 훨씬 더 많이 쓰여 라틴어에 버금가는 국제어(링구아 프랑카)로서 기능했다. 로마 제국 시절 쓰인 신약성경만 해도 라틴어가 아닌 그리스어로 기록되었다. 또한 로마의 상류층 인사 대부분은 교양언어로서 그리스어를 할 줄 알았다. 그리스의 문화적 영향력이 상당하고, 그리스계 지역에 파견되기도 하기 때문. 베르킨게토릭스와의 알레시아 전투를 벌였을 당시에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휘하 장교들에게 라틴어가 아닌 '''그리스어'''로 서찰이나 명령서를 보낸 바 있다. 물론 카이사르에게 반기를 든 갈리아 부족장 대부분이 라틴어는 알아도 그리스어는 몰랐기 때문에, 전달하는 부하들이 잡힐 경우에도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일부러 이랬던 것이다.
또한 다민족 국가답게 고대 로마 제국 시절에는 라틴어, 그리스어뿐 아니라 다양한 언어가 널리 쓰였다. 예를 들면 레반트아람어, 이집트콥트어 등. 지금도 그렇지만 라틴어는 당시 로마제국의 속주민들 입장에서도 상당히 배우기 어려운 언어였다.

2.3. 중세 시대


[image]
유스티니아누스 1세 치하 동로마 제국 영토 내 언어 분포
'''연보라'''
'''라틴어'''
'''하늘색'''
'''라틴어와 토착 언어 병용''' [8]
'''빨강'''
그리스어
'''주황'''
그리스어와 토착 언어 병용 [9]
'''분홍'''
아람어
'''연두'''
콥트어
'''노랑'''
아르메니아어카르트벨리어족
이후 동로마 제국그리스어권 지역을 중심으로 기반을 잡았지만 라틴어를 아주 버린 것은 아니었다.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수복한 이탈리아 반도, 달마티아, 카르타고 등의 서방 영토에서는 여전히 라틴어가 쓰였다. 또한 로마법 대전이라고 불리는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은 라틴어로 편찬되었다. 그리고 고대(라틴) 로마 풍이 확 나는 '티베리우스'[10]라는 이름을 7세기 말 ~ 8세기 초 티베리우스 3세가 썼던 것도 보인다.
하지만 뒤로 갈수록 동로마에서는 라틴어 인명들의 사용 빈도가 줄다가, 결국은 전혀라고 보아도 좋을 정도로 안 쓰이게 되었다. 마케도니아 왕조 이후로는 콘스탄티노(누)스, 이사키오(우)스, 알렉시오(우)스, 테(세)오도로(루)스, 미카(하)엘(일), 마누엘(일), 안드로니코(쿠)스, 바실리오(우)스, 니케(키)포루(로)스, 요안니(한네)스, 로마누(노)스 등 10개 남짓한 이름이 황제나 주요 남자 친족, 귀족 이름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는데, 콘스탄티노스와 로마노스는 고대 로마에서 유래한 것은 맞지만 고대 로마에서는 거의 안 쓰였고, 이사키오스(이삭), 미하일(미카엘), 마누일(임마누엘), 요안니스(요한) 등은 기독교(아람어)에서 왔다. 알렉시오스, 테오도로스, 안드로니코스, 바실리오스, 니키포로스는 원래 그리스어권에 있었던 이름이다(일단 ~오스가 그리스 인명의 어미다) 반면 상술했던 티베리우스, 그나이우스, 섹스투스, 가이우스, 셉티미우스, 마르쿠스, 루키우스 등의 고대 로마식 라틴어 인명은 전혀 보이지 않게 된다.
서유럽에서는 서로마 제국의 몰락 뒤 라틴어가 각 지방어로 분화, 발달하면서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이 되었지만, 서유럽에서 학술 언어 및 교회 언어로 근세까지도 로마 제국 당시에 쓰인 형태로 보전되었고 중세 유럽의 국제어이자 필수 외국어로도 가르치기도 했다.
라틴어가 국제어(링구아 프랑카)로서의 위상을 잃은 것은 비교적 좁은 지역에 다양한 인종과 언어를 가진 중세 유럽에서 국제적 교류를 해야하는 중세의 상인들이나 지식인의 입장에서는 애석한 일이었다. 라틴어의 퇴조는 중세 사회의 지식을 독점하던 성직자들의 위상이 약해진 것도 있고 라틴어 교사들의 문제도 있었다. 라틴어가 국제어로서 널리 쓰이고 교회뿐 아니라 각국의 일반 지식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쓰이면 각국의 지방언어에도 영향을 받고 또 변화하는 사회의 영향, 그리고 실용적 학문적 언어로 쓰다보니 필요한 단어나 문법의 영향 등이 유입되어 점차 로마 세네카 시대의 고전 라틴어와 멀어졌다(언어의 사회성, 역사성).
그런데 라틴어를 가르치는 라틴어 교사들은 이런 언중들의 변화를 수용하기는커녕 세속 라틴어를 배격하고 고전 라틴어의 순수성을 지키려는 "라틴어 정화 운동"을 벌였다. 그 결과 교사들이 가르치는 고전 라틴어와 실제로 쓰이는 세속 라틴어의 차이가 점차 커졌고 고전 라틴어는 점차 실용성을 상실해 단지 가르치고 배우기만 할 뿐 실용적으로 써먹기가 어려워졌다. 그래서 실용성을 잃은 라틴어는 점차 교회 등에서만 명맥을 유지하는 죽은 말이 된 것이다. 어떤 언어도 사회와 세월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실용성을 잃으면 끝이다.

2.4. 근세와 현대


근세 이후 유럽의 국가에서는 공식적인 문헌도 자국의 언어로 작성하는 경우가 늘어나 점차 라틴어를 쓰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여러 면에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언어다. 현대에도 '''바티칸에서는 공식 언어'''로 라틴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시내에는 라틴어로 된 '''ATM'''도 있다. '''가톨릭 교회는 1960년대까지만 해도 미사라틴어만을 사용'''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에는 라틴어와 자국어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기준이 되는 것은 철저하게 라틴어 경문이며, 자국어 경문은 라틴어 원문을 엄격하게 번역한 것을 승인받아 사용해야 한다. 세계적으로 성직자나 수도자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독실한 가톨릭 신자들은 주님의 기도, 성모송 등 기본적인 기도문은 라틴어로 암송할 줄 안다. 다만, 가톨릭 교회에서도 2014년 이후로 종교 회의(시노드)에서의 공식 언어를 라틴어에서 이탈리아어변경하면서, 결국 라틴어는 종교 의례나 중요 공문서에만 쓰이게 되었다.
로망스어를 쓰지 않는 지역 출신 위인들의 전기를 읽어보면 라틴어가 얼마나 싫었는지를 참으로 열렬하게 고백하는 사람들이 많다. 왜냐하면 이탈리아나 스페인 같은 곳에서의 라틴어는 자국어의 옛 형태에 해당하지만 영국, 독일 등의 비로망스어 국가들에선 라틴어가 아무리 자국어에 영향을 많이 끼쳤다고 해도 그저 외국어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람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윈스턴 처칠로, 자서전에서 한 페이지 가까이를 소비하면서 라틴어에 대한 괴로움을 호소한다. 아인슈타인은 라틴어를 비롯한 어학 성적이 형편이 없어서 대학시험에 낙방하였다. 실제로 시험에 낙방한 그를 학장이 직접 불러서 (수학 실력을 키워갈 수 있는) 스위스로 유학을 권해줬다고 한다. 처칠 같은 경우 선생에게 'o mensa(책상이여/호격)'가 대체 무슨 뜻이냐고 물어봤다가("누가 책상한테 저렇게 부르나요") 본인도 잘 모르는 선생이 닥치고 외우면 된다고 화를 내서 더 싫어졌다고...
하지만 위인들 중에서는 라틴어에 매우 능했던 사람들도 많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서양 근세 철학자들(존 로크, 토머스 홉스 등)은 라틴어에 능했고, 과학자중에서도 아이작 뉴턴, 앙리 푸앵카레엔리코 페르미 등은 라틴어에 능했다고 전해진다. 만유인력을 최초로 설명한 뉴턴의 프린키피아도 라틴어로 쓰여졌다. 서양 중근세에 쓰인 유럽 각국의 서적을 보면, 라틴어 경구가 한국의 고사성어 쓰듯이 자주 튀어나옴을 알 수 있다. 간단하게 기타(나머지)라는 etc.도 et cetera의 줄임말이다.

3. 라틴어의 위상


지금은 사어지만 전 유럽에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동아시아권의 한문 비슷한 위상을 가졌다.
서양 인문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언어이기 때문에 서구권, 특히 라틴어에서 분화된 로망스어 사용 국가들의 학교에서는 여전히 라틴어를 가르친다. 프랑스를 기준으로 중등교육 과정에서 주당 3시간의 라틴어와 라틴 문화 수업이 배정되어 있다. 주당 3시간이면 그렇게 많은 것처럼 보이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프랑스의 법정 주당 수업 시간은 26시간으로 정해져 있다. 한국의 중등 교육 과정으로 생각하면 주5일 수업에서 하루에 1시간씩 매일 수업 듣는 것과 비슷한 비중이다. '''대학에서도 라틴어 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는데, 불과 얼마 전만 해도 유럽의 이름있는 대학의 인문-사회과학 학과에 입학하려면 라틴어는 필수였다. 최근 몇 십년 사이에는 영어의 국제화로 라틴어의 중요성이 떨어져서 이런 제한을 철폐하는 대학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영국에서는 한때 옥스브리지급 대학을 가려면 라틴어 능력을 요구했던 적도 있다. 옥스브리지 이 두 학교의 라틴어와 그리스어 고전 통합 교육과정은 Literae Humaniores(Lit. Hum.), 즉 '''인문학''' 과정으로 불리는데, 그냥 간편하게 '''The Greats''', 즉 '''위대한 과목'''으로 불린다. 1~2학년 예비 과정에서는 라틴어 혹은 그리스어를 공부하고, 남은 2년간은 그 언어로 된 고전 텍스트를 분석하고 연구한다. 최근에는 그에 따른 그리스-로마사와 철학, 예술, 현대적 이론과의 통섭 등까지 확대되었지만 여전히 가장 중요한 건 고전 텍스트다. 일반 학기 과정보다 약 1년 정도 더 소요되는데, 예로부터 옥스브리지에서 Greats 전공이면 당대 최고의 대영제국 엘리트 중 하나로 꼽힌다. 심지어 지금조차도. 예를 들어 보리스 존슨 현 영국 총리가 옥스퍼드 고전학 전공이다.
미국에서도 AP 라틴어가 존재하며, 특히 동부에 널린 고급 사립고등학교 등에서는 필수과목으로 가르친다.
대한민국의 대학에서도 일부 라틴어 과목을 개설한 경우가 있다. 특히 신학교에서는 라틴어를 중시한다. 가톨릭 신부를 양성한 신학대학에서는 라틴어를 필수로 가르친다. 예전 가톨릭 의대 같은 몇몇 의대에서도 라틴어 강의를 했었다.
'''사어라는 점 때문에 오히려 학계에서 더 잘 쓰기도''' 한다. 사어이므로 유행어나 언어의 변화 흐름이 전혀 없이[11] 몇 백 년이 지나도 원본 그대로 전달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며, 유럽에서 라틴어가 학문용어로 쓰이던 전통도 한몫한다. 사어가 아닌 언어는 살아 있기 때문에 단어의 뜻이 바뀌기도 하고, 죽기도 하고, 새로운 단어가 대체하기도 한다.[12]
특히 법학에서는 근대법의 기원인 로마법과 교회법이 모두 라틴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신학에서의 라틴어는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13] 반면 개신교에서는 성경 원문이 적혀 있는 히브리어(구약)와 코이네 그리스어(신약)를 중시하며, 라틴어는 아예 안 배우는 정통 네임드 신학교(특히 반가톨릭이나 반에큐메니컬 계통)도 많다
과학계에서 사용하는 전공 용어 및 학명도 거의 대부분이 라틴어로 이루어진다. 서구권 국가의 언어들의 상당수가 라틴어 기반이거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특정 서구권 국가의 언어에 어느 정도 능숙하다면 처음 보는 용어나 학명이라도 어느 정도 의미를 유추해낼 수 있어 기록적인 측면이나 연구자 간의 의사 소통에 도움을 준다. 가령 카를 폰 린네가 명명한 인간의 학명인 ''Homo sapiens''의 Homo는 사람을 뜻하는 Homo에서, Sapiens는 이성적인(Rational) 또는 분별 있는(discreet)을 의미하는 sapiens에서 온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비단 과학계뿐 아니라 법학계나 인문학계를 포함한 거의 모든 서양 학문에 해당하고, 또 학문을 벗어나서도 라틴어를 알고 있다면 다른 언어권의 단어도 의미 유추가 쉽다. 예를 들어 라틴어 Homo와 이의 변화[14]를 알고 있다면 '살인'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인 'Homicide'에서 해당 단어의 Homi-가 사람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라틴어 sapiens를 알고 있다면 현명하다는 뜻의 영단어 'sapient'의 의미도 짐작해 볼 수 있다.
물론 의학용어도 몽땅 라틴어다. 대흉근은 pectoralis major, 측두골은 os temporale 정도까지는 좋은데, carvenous venosum, fossa ovalis 등등이 마구 쏟아지면... 의대 본과 1학년 수업량이 사실 본과 4년 중에 가장 적음에도 불구하고 의사들이 꾸는 악몽은 거의 예외없이 본과 1학년 시험꿈인 이유도 바로 이런 라틴어 의학용어 때문. 물론 요즘은 의학용어의 영어화가 많이 되어 pectoralis major 대신 major pectoral muscle, os temporale 대신 temporal bone이라고 쓰는 경우가 많아졌다.
라틴어로 된 위키백과도 있다. 현재의 위키미디어 재단의 정책대로라면 라틴어 위키백과가 개설되지 못했을 것이다. 과거에는 현대에 쓰이지 않는 고어로 된 위키백과의 개설을 허가했지만 현재는 허가하지 않는 쪽으로 규정을 수정했기 때문이다. 물론 라틴어 위키백과의 경우 이 규정이 도입되기 전에 개설됐기 때문에 유지되고 있다. 라틴어 백'''괴'''사전도 있다! 그러나 현재는 폐쇄된 상태.
스위스에선 공용어가 4가지(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망슈어)나 되어서 특정 언어를 내세우기 곤란할 때 라틴어로 적는다. 그래서 대표로 내세우는 국명도 라틴어 표기인 Confoederatio Helvetica(헬베티아 연방)이고 ISO 국가 코드(ISO 3166-1)도 여기서 따온 CH와 CHE이다. 우리가 쓰는 '스위스'는 영어의 형용사 형태 Swiss나 프랑스어로 스위스를 가리키는 Suisse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데, Swiss의 유래가 Suisse여서 궁극적으로 프랑스어 유래라 할 수 있다.
라틴어와는 전혀 무관한 역사를 쌓아온 현대 한국의 대학들도 라틴어를 표어로 삼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론 서울대학교의 (Veritas lux mea/진리는 나의 빛). 이는 근대 대학의 개념이 유럽에서 만들어져 한국에 들어왔기(정확히는 일본을 통해) 때문에 그런 것일 수도 있지만, 사실은 '''그냥 멋있어서''' 그러는 경향이 더 크다.
브랜드명같은 것을 라틴어로 지은 예는 흔히 볼 수 있다. Natus Vincere도 라틴어로 지은 게임단 명칭이고, Invictus Gaming도 라틴어가 들어간 게임단 명칭이다. A Call To Arms도 라틴어로 가사를 만들었다. 이외에도 아무튼 있어보이는 언어이기에 일본 서브컬쳐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Fate 시리즈에서도 라틴어로 된 마술 영창을 드물잖게 볼 수 있다.

4. 계통


[image]
라틴어는 인도유럽어족 로망스어군 언어들의 할아버지격인 언어다. 서양의 여러 언어는 직간접적으로 라틴어와 연관이 있거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로망스어군은 라틴어에 근본을 두고 있다. 프랑스어, 스페인어, 레토-로망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포르투갈어 등등의 언어가 대표적인 로망스어. 실제로 학교에서 모국어 → 라틴어, 라틴어 → 모국어, 라틴어 → 타국 언어로 바꾸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 국가도 있다. 이 탓에 배우려고 하면 그 기회를 얻기는 쉬우며 대학에 따라서 영어과나 영문과는 의무적으로 배우는 곳도 있다고 한다. 로망스어 사용자들은 라틴어 낱말이면 몰라도 문법이 완전히 다른 라틴어 문장은 전혀 모른다.[15][16]
영국노르만 왕조가 들어서면서부터 자국어인 영어가 라틴어의 방언 중 하나인 프랑스어에 강력한 영향을 받아서 웬만한 귀족층이나 신사들은 사립학교에서부터 배우는 경우가 많다. 아니 배우는 경우가 많은 정도를 넘어 아예 국가시험인 13+에 학과목으로 등재되어 있다. 그리고 몇 곳의 공공기관 등지에는 라틴어 구절들을 적거나 아니면 미 해병대미 해안경비대처럼 구호가 라틴어인 경우가 있다고 한다. 첨언하면 영어 어휘의 고급형은 거의 고대 프랑스어가 그 어원이다. 영영사전에서 ORIGIN이라고 어원을 설명한 파트를 자세히 읽어보면 고대 프랑스어가 대부분의 어원으로 기록되어 있다. 일례로 dentist라는 치과의사라는 단어도 프랑스어 dentiste에서 온 것.

5. 분류



5.1. 상고 라틴어


상고 라틴어(latina archaica)는 키케로 이전의 라틴어를 말한다.
기원전 3세기 이전의 라틴어를 따로 프로토 라틴어라고 따로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프로토 라틴어는 언어학자들이나 다루므로 이 문서에선 언급하지 않는다.

5.2. 고전 라틴어


오늘날 고유명사 표기 등에 사용되는 라틴어는 기본적으로 키케로 시대의 고전 라틴어(latina classica)를 전범으로 한다. 기원전 1세기 무렵이 되어야 비로소 라틴어의 문법 체제가 정비되고 교양 있는 언어로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이전 식자층은 라틴어보다는 그리스어를 사용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라틴어'라고 하면 고전 라틴어를 가리키지만 실제로는 고전 라틴어와 교회 라틴어, 그리고 19세기 이전 각 지역별 라틴어 발음(주로 독일식과 영어식)이 무절제하게 혼용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한국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고전 라틴어를 기준으로 라틴어의 관행적인 한글 음역법을 정했지만 몇 가지는 고전 라틴어 발음과 좀 괴리가 있다.

5.3. 교회 라틴어


라틴어는 로마 제국 말기에 지역에 따라 변형된 라틴어가 그대로 쓰였으나, 문어로서의 후기 라틴어는 고전시대 라틴어를 큰 틀에서는 유지했고, 부분적으로 속화 라틴어의 어휘 변화를 받아들였다. 교회가 공식적으로 사용한 것도 이러한 문어 후기 라틴어며, 즉 고전 라틴어의 몸에 속화 라틴어의 옷을 결합시킨 것이 교회 라틴어다. 하지만 라틴어를 이렇게 세계적으로 통하는 표준 발음을 정해 놓고 그것대로 읽기 시작한 건 19세기 후반~20세기 초에 확립된 관행이다. 19세기 후반 이전까지만 해도, 유럽 각국에서는 교회의 전례용으로든 학술용으로든 간에 라틴어를 각 지역별 언어의 철자-발음 대응 규칙에 기반하여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것은 고전 한문을 오늘날 동아시아의 각 언어나 각 방언의 독법에 따라 읽는 게 제각각인 것과 같다.

5.4. 속 라틴어


서민 라틴어 혹은 속(俗)라틴어(Vulgar Latin)는 로마 제국의 팽창이 거의 끝나고 안정기에 접어든 후 다양한 민족들에게 폭넓게 사용되면서 변화된 것을 말한다. 로마 제국이 분열되며 제국 내의 문화적 통일성이 소멸된 뒤, 여기서부터 로망스어군이 분화되었고 하나의 실체로서의 "라틴어"는 죽은 언어가 되었다.

6. 현대의 라틴어


라틴어가 사어로 불리지만 완전히 사라진 언어는 아니다. 서로마 멸망 이후 라틴어를 쓰는 언중들은 옛 로마 제국의 강역 여기저기에서 여전히 살아갔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의 언어가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로 발달하고 분화되었을 뿐 그냥 사라진 것은 아니다. 만일 라틴어가 이렇게 이탈리아 반도 바깥으로 퍼져 여러 언어로 분화하지 못하고 계속 그 일대에서만 쓰였다면 프랑스어스페인어 등의 언어는 등장하지 못하고, 라틴어도 별개의 언어가 아니라 그냥 고대 이탈리아어, 중세 이탈리아어 같은 식으로 분류되었을 것이다.
라틴어와 위에 언급된 언어들 간의 관계는 고대 중국어와 현대 중국어의 일부 방언과 비슷하다. 관화광동어, 객가어 등을 관행상 중국어의 '방언'이라고 하지만 언어학적인 입장에서 접근하면 그냥 같은 어족에 속하는 개별 '언어'로 취급된다. 각각의 모어 화자끼리 만나서 구어로 의사소통이 안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현대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들을 중국어의 방언 분류 관행처럼 분류하면 '''현대 라틴어의 방언'''이라고 볼 수 있다. 유럽이나 지중해 세계가 현대 중국처럼 통일 국가로서 정체성을 유지해 왔으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등이 개별 언어가 아닌 현대 라틴어(구어)의 여러 방언들로 취급됐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실제로 이탈리아인, 스페인인, 포르투갈인을 모아놓고 자국어로 대화해 보라고 하면 완벽하게는 아니더라도 대충 상대방 말뜻을 알아들을 수 있다.
결국 라틴어가 죽은 언어라고 하는 건 여러 언어로 갈라져 독자 진화되었고 정치적, 문화적으로도 이들을 하나의 언어로 간주하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라틴어의 정의(定義) 자체도 후계 언어들을 포괄하는 명칭이 아니라 더 이상 일상에서 구어로 쓰이지 않는 특정한 고대 언어를 지칭하는 명칭으로 제한되었다. 따라서 똑같이 '사어'라고 부르더라도 아예 후계 언어를 남기지 못하고 소멸된 경우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바티칸 등에서 공용어로 쓰기는 하지만, 공용어로 써도 정의에 따라 사어일 수는 있다. 현 시점에서 엄밀한 의미의 라틴어[17]는 모국어 화자는 없고, 바티칸 및 가톨릭 교회에서도 전례(典禮) 언어로 쓸 때 또는 교황청의 중요한 공문서를 발표할 때에만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바티칸에 소속된 사제들이나 기타 인원들도 라틴어를 일상 언어로 쓰지 않으며, 공식 행사가 아닌 자리에서 자기들끼리 의사 소통할 때 쓰지도 않는다. 바티칸에 갈 정도로 능력 있는 사제라면 영어는 기본으로 잘 하므로, 영어 쓰면 된다. 그리고 바티칸은 이탈리아 영토 내에 둘러싸여 있는 미니 국가이므로 웬만하면 그냥 이탈리아어를 쓰게 될 것이다.
구호기사단에서도 바티칸과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어와 라틴어를 공식언어로 지정하고 있다.
라틴어를 공부하는 사람은 현대에도 많기에, 만일 라틴어에 매우 숙달된 남녀 둘이 만나서 라틴어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자신의 자녀들이 유아기 때부터 라틴어를 노출시켜 자녀를 라틴어 원어민으로 만들 순 있겠지만, 그런 경우가 있더라도 워낙 극소수라 부활한 언어로까지 취급할 수 없다. 이렇게 라틴어 원어민으로 자라난 아이들도 평소에는 현지의 주요 언어를 써서 생활해야 할 것이다.

7. 문자


서사 문자로서 그리스 계열의 알파벳을 차용하였는데, 이후 로마화된 알파벳은 '''라틴 문자'''의 형식으로 고정되어, 로마 멸망 이후에도 유럽 여러 나라의 서사 체계로 자리잡았으며, 서구 문명의 전파에 따라 유럽 밖의 수많은 언어의 서사체계에 사용되면서 현재 존재하는 모든 문자 중 매우 세력있는 문자다. 당시 쓰였던 라틴 문자는 현대의 라틴 문자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라틴 문자 문서를 참조.

8. 발음


라틴어를 읽는 방식은 상고 시대의 발음도 있지만, 이것을 제외하고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 흔히 ‘스콜라 발음’ 또는 ‘로마 발음’이라고 하여 오늘날 이탈리아의 학교에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것은 4, 5세기부터 시작하여 중세 시대를 지나 로마 가톨릭 교회가 사용한 방식으로, 변화와 발전을 거쳐 현재 이탈리아의 중・고등학교에서 널리 읽히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혹자는 이를 ‘교회 발음’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의 정식 명칭은 ‘학교 발음pronuntiatio scholae’ 또는 ‘스콜라 라틴어Latinitas scholastica’라고 합니다.[18]

‘스콜라 라틴어’, ‘스콜라 철학’에 담긴 의미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교재의 의미가 강합니다. 중・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철학과 어학 교재는 표준 이론들을 담고 있고, 여기에는 정설이라고 생각되는 다수의 의견만이 반영되죠. 소수 의견이나 학계의 다양한 견해는 다루지 않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중세의 ‘스콜라 철학’은 ‘이견의 여지가 없는 명확한 진리로서의 철학’이라는 의미였습니다. 마찬가지로 ‘스콜라 라틴어’도 그러한 의미로 이해한 것이고요.

둘째, ‘고전 발음’ 또는 ‘복원 발음’이라고 해서 고전 문헌을 토대로 르네상스 시대에 복원한 발음입니다. 이 발음은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 인문학자인 에라스무스가 저술한 『올바른 라틴어 및 그리스어 발음에 관한 문답』에서 출발합니다. 그러나 고전 발음을 복원하려는 시도는 고전 문헌의 초기 작가와 후기 작가, 시대와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고, 무엇보다도 모음 발음의 장단을 복원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19]

물론 이 두 가지 발음 방식 가운데 옳고 그른 것은 없습니다.

한동일 신부, "라틴어 수업"

현재 주로 사용되는 라틴어 발음 체계는 크게는 고전 라틴어[20]와 교회 라틴어(latina scholastica)로 나뉘며, 이 둘은 발음법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 대부분 가톨릭 성직자들이나 수도자들이 사용하는 발음법은 교회식이며 일부 외국 사립학교의 경우에는 드물게 고전 발음으로 가르치나 발음법이 많이 알려지지 않은 까닭에 발음이 불분명할 경우에는 교회식을 섞어쓰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당연한 말이지만, 학자들이 고전 라틴어 발음을 복원할 때에도 이탈리아 등 로망스계 국가의 언어 습관을 많이 참고한다. 그러니 충분히 일리있는 행동.
한동일 신부의 책에 따르면 "국제학술대회에서 라틴어 발음을 들어보면 영・미・독일계 학자들은 고전 발음을 고수하고, 이탈리아나 스페인 학자들은 스콜라 발음을 쓰지만, 서로 다 알아듣"고 달리 발음하는 배경엔 문화적 자존심이 깔려있다고 한다. 또한 같은 책에 의하면 라틴학계에선 고전발음, 법학계에선 스콜라 발음이 지배적.
이 사이트에서 라틴어를 입력하면 고전 라틴어 발음과 교회 라틴어 발음을 확인해볼 수 있다. 잘못 나오는 경우도 있는거 같으니,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자.

8.1. 고전 라틴어


현대 고전 라틴어의 발음은 언어학자들이 고전시대(보통 키케로 시대로부터 5현제 시대까지)의 라틴어 발음을 재구성한 것이다. 이 시대의 라틴어는 금석문, 문학작품,[21] 라틴어 교재,[22] 편지나 일상 기록[23] 등이 풍부하게 남아있으므로 19세기 말부터 언어학자들이 좀 더 실제에 가까운 고전시대 라틴어를 재구성할 수 있었다.

8.2. 교회 라틴어


교회 라틴어는 본래 정해진 발음이 있는 것은 아니었고, 가톨릭 교회의 라틴어 발음법은 유럽 각 지역어의 영향을 받아 서로 달랐다. 교회에서 19세기 말에 이르러 이탈리아 반도 지역 발음을 기반으로 통일한 것이 현재 교회 라틴어 전례에서 사용하는 발음법이다.
교회 라틴어와 고전 라틴어 발음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상황
교회 라틴어
고전 라틴어
<color=#373a3c> e, i, ae, oe 앞의 c, g
''Cicero''
각각 [t͡ʃ], [d͡ʒ]
''치체로''
각각 [k], [g]
''키케로''
<color=#373a3c> gn
''magnus''
[ɲː]
''만뉴스''
[ŋn]
''망누스''
<color=#373a3c> h
''hospes''
묵음[24][25]
''오스페스''
[h]
''호스페스''
<color=#373a3c> f, s 앞의 n
''infans''
[n]
''인판스''
앞 모음을 비음화
''잉팡스''
<color=#373a3c> f, s 앞 또는 어미의 m
''monstrum''
[m]
''몬스트룸''
앞 모음을 비음화
''몽스트룽''
<color=#373a3c> 모음 사이의 s
''rosa''
[z]
''로자''
[s]
''로사''
<color=#373a3c> e, i, ae, oe 앞의 sc
''scaevus''
[ʃː]
''셰부스''
[sk]
''스카이우스''
<color=#373a3c> 강세 없는 어중의, 모음 앞 ti
''natio''
[t͡si]
''나치오''
[ti]
''나티오''
<color=#373a3c> v
''veritas''
[v]
''베리타스''
[w]
''웨리타스''
<color=#373a3c> 모음 사이의 x
''exemplum''
[gz]
''에그젬플룸''
[ks]
''엑셈플룽''
<color=#373a3c> e, i, ae, oe 앞의 xc
''excellens''
[kʃː]
''엑셸렌스''
[ksk]
''엑스켈렝스''
<color=#373a3c> ae, oe
''oeconomia''
모두 [ɛ]
''에코노미아''
각각 [ai̯], [oi̯]
''오이코노미아''
다음은 교회 라틴어와 고전 라틴어, 상고 라틴어의 발음 차이 예시다.
NON·SCHOLÆ·SED·VITÆ·DISCIMUS[26]
NON·SCHOLAE·SED·VITAE·DISCIMVS
Non scholae sed vitae discimus.
우리는 학교가 아니라 인생을 위해서 공부한다
교회 라틴어: 논 스콜레 세드 비테 디시무스
고전 라틴어: 논 스콜라이 세드 위타이 디스키무스
상고 라틴어: 논 스콜라이 세드 위타이 디스키무스[27]
이 밖에 다른 점은 장모음/단모음의 유무, 소문자의 유무 등이 있다. 교회 라틴어는 대개 실제 구어가 아니라 문어로 많이 쓰여서 구체적인 발음에 대해서는 대략적인 틀은 있으되 세심한 부분에 대해서는 표준이 없다. 교황청에서 일부 발음에 대한 룰을 정한 적은 있으나 이 세심한 부분이라는 게 대개 라틴어 덕후, 혹은 언어학자가 아니고서는 제대로 의식하지 못할 정도. 그리고 사실상 교회 라틴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학자들과 사제들 사이에서도 지역마다, 그리고 사람마다 약간씩 차이를 보인다. 유럽 내 각지에서 봉헌되는 라틴어 미사를 잘 들어보면 바티칸, 독일, 프랑스, 오스트리아, 폴란드 등 상당히 발음이 달라진다. 물론 이 경우에도 다 서로 알아먹을 수는 있다.

8.3. 유럽 각 언어의 라틴어 발음


그 외에 19세기까지 유럽 각국이 사용한 지역별 라틴어 발음 등이 있다. 이러한 발음들은 해당 언어의 어휘로 포섭된 경우가 많다. 특히 학술용어로, 예컨대 영어 화자는 Syllabus(교수요목, 쉴라부스), Calculus(미적분학, 칼쿨루스), Alumnus(졸업생, 동창회라는 뜻으로 복수형 Alumni를 주로 사용, 알룸누스), Curriculum(교과요목, 쿠리쿨룸) 등을 고전라틴어 발음이 아닌 영어식 발음으로(실러버스, 캘큘러스, 알럼너스/알럼나이, 커리큘럼) 읽는다. 다른 유럽 제어도 마찬가지다.
현지화된 라틴어의 발음은 크게 독일권과 이탈리아권으로 나뉜다. 독일권의 경우엔 c나 p가 크(kh), 프(ph) 유기음에 가까운 반면, 이탈리아권은 c가 끄, p가 쁘 무기음에 가깝게 발음되는 편이다. 또한 고전 라틴어에서는 r이 흔히 혀를 떠는 발음이라고 불리는 Trilled r이며 영미권 발음의 영향으로 흔히 f 발음으로 읽는 ph는 프흐-에 가깝게, 마찬가지로 th(번데기 발음)으로 읽는 th도 트흐-에 가깝다. 하지만, 역시 위에 말한대로 세심한 표준 발음은 없는 편.

8.4. 강세


다른 고전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라틴어에 있어 강세는 상당히 중요하다. 물론 그리스어처럼 단어마다 강세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정도까진 아니라 해도, 강세는 한 언어를 이루는 데 있어 빠질 수 없는 부분 중 하나며 또 그 문법적 뜻을 명확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가령, 단어에 등위접속접미사인 -que나 직접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되는 접미사 -ne가 붙는 경우 강세는 접미사 바로 앞으로 간다. 성염 교수의 고급 라틴어 1과 p.18을 참조하면 라틴어의 강세는 3가지로 나뉘는데, 이는 각각 마지막 음절(Syllaba ultima), 끝에서 2번째 음절(Syllaba paenultima) 그리고 끝에서 3번째 음절(Ante-paenultima)이다. 여기서 마지막 혹은 끝이라 함은 '''단어의 끝에서부터 음절을 셈'''을 의미한다. 즉, 마지막 음절이라 함은 단어의 끝에서부터 센 마지막 음절, 곧 단어의 첫 음절을 말한다.
강세를 나누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음절의 모라'''(혹은 '''음절의 장단'''). 라틴어에서 음절의 모라를 세는 기준은 일본어와 거의 일치하는데, 기본 골자가 되는 중성 다음에 '''무언가 붙을 경우''' 중음절(heavy syllable), 그렇지 않을 경우 경음절(light syllable)이라고 부른다. 즉 장모음, 이중모음, 혹은 종성이 있을 경우 중음절(예: mī, an, tae, strō, ōm), 그렇지 않을 경우가 경음절(예: ma, stra, te, ci)이다. 음절을 나누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기 때문에 이곳에 전부 서술하는 것은 무리지만 간단한 팁을 주자면, 먼저 모음을 기준으로 음절을 나누고(이때 단어 제일 끝의 자음은 단어의 마지막 음절과 한 덩어리로 취급해야 한다.) 모음과 모음 사이에 자음이 2개 이상일 경우 앞 자음은 앞 음절에 붙인다. (단, 파열음, 즉 b·p·d·t·g·c·k 뒤에 유음 l·r이 오는 경우는 자음을 이동시키지 않는다.)
3가지 강세 중에서, 마지막 음절(Syllaba ultima)은 vīr, vīrī, m., dōnum, -ī, n.과 같이 단어의 길이가 짧아 단어를 이루는 음절이 2개 이하인 경우에 온다. 끝에서 2번째 음절(Syllaba paenultima)은 음절이 3개 이상인 단어에서 끝에서 2번째 음절이 중음절일 경우 강세를 갖는데, 예를 들어 Amīcus, -ī, m.는 끝에서 2번째 음절인 mī가 중음절이기 때문에 강세를 받는다. 또 magīster, magīstrī, m.의 예에도 끝에서 2번째 음절이 gīs로써 장모음에 자음이 붙는 중음절이기 때문에 강세를 받는다. 마지막으로, 끝에서 3번째 음절(Ante-paenultima)은 마지막 음절과 끝에서 2번째 음절을 제외한 나머지 경우에 해당한다.
주의할 점은 한 단어에 강세는 하나란 점이다. 또한, 강세는 단어의 곡용, 활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예시로 taurus, -ī, m.의 경우 단수 주격에선 강세가 마지막 음절에 붙지만 복수 속격인 taurōrum에선 강세가 끝에서 2번째 음절에 붙음을 알 수 있다.) 위에도 설명했듯 몇몇 접미사가 붙을 경우 음절이 무조건 접미사 앞으로 간다는 것이다.

9. 문법


대표적인 굴절어로서, 명사, 형용사, 동사 등의 주요 품사들이 문장에서 사용될 때 , 수, , 시제, 등에 따라 활용한다. 명사와 형용사가 격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어순이 자유로운 면이 있다. 하지만 품사의 변화 형태에 따라서 어떤 품사인지를 문맥을 통해서 파악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아주 자유롭다고 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아래의 문장인

Gladiātōrēs leōnēs necant.

'검투사들이 사자들을 죽인다'도 될 수 있고 '검투사들을 사자들이 죽인다'도 될 수 있다. 하필이면 주어로 쓰이는 복수 주격과 목적어로 쓰이는 복수 대격의 형태가 같기 때문에 생기는 일.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라틴어 화자들은 주어-목적어-동사, 즉 SOV 형태의 문장을 주로 사용하였다. 한국어의 어순과 같지만, 세계 언어의 절대 다수가 주-목-동, 혹은 주-동-목 어순을 주로 쓰니까 이상하게 여길 필요는 없다. 이 어순은 카이사르가 즐겨 쓴 문체로도 유명하다. 그런데 라틴어의 직계 후손들인 로망스어군(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과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게르만어파(영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등)를 포함한 거의 대부분의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SVO 어순을 갖는다. 이런 상이한 어순은 유럽어 사용자들의 학습 난이도를 올리는 데 일조하였다.
그래도 어순 설정하는 게 완전히 제멋대로는 아니라서, 교재에 나와 있는 예문 몇 백 개쯤 읽어보면 나름대로 감이 잡힌다. 대충 맨 앞에 있는 단어가 가장 강조되고 맨 뒤에 있는 단어도 상당한 강도를 띤다는 듯.
기본적으로 사전에 등재된 동사의 형식은 현재형-1인칭-단수다. 영어의 동사원형(부정사)에 해당하는 형태는 -āre, -ēre, -ere, -īre의 4가지가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선 사전마다 다른 모양으로, 허창덕 저 '초급 라틴어'에선 동사의 경우 "현재진행 1인칭 단수 - 현재완료 1인칭 단수 - 목적분사 - 부정형" 순서로 한 단어에 으뜸꼴을 4개를 제시하고 있다. 인터넷 사전이나 Oxford Latine Course의 경우에는 '''현재 1인칭 단수 - 부정형(infinitive) - 완료과거(현재완료) 1인칭 단수 - 목적분사(supine) 또는 과거분사'''의 순으로 제공하고 있다. 목적분사일 경우 -um 꼴이고, 과거분사일 경우는 -us 꼴이다. 과거분사의 중성 단수 주격형과 능동 목적분사는 형태가 같다. 사전마다 순서가 다르다 하더라도, 저 4개를 쓴다는 것은 같다. 단 자동사는 과거분사가 없다든지, 불비동사는 과거형이 없다든지, 탈형동사나 반탈형동사는 완료과거 1인칭 단수만 있고 과거분사는 (완료과거에 이미 나와 있으므로) 생략한다든지 해서 으뜸꼴이 꼭 4개가 안 나올 때도 있다.
동사 변화로 그 문장의 주어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1인칭/2인칭 대명사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로망스어군의 시초인지라 후대 로망스어(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루마니아어)에서 띠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H가 묵음이 아니다.
  • 정관사와 관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 굴절어의 특성이 뚜렷하여 전치사의 사용과 종류가 적다.

9.1. 영어한국어 화자들을 위한 라틴어식 어순 예제


위에서 말했듯, 라틴어는 성, 수, 격의 일치로 단어 간의 관계를 명시하는 언어이며, 어순을 자유로이 바꾸면서 강조와 뉘앙스 차이를 살리는 언어다. 이는 단어의 순서로 단어 간의 관계를 명시하는 영어와는 매우 다른 특징이며, 조사로 단어 간의 관계를 명시하는 한국어는 그나마 라틴어의 이 같은 특성을 잘 살릴 수 있다.
뭐 한마디 조언만 하자면, 영어로 먼저 쓰고 난 다음에 라틴어로 번역한 문장은 라틴어의 통사적 구조에서 볼 땐 어색한 문장인 경우가 많다. 반대로, 라틴어에서 영어로 문장을 직역할 경우 굉장히 고풍스럽거나 현학적인 말투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르네상스 무렵부터 근대까지 여러 영어 문필가들이 라틴어의 정교한 격, 시제, 태 등의 문법을 참고해가며 영어 문법을 가다듬었던 역사와도 관련이 있다.
먼저 일반적인 라틴어 어순으로 쓴 글이다.

(원문) '''Scipio manūs complōsit.'''

(영/직역) '''Scipio clapped his hands.'''

(한/직역) '''스키피오는 박수를 쳤다.'''

어순을 바꾸어서 동사를 앞에 쓰면 동사가 강조된다. 만약 이런 라틴어 문장을 어순을 지켜가면서 영어로 직역할 경우 위에서 나온 "무지하게 고풍스럽고 현학적인" 문체가 된다. 비교적 어순이 자유로운 한국어로도 직역해 놓았다.

(원문) '''complōsit Scipio manūs.'''

(영/직역) '''Clapped, Scipio did his hands.'''

(한/직역) '''박수쳤다, 스키피오는 그의 손으로.'''

(영/의역) Scipio suddenly clapped his hands.

(한/의역) 스키피오는 불현듯 박수를 쳤다.

반대로 목적어를 앞에 쓸 경우 목적어가 강조된다. 마찬가지로 이런 문장을 어순을 지키면서 영어로 직역하면 셰익스피어 연극에나 나올 법한 고색창연한 문장이 된다.

(원문) '''manūs Scipio complōsit.'''

(영/직역) '''His hands, Scipio clapped.'''

(한/직역) '''그의 손으로 스키피오는 박수를 쳤다.'''

(영/의역) It was his hands that Scipio clapped.

(한/의역) 그의 손이야말로 스키피오가 박수를 친 것이다.

이처럼 문학작품이나 역사서의 라틴어는 이래저래 배배 꼬인 어순도 많다. 한국어에서도 시적인 표현이나 구어체에서는 어순을 신경쓰지 않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심하면 몇 페이지가 넘어가도록 문장이 끝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고 한다. 이 때문에 라틴어 문학 작품을 해석하기는 참으로 어렵다.
또한 이런 예시들을 보면, 왜 영어영문학과의 최상위권이 되기 위해서는 라틴어를 배워야 하는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라틴어 유래 단어들을 익히자는 취지도 있겠지만, 좀 배운 사람들이 남긴 것이 분명한 중세 영어의 문헌들은 종종 이런 식으로 라틴어 문법으로 쓴 것이 있기 때문이다.

10. 난도


유럽어, 특히 프랑스어이탈리아어 등의 로망스어는 라틴어의 직계 후손이기 때문에 이들 언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이라면 조금 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언어가 라틴어다. 그러나 수많은 유럽인들이 학창시절 치를 떨었고, 오늘날의 학생들도 치를 떨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학생들이 라틴어 교육이 쓸모없다면서 라틴어 수강을 기피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한국에서 한자/한문 교육이 논란이 되는 것과 비슷하다. '''이탈리아인'''[28]인 성 요한 23세 교황은 신학교 시절 "'''틀린 라틴어 단어 수만큼 매를 맞았다'''"고 했다. 지금도 가톨릭 신부를 양성하는 신학대학에서는 라틴어를 필수적으로 가르치며, 라틴어 외에 히브리어, 그리스어 등도 가르친다. 그러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보다는 라틴어가 축소된 편이다. 그리고 해외로 유학 가는 신학생들과 신부들은, 추가로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도 공부한다.


유럽인들의 라틴어에 대한 애증이 느껴지는 개그 영상. 영화 몬티 파이선과 브라이언의 삶 중 일부. 참고로 백인대장 역을 맡은 존 클리스(John Cleese)는 실제로 라틴어 교사로 근무한 적이 있다.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 같이 '''영어보다 라틴어로 시를 쓰는 게 더 편하다는 괴수'''들도 간혹 존재한다. 심지어 토인비는 "'''영어 같은 천박한 언어로는 일기를 쓸 수 없다.'''"고 라틴어로 일기를 썼다. 스티븐 제이 굴드도 라틴어의 달인. 최재천 교수의 증언에 의하면 강의 중 학생과 10여분 동안 라틴어로 대화를 주고받았다고 한다.(기사)
한국인들은 대체로 공부하기가 '''매우 어렵다'''. 등산으로 따지자면 시작부터 절벽이라는 평가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하지만 스페인어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을 이미 배운 사람이라면, 비슷한 개념이 많아서 이해 자체는 어렵지 않다. 암기가 문제지. 이는 한국어영어나 모두 굴절이나 문법적 성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대다수 한국인들은 이 개념에 익숙해지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게다가 굴절도 여러 형태가 있고, 불규칙 굴절도 있기 때문에, 한 단어를 외울 때 그 단어의 굴절과 성을 같이 외워야 한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문법적 성(grammatical gender)이란 오래된 문법 용어로 고착화되어 계속 성이라고 불리는 것일 뿐 실제 성별과는 관계 없으므로 명사의 성은 따로 익혀야 한다.
이 과정만 넘어가면 평지가 등장한다고 한다고는 하는데, 음운 접변 규칙이 한국어 수준이라 마냥 쉽지는 않다. 이 음운 접변 규칙의 헬게이트는 성염 교수의 '고전 라틴어'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한국어나 영어와는 문법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처음 접하는 경우 겁부터 먹게 되는 탓도 있다. 표로 동사 활용을 정리해서 입에 익혀보면 그 뒤는 쉽다. 동사의 활용과 명사의 곡용만 정ㅋ벅ㅋ하면 그 뒤로는 문법상 고통스러울 일은 별로 없으니 겁먹지 말자. 견디면서 학습하다보면 주변의 브랜드 상표등 라틴어 차용 낱말들이 새롭게 보이는 쏠쏠한 재미를 느껴볼 수 있다.
한자를 알면 한중일 3국의 언어 습득이 수월해 지는 만큼, '''"그렇다면 라틴어를 배우면 로망스어군 언어들을 배우기가 아주 쉬워질까?"''' 라는 어처구니 없는 생각도 많이 하는데, 중론은 '''쓸데없는 짓 말고 차라리 그 언어부터 직접 배우는 게 낫다'''는 것이다. 등산에 비유하자면 언덕길이 버겨워서 곡괭이 하나 잡고 절벽으로 올라보겠다는 것과 하등 다를 바가 없다. 당장 중국어는 말할 것도 없고 한국어도 한자 단어를 굉장히 많이 사용하지만, 정작 한문과 중국어, 한국어의 문법은 큰 공통점이 없다. 단어와 문장은 다르기 때문.
상당수의 로망스어군은 어근과 어휘를 공유하기에 이를 익혀두면 단어를 외우기가 매우 쉬워지긴 하지만, 문법은 아예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게다가 각국의 로망스어는 라틴어와 닮은 것보다는 서로 닮은 정도가 훨씬 더 크므로, 예를 들면 스페인어를 배울 때 라틴어보다는 이탈리아어를 알고 있는 사람이 더 쉽게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물론 로망스어의 형태론은 라틴어보다 약식화되어 있으므로 라틴어를 익혀두면 이들이 상대적으로 쉬운 느낌이 들 수도 있다.
영어게르만어군이긴 하지만, 로망스계열 단어가 많이 섞여 들어와 있기에 라틴어 어근은 영어를 공부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특히 조금만 수준 높은 영어 어휘를 공부하다 보면 그 어원으로 반드시 따라나오는 것이 라틴어이며[29], 라틴어의 어미를 영어식으로 조금만 바꾼 것이 그대로 영어 단어로 쓰이고 있는 경우가 매우 많다. 영단어의 29%가 라틴어에서 파생됐고, 다른 29%도 라틴어의 자손격인 프랑스어에서 나온것이니 존재하는 과반의 영단어가 라틴어의 영향을 받았다. 29퍼센트라는 숫자에 속으면 안된다. 마치 한국어의 학술 어휘가 상당히 일본식 한자어와 공유되는 것처럼, 영어에서 학술 어휘는 라틴어의 위치가 그러하다. 형이상학만 보더라도, 눈치 좋은 사람은 라틴어 substantia(본질), essentia(앞과 동의어), natura(본성), forma(形相), figura(形像), speciebus(形狀)에 영어 substance, essence, nature, form, figure, species가 대응함을 알 수 있다. 기실 라틴어를 취미삼아 배우는 사람들 중 대다수는, 영어를 깊게 공부하다가 필요성이나 흥미를 느껴 시작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서양인이 한국어나 일본어를 공부하다가 한자 공부의 필요성을 느낀 셈이니 어쨌든 공부가 쉽지 않지만.


11. 한국


라틴어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일단 한국에는 드물다. 가톨릭 성직자는 일반인들보다야 꽤 잘하겠지만,[30] 그나마 교황청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로 자국어 미사를 인정한 뒤부터는 라틴어를 할 줄 아는 가톨릭 성직자도 줄어들기 시작했다고 한다. 학계에서 전문가로 손꼽히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백민관 테오도로 신부
한국 가톨릭교회의 살아있는 전설로, 한국의 사실상 유일한 라틴어 교본 및 한국 가톨릭 대사전의 사실상 단독저자.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전 학장. 이분의 라틴어 실력은 유학 다녀오신 대학인 솔로몬 대학에서 다음의 전설 같은 일화가 내려오는 수준이다. 외국인이라 이탈리아어를 제외한 외국어로 면접을 볼 수 있었는데, 라틴어로 면접을 신청했고(...), 면접관에게 면접관이 모르는 라틴어를 라틴어로 설명했을 정도였다.(...) 지금도 솔로몬 대학에서 한국인임을 밝히면 백 신부를 아느냐고 할 정도의 전설. 2004년까지 현역으로 재직했고, 2013년까지 라틴어 강의를 하다가 현재는 원로신부로 서울 대신학교 양업관에서 지내고 있다.
  • 성염
서강대학교 교수였고, 바티칸 주재 대한민국 대사이기도 했다. 대사 시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를 알현하고 아그레망을 받을 때 라틴어로 대화를 했고, 교황이 이를 듣고 놀라 반갑게 성염 대사를 맞이하여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만들었다는 일화가 있다. 또한 바티칸에서 친척을 잃고 헤매던 중 한 흑인 신부를 만났는데, 이탈리아어가 통하지 않아서 라틴어를 적어서 보여주어 그 신부님의 도움으로 그 친척을 찾을 수 있었다는 사람도 있다. 그런 만큼, 라틴어가 많이 쓰인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적어도 바티칸에서는 알아듣거나 해석할 수 있는 사람들이 많다.
  • 박종현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명예 교수.
  • 박승찬
가톨릭대학교 인문학부 철학전공 교수.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모놀로기온&프로슬로기온』,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요강』 등을 한국어로 번역했다.
단국대학교 독문과 명예 교수.
천주교 서울대교구 신부. 라틴-한국어 사전을 제작했다. 라틴-한국어 사전은 퀄리티가 상당하다. 다만 가톨릭대 출판부에서 나온 라틴어 사전은 인력 부족으로 허창덕 신부 한 명이 몇십 년을 작업하다가 1992년 선종할 때까지 완결을 못 보았다. 현재 출판된 사전은 남은 유고를 바탕으로 조금 더 추가한 것이다. 그 외에 라틴어 입문서와 구문론 저서가 남아 있다.
  • 한동일 사무엘 신부
동양인 중에서는 최초로 교황청 대법원(로타 로마나) 변호사 자격을 갖고 있다. 각국의 천주교회에서 교황청에 상소(上訴)하는 민·형사사건을 처리하는 로타 로마나의 변호사는 지난 700년 동안 930여 명밖에 없었다. 현재는 한국에 돌아와 서강대에서 교양과목으로 '초급.중급 라틴어'를 가르치다가 연세대 법무대학원 및 법학대학원으로 옮겨 '유럽법의 기원'을 가르치는 중이다. 한 신부가 지금 학생들에게 라틴어를 가르칠 때 쓰는 학습법은 교수와 학생이 서로 묻고 답하기를 반복하는 이른바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이다. 몇 년간 서강대에서 강의한 내용을 정리해서 2017년에 《라틴어 수업》이라는 책을 냈는데 서점가에서 인문학 분야 베스트셀러 5~6위에 오르고 2017년 올해의 책으로 선정됐을 정도로 반응이 좋았고, 이후로도 꾸준히 팔린다. 단, 이 책은 라틴어를 배우기 위한 교재가 아니라 라틴어를 소재로 하여 서양의 종교, 역사, 법률, 철학 등을 소개하고 인생의 선배로서 젊은 학생들에게 삶의 방식 등을 알려주는 인문학 서적이라는 점에 주의할 것. 라틴어 학습이 목적이라면 한 신부가 저술한 라틴어 교재 《카르페 라틴어》를 참고하자.
로마법 조문이 라틴어로 되었고[31] 옛날 서양 법학자들도 라틴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더욱이 현대의 동양 문헌에서도 한문 어구가 튀어나오듯이 현대의 서양 법서에서도 라틴어 어구가 종종 튀어나오기 때문에, 한국 법률가(특히 민법 교수) 중에 라틴어 문헌을 읽을 수 있는 이들이 더러 있다.
2014년 7월 15일에 한국 포털 사이트 최초로 네이버 라틴어 사전이 출시되었다. 그런데 단어의 의미만 표시되어 있지, 문법 사항에 대한 정보(동사 활용이나 명사변화에 관한 내용)는 완전히 누락되어 있어 여러모로 부족한 점이 많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센텀시티의 센텀(CENTUM)은 숫자 100을 뜻하는 라틴어다.이는 대한민국에서 라틴어가 일반적인 지명으로 쓰이고 있는 유일한 사례다. 센텀중학교, 센텀고등학교, 센텀병원, 센텀역, 동서대학교 센텀캠퍼스 등. 원래 고전 라틴어 발음으로는 /켄툼/이라, 혹은 교회 라틴어 발음으로는 /첸툼/이라고 읽어야 하지만 이는 영어의 영향 때문이다. 영미권에서는 많은 라틴어구를 영어식으로 읽는다. 예를 들어 미 해병대 구호인 Semper fi는 /셈페르 피/에 가깝지만 미국에서 /셈퍼 파이/라고 읽고 말한다.
최근에는 미국 대학 입시에 라틴어를 배우면 유리하다는 소식에 라틴어 강좌를 여는 학원이 10곳이 넘는 등 라틴어를 배우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간혹 라틴어로 브랜드명을 짓는 경우도 있는데, 현대 에쿠스, 기아 오피러스,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프리머스시네마 등이 그러하다.
드라마 제4공화국, 제5공화국의 오프닝 타이틀 곡 역시 라틴어로 되어 있다. 후자에 관한 상세는 Deus Non Vult 문서 참조.

11.1. 대학


국내에 라틴어 강좌를 개설한 학원은 아직 없다. 대학과 고등학교 몇 군데에서만 교양 과목으로 라틴어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가톨릭 신부를 양성하는 신학대학에서는 라틴어를 필수로 가르친다.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수원가톨릭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대전가톨릭대학교, 광주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각 대학에서 가르치는 라틴어는 다음 셋으로 나뉜다. 물론 교회 라틴어 이외의 것들은 학자들이 복원한 발음을 기준으로 한다.
  • 상고 라틴어
Lingua Latina Archaica. 고전기 이전에 쓰이던 라틴어.
  • 고전 라틴어
Lingua Latina Classica. 고전기[32]에 사용된 라틴어.
  • 교회 라틴어
Lingua Latina Scholastica. 중세 이래 교회에서 사용하는 라틴어로 '중세 라틴어'라고도 한다. 고전 라틴어와는 발음 등에서 꽤 다른데, 이는 고전 라틴어가 속류화된, 즉 민중이 쓰던 속라틴어(Vulgar Latin)를 모체로 하기 때문이다. 이때 고전 라틴어는 이미 문어 취급.
각 대학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 가톨릭대학교
    • 전공선택
    • 교양강좌: 교회 라틴어.
    • 문화영성대학원
    • 전공선택과목 이외에 중핵 교양 강의로 라틴어가 개설된다.
  • 건국대학교 교양과목 '서양고전어': 학기마다 번갈아 고전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가르친다. 라틴어를 가르칠 때는 휠록 라틴어 문법의 한국어 번역본을 쓰며, 수준은 명사 제3변화와 동사 제4변화까지 가르치는 정도.
  • 경희대학교 : 교양대학 후마니타스칼리지에 라틴어 초보자를 위한 '초급라틴어' 강의가 개설되어 있다. Oxford Latin Course Part 1 (2nd edition)를 교재로 사용하며, 고전 라틴어 중심으로 진행된다.
  • 고려대학교 자유전공학부에게는 필수로, 1학기 및 2학기에 각각 1, 2 나눠서 3학점짜리 교양강의로 개설된다. 라틴어1은 제도상 폐강되지 않지만 2는 수강인원이 적어 거의 폐강된다.
  • 대구가톨릭대학교
    • 신학대학에서는 당연히 교양이 아니라 전공 과목으로 가르쳤다.
    • 2012년 2학기부터 하양에 위치한 캠퍼스에서 교양과목이 생겼다.
  • 동국대학교
    • 학문기초 중 제 2외국어 과목이다. 학문기초 과목들은 졸업요건이기 때문에 반드시 해야 하는데, 다른 언어들은 워낙 괴수들이 많아 학점이 털릴수 있으므로 너도 모르고 나도 모르고 모두가 모르는 라틴어 과목은 상대적으로 학점 경쟁이 덜하기 때문에 인기가 좋다.
  • 부산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20학년도 기준 2~4학년이 배워야하는 필수교양인 '프라그마교양' 안에 '기초라틴어'라는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현(現) 유럽학부 이탈리아언어문화전공 원어민 교수님께서 가르치시며, 교회라틴어를 바탕으로 수업하며 수준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견주어 볼 수 있다.
  • 서강대학교: 교양강의로 초급 라틴어와 중급 라틴어, 신학대학원 강의로 교회 라틴어가 열린다. 특히 한동일 교수가 강의했던 초급라틴어는 명강의로 명성이 자자했으며, 이 수업을 듣기 위해 타 학교들에서도 찾아 올 정도였다.
  • 서울대학교
    • : 해당 학교의 라틴어 1에 가까운 과목이었으나, 서울대 법대는 2018년에 폐지되었다.
    • 역사교육과 전공필수 서양사교육강독: 2학년 대상. 서양고대사 과목과도 연관됨(교수님이 같은 분). 대체로 고전 라틴어를 가르치며 Wheelock's Latin을 교재로 사용한다.
    • 교양과목: 고전 라틴어를 가르친다. Fabula Docet를 교재로 선정했다고 한다.
    • 학점 외 과정: 겨울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서양고전학연구소에서 서양고전어 집중코스를 열기도 한다. 45시간에 걸쳐 진행되는 제법 빡빡한 코스이며, 가격은 8만원으로 저렴한 편. 최근 몇년 간은 희랍어는 초급·중급을 가르치지만 라틴어는 중급·고급을 가르쳐 왔는데, 2014년에는 초급 강의가 열렸다. 휠록을 교재로 사용하며 27과까지 나가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 대학원
      • 인문대학 서양고전학협동과정: 당연히,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의 독해능력이 어느 정도 있어야 입학할 수 있다.
      • : 로마법 과목들이 개설되었는데, 라틴어를 몰라도 수강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으나, 알고서 수강하는 것이 권장되었다. 어느 해엔가는, 대학원 입학시험 제2외국어 선택과목(지문 주고서 사전 갖고 번역하라는 시험) 중에 라틴어가 들어가 있었던 적도 있다. 흠좀무.[33] 그러나 2014년을 끝으로 더 이상 일반대학원에 해당 과목이 개설되지 않고 있다. 망했어요.
  • 서울시립대학교 2018년부터 교양과목으로 라틴어가 개설되고 있다. 학생들의 인기가 좋은 편.
  • 성균관대학교: 교양 과목 고전 라틴어.
  • 수원가톨릭대학교: 당연히 선택이 아닌 필수 전공이다.
  • 숙명여자대학교는 2012년 2학기서부터 교양일반으로서의 라틴어 과목이 추가되었다.
  • 연세대학교
    • 교양과목: 대학교양-언어와표현,1학년은 국제캠퍼스-대학교양-언어와표현에서 수강신청할 수 있다. 초급에 해당하는 라틴어(1)은 매학기 열리고 수강 희망자도 제법 많은 편이나, 중급에 해당하는 라틴어(2)는 수강신청자가 부족해 매년 2학기-가을학기에만 열리는 상태다. 그마저도 수강자가 많이 없어 3년에 한 번 꼴로 폐강되니, 이를 듣고 싶다면 약간의 운이 따라야 한다. 고전 라틴어를 가르친다.
    • : 2003년 이후로 신과대학에서 라틴어 강의가 열린적은 없다. 고전어 관련하여 신과대학에서 종종 열리는 강의는 희랍어히브리어다.
    • 의과대학: 1990년대에는 의과대학에서 선택과목으로 라틴어를 수강할 수 있었다(의학영어와 라틴어 중 택일). 본격적인 라틴어 강좌는 아니었으며 의사들이 알아야 하는 라틴어 용어를 위주로 가르치는 간이 라틴어였다. (최근에는 강의가 없다.) 17년 1학기에 라틴어 기원 의학용어 입문이라는 강좌가 예과생 대상으로 개설되었다. 학생들의 반응은 의학용어를 배우고자 했는데, 라틴어만 배웠다는 식. 의과대학에서 다들 아는 모 학생이 해당 수업을 수강하며 라틴어를 열심히 공부했는데, 막상 시험은 예문 해석을 검색하여 암기하는 식으로만 나와서 B 학점을 받았다 카더라.
  • 이화여자대학교: 매 1학기마다 교양으로 고전 라틴어 입문이 개설된다. Wheelock's Latin을 교재로 사용하며 2학기에는 중급 강의가 개설된다. 같은 교수가 강의하는 고전 그리스어 교양도 있다.
  •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 신학대학원 공동 과목으로 라틴어(초급), 라틴어(중급), 라틴어원전강독이 개설되어 있다.
  • 전남대학교: 교양강의로 고전 라틴어가 있다. 매 2학기마다 개설된다. 김상봉 교수가 가르친다.
  • : 정규 과목은 없다. 하지만 서양중세사를 전공한 사학과 교수가 '중앙서숙'이라는 학점 외 강좌를 통해서 라틴어 초급, 라틴어 중급, 라틴어를 통한 성경독해까지 가르치고 있다.
  •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전공선택
  • 칼빈대학교: 신학과 교양선택. 유창형 교수가 "휠록 라틴어 문법"으로 가르치고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 2012년 2학기 고전 라틴어라는 교양과목을 개설했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2004년에는 상고 라틴어를 가르쳤다. 현재는 고전 라틴어를 가르치고 있긴 하나 교회식 발음으로 읽어도 문제 없다. 성염 교수님의 책으로 하며 한 학기 동안 한권을 다 한다.

11.2. 고등학교



11.3. 기타


  • 인문학 교육 및 연구 단체 중에 라틴어 강좌를 개설하는 곳이 꽤 있다. 일례로, 정암학당(플라톤 번역 시리즈로 유명하다)에서도 라틴어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 EBSLang 온라인 과정 중에도 라틴어 강의가 있다.
  • 라틴어를 쉽게 독학하고 싶은 사람은 Lingua latina per se illustrata를 추천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라틴어로 써져있지만 그림과 쉬운 문법으로 시작해서 마치 아기가 언어를 흡수하듯이 손쉽게 배울 수 있는 책이다. yes24에서도 판매 중이다.
만국어 학습 앱이라고 할 수 있는 듀오링고에서도 배울 수 있다. 그러나 오디오 지원이 조금 미숙한 듯 하다.

12. 사용 예문과 관용어구


단어는 분류:라틴어 단어 문서 참조.
관용어구의 경우, 여기다가 다 쓰면 문서가 길어지는 관계로 따로 문서를 분류했다. 라틴어/예문참조.

13. 기본 회화



라틴어
고전 발음
교회 발음
안녕하세요.
Ave/Salve.[34]
아웨/살웨
아베/살베
이봐, 여보게, 야.
Heus.
헤우스
에우스
안녕히 가세요/안녕히 계세요/나중에 만나요.(1명에게)
Vale.
왈레
발레
안녕히 가세요. 안녕히 계세요. 나중에 만나요. (2명 이상에게)
Valete.
왈레테
발레테
안녕하세요.(아침 인사)
Bonum mane.
보눙 마네
보눔 마네
안녕하세요.(저녁 인사)
Bonam vesperam.
보낭 웨스페랑
보남 베스페람
안녕히 주무세요/잘 자요.
Bonam noctem.
보낭 녹텡
보남 녹템
만나서 반갑습니다.
Suave te cognoscere est.
수아웨 테 콩노스케레 에스트
수아베 테 코뇨셰레 에스트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Quod nomen tibi est?
쿼드 노멩 티비 에스트
쿼드 노멘 티비 에스트
내 이름은 율리우스입니다.
Mihi nomen Iulius est.
미히 노멩 율리우스 에스트
미키 노멘 율리우스 에스트
당신은 누구입니까?
Quis es?
퀴스 에스
퀴스 에스
당신은 로마인입니까?
Esne Romanus?
에스네 로마누스
에스네 로마누스
나는 로마인입니다.
Romanus sum.
로마누스 숭
로마누스 숨
나는 한국인입니다.
Coreanus sum.
코레아누스 숭
코레아누스 숨
나는 학생입니다.
Discipulus sum.
디스키풀루스 숭
디시풀루스 숨
나는 교사였습니다.
Magister eram.
마기스테르 에랑
마지스테르 에람
그는 한국인입니다.
Is(Ille) Coreanus est.
이스(일레) 코레아누스 에스트
이스(일레) 코레아누스 에스트
그녀는 스페인 사람입니다.
Ea(Illa) Hispana est.
에아(일라) 히스파나 에스트
에아(일라) 이스파나 에스트
예.
Ita.
이타
이타
아니오.
Non.


당신은 어떻게 지냈어요?/어떠십니까?
Quid agis? 뀌드 아지스?
당신들은 어떻게 지냈어요?/어떠십니까?
Quid agitis?뀌드 아지띠스?
나는 잘 지냈어요. 당신은요?
Bene mihi est. Et tū?? 베네 미히 에스뜨. 엣 뚜?
감사합니다. 나도 잘 지냈어요.
Grātiās tibī, egō quoque valeō. 그라씨아스 띠비, 에고 꿔꿰 바레오.
좋아요.
Bonum. 보눔.
나빠요.
Malum. 마룸.
그저 그래요.
Admodum bene. 앗모둠 베네.
당신은 어디 출신입니까?
Quid dēfluis? 뀌드 데프루이스?
나는 로마에서 왔습니다.
Rōmam dēfluō. 로맘 데프루오.
나는 한국에서 왔습니다.
Coreanum dēfluō. 꼬레아눔 데프루오.
당신은 어디에 살아요?
Ubi habitās? 우비 하비따스?
나는 로마에 삽니다.
Rōmæ habitō. 로매 하비또.
나는 서울에 삽니다.
Seulī habitō. 세울리 하비또.
감사합니다. (한 사람에게)
Grātiās tibī agō. 그라씨아스 띠비 아고.
감사합니다. (2명 이상에게)
Grātiās vōbīs agō. 그라씨아스 보비스 아고.
미안합니다.
Mē miseret. 메 미세레뜨.
천만에요.
Salūtātiō. 살루따씨오.
걱정하지 마세요.
Nōn sollicitāre. 논 솔리치따레.
당신은 몇 살입니까?
Quotōs annōs habēs? 꿔또스 안노스 하베스?
나는 ...살입니다.
... annōs habeō. 안노스 하베오.
실례합니다. (길을 지나갈 때)
Excusā! 엑스꾸사!
실례합니다. (무언가를 질문하거나 요청할 때)
Ignōsce! 이노스체!
이것은 무엇입니까?
Quid hōc est? 뀌드 혹 에스뜨?
저것은 라틴어로 뭐라고 합니까?
Quōmodo Lātinē hōc dīcitur? 꿔모도 라띠네 혹 디치뚜르?
저는 모릅니다./저는 하지 못합니다.
Nesciō. 네시오.
정말입니까?
Ain? 아인?
왜요?/어째서요?
Cur? 꾸르?
무엇? 어디?
Quid? Ubi? 뀌드? 우비?
당신은 라틴어를 말할 줄 압니까?
Loquerisne Latine? 로꿰리스네 라띠네?
당신은 한국어를 말할 줄 압니까?
Loquerisne Coreane? 로꿰리스네 꼬레아네?
당신은 영어를 말할 줄 압니까?
Loquerisne Anglice? 로꿰리스네 앙리체?
나는 라틴어를 말할 줄 압니다.
Latine loquor. 라띠네 로꿔르.
나는 라틴어를 말할 줄 모릅니다.
Latine non loquor. 라띠네 논 로꿔르.
내 라틴어 실력은 좋지 않습니다.
Mea lingua latīna est mala. 메아 링과 라띠나 에스뜨 마라.
아주 조금.
Minimē. 미니메.
"..."를 라틴어로 뭐라고 합니까?
Quōmodo Lātinē "..." dīcitur? 꿔모도 라띠네 "..." 디치뚜르?
제발, 청컨대.
Quæsō. 꽤소.
저는 이해하지/알아듣지 못합니다.
Nōn intellegō. 논 인텔레고.
다시 한 번 말해주시겠어요?
Iterum dicere potes? 이떼룸 디체레 뽀떼스?
천천히 말해주시겠어요?
Lentē dicere potes? 렌떼 디체레 뽀떼스?
무슨 일입니까?
Quid novī? 뀌드 노비?
이것 좀 보세요/저기 좀 보세요.
Aspice! 아스피체!
아무것도 아닙니다./별일 아닙니다.
Nullum gravis. 눌룸 그라비스.
이것은 얼마입니까?
Quanti constat? 꽌띠 꼰스따뜨?
서두르세요.
Properā! 쁘로뻬라!
지금 몇 시입니까?
Quota hōra est? 꿔따 호라 에스뜨?
10시입니다.
Hōra decima est. 호라 데치마 에스뜨.
조심하세요. (한 명에게)
Cave. 까베.
조심하세요. (2명 이상에게)
Cavete. 까베떼.
도와주세요! (한 명에게)
Adiuva! 아듀바!
도와주세요! (2명 이상에게)
Adiuvate! 아듀바떼!
불이야!
Ignis! 이니스!
멈춰! (한 명에게)
Siste! 시스떼!
멈춰! (2명 이상에게)
Sistete! 시스떼떼!
도둑 놈 잡아라!
Prehénde furem! 쁘레헨데 푸렘!
행운을 빕니다.
Fēlicitās. 펠리치따스.
힘내세요.
Bonam sanitatem! 보남 산띠따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Annum Faustum. 안눔 파우스툼.
생일 축하합니다.
Beātum Diem Nātālem. 베아툼 디엠 나타렘.
저는 아픕니다.
Nauseō. 나우세오.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Te amō. 떼 아모.
무릎을 꿇으십시오.
Flectamus genua. 프렉타무스 제누아.
일어나십시오.
Levate. 레바테.
앉으십시오.
Sedete. 세데테.
읽으십시오.
Lege. 레제.
기도합시다.
Oremus. 오레무스.
우와!/와아!
Ehem! 에헴!
좋아! 잘했어!
Euge! 에우제!
만세!
Io! 요!
로마놈들은 집에나 가라!
Romani ite domum!

14. 들어보기




불가타 성경(라틴어 성경)의 창세기 1장
대영광송 그레고리오 성가


주기도문그레고리오 성가
바티칸 국가 교황행진곡


메이플스토리의 An Eternal Breath[35]
겨울왕국Let It Go 라틴어 버전


Libera의 Sanctus
그레고리오 신비주의 음악


Globus의 Preliator
성인호칭기도 라틴어(Litaniae omnium sanctorum)

15. 창작물에서의 라틴어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언어라서 그 느낌이 매우 생소하게 다가올 수 있으며, 오래전부터 사용했다는 역사 때문에 고대 느낌이 나기 때문에 게임이나 소설, 애니메이션 등등의 창작물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언어이다. 특히 마법주문이나 유니크 아이템, 웅장한 장면에 쓰이는 BGM 가사 등에 많이 쓰인다. 심지어는 라틴어판 언사이클로피디아있었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인터넷에서 OC의 이름을 지을 때 의외로 자주 쓰이는 편이다.
서로마가 멸망한 이후 일반 회화에서 쓰이지 않고 일부 교육받은 계층에게만 국한하여 전수되어 왔으며 고대 문학, 역사 및 신화, 전설 등을 기록해온 것이 라틴어였기 때문에, 판타지물에서 마법의 주문으로 흔히 등장하는 언어로 주목을 받기도 한다. 동아시아 문화권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함께 전해진 산스크리트어 진언(眞言) 수리수리 마하수리 등이 단골 마법 주문으로 쓰이듯이. 해리 포터 시리즈마법선생 네기마에서 무수히 쓰이는 주문들이 대표적인 예다.
문법이 어렵다보니 창작물에서 쓰이는 라틴어에는 오류도 적지 않게 많다. 대표적으로 잘못 쓰인 라틴어가 네크로노미콘.
영어권에서는 모든 문장 끝에 yay만 붙이면 되는 짝퉁 라틴어인 피그 라틴(Pig Ratin)이라는 것도 가끔 나온다. 방법은 맨 앞 음원을 맨뒤로 보낸 뒤 ay를 붙이는 것. 한국에서 중국어를 흉내낼 때 ‘~해’를 문장 뒤에 붙인다든가, 일본어를 흉내낼 때 '~데스'를 붙이는 것과 비슷하다. 예) Eesay Ouyay Aterlay(See you later) 나중에 보자, 『마스크』. 이보다 더 나아가 영어 단어 끝에 뭔갈 붙여 피그 라틴보단 그럴 듯하게 라틴어스러운 분위기를 내는 도그 라틴(Dog Latin)이 있다. 예) Biggus Dickus(거대한 거시기) 로마 백부장 이름, 『몬티 파이톤과 브라이언의 삶』 / Expelliarmus(무장 해제) 마법 주문 이름, 『해리 포터 시리즈』. Dog Latin은 문법적으로 안맞는 엉터리 라틴어를 가리키는 표현이기도 하다.
  • 일본의 작곡가인 카지우라 유키도 곡에 라틴어 같이 만든 짝퉁 라틴어(조어)를 넣는다. 음에 최대한 매끄럽게 들어맞는 단어로 만들기 위해 고심하면서 만드는 단어라 하지만 아무런 뜻도 없다고 한다. 자신의 명성이 알려지기 시작한 작품 NOIR에 제공한 Salva Nos에는 뜻이 있는 진짜 라틴어로 가사를 넣었지만 보컬의 발음 실수로 INTER가 인따로 발음된다.
  • Akhuta도 자주 애용한다. 이쪽은 가사보다는 제목에 주로 넣는 편.
  • 폴아웃 시리즈에서는 일단 실존하는 언어이긴 했으나 여기서도 변함없이 사어다. 게다가 핵전쟁으로 죄다 망한 상황이라 사람들이 먹고살기도 바빠 이런 사어까지 연구할 여력이 거의 없어 현실보다도 존재감 없는 언어. 다만 예외적으로 지식을 중히 여기는 묵시록의 추종자들은 라틴어에 대해 제법 알고 있다. 아케이드 개넌이 대표적인 예. 물론 이는 이 사람이 과거 지식을 많이 보유한 엔클레이브 출신이여서 라틴어를 알고 있었다고 생각해볼 수 있지만, 개넌이 엔클레이브에 몸을 담갔던건 너무 어린 꼬꼬마 시절뿐이였고 그 이후론 쪽 황무지인으로 살아왔다. 즉 추종자 덕분에 라틴어를 알게 되었다는 쪽이 더 유력하다.

추가로 폴아웃: 뉴 베가스의 등장 집단 카이사르의 군단이 사용하는 언어인데 이는 설립자인 카이사르가 고대 로마 사회[36]를 가장 이상적인 사회로 여기고 그것을 구현하기 위해 만든 집단이 바로 카이사르의 군단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평균 교육수준이 처절할 정도로 낮은 군단의 특성상 하급 군단원들은 아웨(Ave) 같은 간단한 단어나 겨우 구사하는 정도며, 고급 군단원이 될 수록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편이다.
  • Warhammer 40,000에서는 인류제국의 공용어 중 하나인 '하이 고딕(High Gothic)'은 작중에서 라틴어로 표현된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인류제국의 중세 유럽스러운 분위기를 강조하고 하이 고딕이 현재의 라틴어와 같은 위상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장치일 뿐, 하이고딕이 곧 라틴어인 것은 아니다. 로그 트레이더의 설정에서 하이 고딕은 원래 기술의 암흑기 때 아메리카, 유럽 및 범태평양 지역의 언어를 조합해 국제 공용어로서 만들어진 언어라고 하며, 투쟁의 시대 이전까지 은하계 각지에서 공용어로 쓰였고 이 시기의 고대의 기록이나 기술 관련 문서는 거의 하이 고딕으로 쓰여졌다. 40k의 작중 배경인 4만년대 시점에서 하이 고딕은 일상 언어로는 전혀 쓰이지 않고[37], 종교 제례용 언어나 고대 기록을 해석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이나 테크프리스트들이 익히는 정도로 딱 현재의 라틴어 포지션이다.
  • 마인크래프트도 라틴어를 지원한다. 하지만 그 문법 상태는 엉망이다. 클라이언트 자체에 문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고 쓰여있긴 하지만.
  • 드라마 각시탈하이라이트에 가까운 OST엔 이 언어로 된 가사가 등장한다. 나름 의미있는 가사인데 국내에선 그 발음을 들리는 그대로 끌어다 한국어로 가사로 만들어버렸다(...).
  • 기동전사 건담 SEED에서도 일부 모빌슈트들의 무기들의 이름이 라틴어에서 유래하기도 했다.
  • 동물 인형 컬렉션 완구인 실바니안 패밀리의 실바니아(Sylvania)는 라틴어로 이라는 뜻이다. 여성 이름인 실바나스(Sylvanas)의 뜻은 '숲속에서 온 소녀라는 뜻이다.
  • 디아블로 헬파이어의 납골당 4층에 있는 보스인 나크룰이 있는 방을 열기전에 앞에 있는 3개의 기둥을 클릭하면 각각 In Spiritu Sanctum, Praedictum Otium, Efficio Obitus Ut Inimicus 라는 말이 나온다. 이후 레버를 당기면 나크룰이 많이 약해져서 나와서 공략이 쉬워진다. (여는 순서가 있어 그것대로 열어야 한다. 아니면 전혀 약해지지 않음.)
  • 던전 앤 파이터에서 어벤저가 악마화후 사용하는 스킬의 대다수와 메타몰포시스, 메타몰포시스중 처형 발동, 인간및 메타몰포시스중 다크 하울링, 파멸의 강타, 언홀리 퓨리를 사용시의 대사가 라틴어다. 프레이-이시스 레이드부터 최종보스 BGM(프레이-이시스 테마, 더 오큘러스 보스, 무형의 시로코 테마 등)에도 라틴어 가사를 넣고 있다.
  • 해리포터에선 마법 주문으로 라틴어를 인용한 몇가지 구절들이 나온다.
  • 포 아너에서 기사 진영 영웅들의 대사들은 전부 라틴어로 되어있다.
  • 데스노트에선 OST로 '레퀴엠'이 있다. 이 사망함과 동시에 극중에 연출되는 장면과 비장한 선율의 조화가 인상적이다.
  • 소울 시리즈로 유명한 미야자키 히데타카는 소울 시리즈와 블러드본 시리즈에 등장하는 지명, 인물명 대부분을 라틴어와 영어를 섞어서 작명한다. 특히 블러드본은 거의 모든 노래가 라틴어로 들리기에 해석하는 이가 많은데, 소울 시리즈의 경우 가사가 제대로 들리지도 않고 보컬의 음이 묻히는 경우가 많아서 해석하는 사람이 많지 않았다.
  • 아이작의 번제 시리즈의 대성당 스테이지 BGM의 가사에서 라틴어가 사용되었다. 가사의 내용은 게임 분위기와 맞게 절망적인것이 특징. 아이작의 번제: 리버스에서는 ???의 전투 테마곡에도 라틴어가 사용된게 확인되었고, 다른 보스들도 전반적으로 성악을 사용하지만 라틴어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등장인물 와무우는 첫 등장 시에는 지켜보던 나치 병사의 입을 통해 고대 라틴어를 쓴다고 나왔다. 물론 기둥 속 사내 특유의 초지능을 통해 금방 현대의 언어를 쓰지만. 아마 다른 기둥 속 사내들도 같을 것이다.

16. 구사자



17. 관련 문서



18. 관련 사이트



[1] 번역이 잘못되었거나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이곳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 주시기 바랍니다.[2] 바티칸 시국에서도 그나마 종교적 용도로만 쓸 뿐, 실질적인 국어는 위치상 당연히 이탈리아어이며 라틴어를 일상적인 용도로 쓰는 나라는 없다. 단, 구호기사단에서는 바티칸과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어와 라틴어를 공식언어로 쓰고 있다.[3] 원어민의 정의에 따르면 라틴어 원어민으로 분류되려면 아기가 태어나서 처음 습득한 언어가 라틴어여야 한다. 세계에서 그나마 제일 활발하게 라틴어가 쓰이는 지역이 바티칸 시국인데 여기서마저 업무적인 용도 빼고는 이탈리아어 등이 통용되고 그나마도 라틴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대부분 결혼하지 않는 가톨릭 성직자수도자들이기 때문에 그런 환경에서 아기가 자라나서 라틴어를 모국어로 가지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4] 이탈리아는 말할 것도 없고, 포에니 전쟁 후의 라틴화된 아프리카(카르타고)에서도 일상 언어로 쓰였다. 동로마에서는 공용어 자리를 희랍어가 대체했지만 유스티니아누스 시절의 로마법 대전이 라틴어로 되어있는 등 (요즘 말로 하자면) '국어' 정도의 지위는 오랫동안 유지했다.[5] 이 명칭을 사용한 교재가 아직 시중에 많이 있다.[6] 예를들어 영어는 로망스어군이 아니라 게르만어군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어 대부분이 라틴어 혹은 그리스어가 기원이다. 그리스-로마가 괜히 유럽의 부모라 불리는게 아니다![7] 더 오래 전으로 파고들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것이다.[8] 북아프리카 쪽은 Punic, 즉 멸망한 舊 카르타고어의 영향이 남아 있었다. 한편 발칸 반도 쪽은 고대 일리리아인의 언어가 남아 있었다.[9] 앞과 마찬가지로 발칸 반도 쪽은 고대 일리리아인의 언어가 남아 있었다. 소아시아 내륙은 먼 옛날 히타이트인의 직계 후신으로 알려진 고대 아나톨리아인의 언어가 남아 있었다. 소아시아가 땅도 클 뿐더러 내륙은 산세가 험해서 알렉산드로스 대왕 이래 그리스-로마의 지배가 지도의 유스티니아누스 시점까지 900년 가까이 계속되었는데도 불구하고 토착언어가 아직 사멸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학자들마다 의견차이를 보인다. 린다 허니(2007)와 프랑크 트롬블리, 존 와트(2000)에 따르면 아나톨리아 어파의 언어들은 2세기에 절멸되었다. 린다 허니(2007)에 따르면 비문도 5세기 이후 발견되는 비문이 없다. 레반트 쪽은 아람어, 이집트 쪽은 콥트어.[10] 이름 자체가 '''Tiber'''(로마 시내의 그 테베레 강) + ius(어미)다.[11] 물론 당연히 라틴어 자체도 그 내부에서 역사적 변천을 겪었기에, 어디서는 고전 라틴어를 기준으로 하고 어디서는 스콜라 라틴어를 기준으로 한다는 식의 차이는 존재한다.[12] 예를 들어, 한국에서 작업이란 단어엔 일하다는 뜻과 맘에 드는 상대에게 추파를 띄운다는 뜻이 동시에 있는데, 후자의 경우 2000년 초반 윤다훈이 유행어를 만들기 전까지는 없었던 의미가 추가된 것이다.[13] 불가타 성경이 가톨릭에서 차지한 역사적 위상을 논외로 한다고 하더라도, 타르굼과 불가타 등의 고대 번역들은 본문비평 연구에서 매우 매우 매우 중요하다. 마소라 본문(히브리어 구약의 사실상 표준)은 비록 신뢰성이 높은 본문이기는 해도, 가장 오래된 수사본이 9세기의 것이며 본문이 훼손된 것으로 추정되는 곳들도 있기에, 고대 번역 성경들을 참고해야 한다. 또한 아우구스티누스 등의 저작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라틴어는 필수이다.[14] hominis, homini, hominem, homine...[15]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화자 같은 경우 정말 간단한 문장은 알아 들을 수 있다. 예를 들면 te amo(사랑해). 이 문장은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로 각각 te amo, ti amo이다.[16] 문법이 전혀 다르다고 할 수도 없고 몇몇 로망스어는(특히 스페인어) 동사 현재형 변화가 라틴어 현재형 변화와 거의 같아 앞 주석의 te amo같이 현재형으로 쓰인 단어는 어느정도 뜻 유추가 가능할 것이다.[17] 즉 라틴어에서 파생된 로망스어군의 언어들은 여기에 포함시키지 않음.[18] A. Traina, Propedeutica al latino universitario, Bologna, 1986, p. 67.[19] N. Flocchini, P. Guidotti Bacci, M. Moscio, Maiorum Lingua-Manuale, Milano, 2007, p. 37 참조.[20] 정확히는 고전 라틴어의 추정음. 당연한 일이지만 고전 라틴어 발음은 오늘날까지 전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언어학자들이 추정해서 복원한 것이다.[21] 운문 문학작품은 발음에 관해 힌트를 줄 수 있다. 아무래도 라임이 맞는 단어끼리 같이 놓았을 것이므로.[22] 로마로 이주한 타지역 사람들에게 라틴어를 가르치는 학교가 성행했으며 발음방법에 대한 기록이 존재함.[23] 일상어 기록에서 맞춤법 오류를 바탕으로 발음을 추측할 수 있음. 예컨대 AE라고 쓸 것을 E라고 잘못 쓴 기록이 많이 발견된다면, AE의 실제 발음은 E와 유사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한국어로 예를 들면, ㅐ와 ㅔ의 구분이 흐려지는 것을 보면서 현대 한국어에서 ㅐ와 ㅔ의 발음차이가 거의 없는 것을 유추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24] mihi, nihil의 h는 예외적으로 [k\]로 발음한다. 고전 라틴어에서는 이것들도 [h\].[25] 그러나 허창덕 신부가 가톨릭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한 초급 라틴어, 중급 라틴어 등에서는 h애 대해서 일관적으로 [h\]로 발음하도록 하고 있다.[26] AE 이중모음을 한 철자로 묶어서 쓰는 것은 교회 라틴어의 표기법. 고전 라틴어에서는 AE, AU, OE 이중모음도 2글자로 나눠서 쓴다. 그 대신, 앞의 철자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를 뒤의 모음 위에 점 2개를 찍어 구분한다. (e.g. poëta)[27] 상고 라틴어는 철자부터 고전시대와 달랐다. 대표적으로 고전 라틴어에서 '아이'로 발음되는 모음 AE는 상고 라틴어에서는 AI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았다.[28] 라틴어와 매우 가까운 언어를 쓰는 나라.[29] 영어권에서는 라틴어 텍스트에 대한 영어 번역이 거의 모든 알려진 텍스트가 다 번역되어 있다고 할만큼 매우 활발하게 잘 되어있는데 라틴어를 영어로 번역한 텍스트들을 읽다보면 간혹 번역자가 보기에 애매한 의미의 단어를 라틴어에서 라틴어가 원형인 영어 어휘로 바로 번역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 엄밀히 말하면 틀린 번역이 아니라고 할 수도 있으나 현대 영어에서 그 단어가 의미하는 바와는 조금(많이) 다른 의미일 수 있다.[30] 그러나 이것도 성직자마다 개인차가 있다. 라틴어가 발음 규칙은 쉬운 편이라 일단 소리내어 읽는 것이야 다들 하겠고, 기본적인 해석이나 간단한 작문 역시 다들 하겠지만, 유학 갈 정도의 학구파가 아닌 이상 유창하게 하는 성직자는 드물다.[31] 고대 그리스어도 종종 나오기는 한다.[32] B.C.1세기 ~A.D.2세기. 라틴어가 문법 등에서도 가장 정교하게 발달하고, '로마어'로서의 라틴어 자료도 가장 많이 남아있는 시기. 세네카 같은 라틴어 굇수들이 살다간 시기도 이때.[33] 원래 서울대 대학원 법학과 입시에는 제2외국어 과목이 있었으나(제2외국어가 입시과목일 때에는 일정 점수 이상 득점하면 논문제출자격시험에서 제2외국어 시험을 면제해 줬다), 학생들의 제2외국어 실력이 너무 부족해서 나중에는 입시에서 아예 제2외국어 선택과목 자체가 사라졌다(즉, 논자시에서만 제2외국어 시험을 치르는 것으로 되었다.)[34] 전자는 매우 격식을 갖추어 하는 정중한 인삿말이고, 친구 등 좀 더 격식에 얽매이지 않는 인삿말은 후자이다.[35] 5천일 기념곡[36] 하지만 카이사르가 본딴것은 정확히는 로마의 '군대'에 불과할 뿐이며, 따라서 군단의 특성은 로마 제국 보다는 스파르타에 더 가깝다. 사실, 따지고 보면 스파르타보다도 못하다.[37] 국내에서는 하이 고딕이 귀족들의 언어, 로우 고딕(Low Gothic)이 평민들의 언어 같은 식으로 알려진 경우가 종종 있는데, 4만년대 시점에서 인류제국 신민들의 일반적인 공용어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그냥 로우 고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