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라이노
[image]
'''KIA RHINO'''
기아자동차에서 1988년부터 2004년까지[1] 생산했던 4~5톤급 중형 트럭. 원판인 히노 레인저(5세대) 직수입 시기까지 포함하면 2011년까지 있었다.
생산라인은 아시아자동차 때부터 광주공장에 있었다.
기존에 생산하던 복서의 후속으로, 일본의 상용차 메이커인 히노자동차의 레인저의 3세대 모델인 바람의 레인저[2] /레인저 +5/1UP 레인저 +5의 엔진과 섀시, 캡 디자인을 적용하고[3] 마쓰다 타이탄 2세대 모델의 캡을 다듬어서[4] 1988년에 출시했다. 차명은 코뿔소와 함께 해당 단어의 속어적 의미인 '떼돈을 벌다'도 함께 의미한다. 즉, "이 차로 돈 많이 버세요!"라는거. 본래는 복사의 후속이면서도 윗급으로 내놓아서 5톤만 나왔으나, 1992년 3월에 와이드 복사와 함께 개별화물 시장을 대상으로 한 라이노 4.5톤도 나오면서 복사를 완전히 대체하게 되었다.
엔진은 원판에 장착된 171마력 히노 H07C 엔진이 탑재되었고,[5] 1993년에는 마이너체인지를 거쳐 라디에이터 그릴의 색상이 무도색에서 검은색으로 변경되었고, 조수석 안전창이 추가되었다. 주차브레이크는 승용, 승합차와 같은 기계식 파킹 브레이크를 사용했다.
현대자동차가 기아자동차를 인수하기 직전인 1998년에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는데, 이쪽은 히노 레인저의 4세대 모델인 크루징 레인저/라이징 레인저/스페이스 레인저를 들여왔다. 엔진은 H07C(6.7L급)의 배기량을 약간 늘린 H07D(7.4L급) 엔진이 들어갔다. 참고로 설계 좌우반전이 아닌 진짜 크루징 레인저도 (수평와이퍼까지 그대로 적용한 채로) 소수 들여왔었다.[6] 이후 2000년에 전면 그릴을 세로줄 형식으로 교체하고 밀레니엄 기아 로고를 붙인 후기형이 출시되었고[7] 그만그만한 판매량을 보이다가, 2004년 9월에 개정 배기가스 규제 미충족, 현대 메가트럭과의 시장 중복등을 이유로 후속 없이 단종되면서 기아자동차는 중형트럭 사업을 접었다. 현재 4~5톤급 트럭은 현대와 타타대우에서 나오고 있다.
한편, 2006년에는 히노 레인저의 5세대 모델(레인저 프로)이 수출명인 500으로 직수입되기도 했지만 초반에만 반짝 팔렸을 뿐,[8] 판매는 저조했으며,[9] 이후에는 한국 시장에 맞게 프레임을 보강하기도 했지만 초반에 덧씌워진 과적에 약한 트럭이라는 인식 때문에 계속 고전하면서 2011년에 수입이 중단되었다.
삼성중공업이 기아 라이노 차체를 이용해 콘크리트 펌프카 MPC55BL16(3단유압 굴절식 16M 붐 장착.)을 생산한 적이 있다. 이외에도 타다노와 기술제휴해서 동일차체에 'SC8H'라는 소형크레인차량을 만든 적이 있다.
대한민국 소방청[10] 에 소방차량[11] 으로 공급된 차종이다.
'''KIA RHINO'''
1. 개요
기아자동차에서 1988년부터 2004년까지[1] 생산했던 4~5톤급 중형 트럭. 원판인 히노 레인저(5세대) 직수입 시기까지 포함하면 2011년까지 있었다.
생산라인은 아시아자동차 때부터 광주공장에 있었다.
2. 역사
2.1. 1세대 (1988~1998)
기존에 생산하던 복서의 후속으로, 일본의 상용차 메이커인 히노자동차의 레인저의 3세대 모델인 바람의 레인저[2] /레인저 +5/1UP 레인저 +5의 엔진과 섀시, 캡 디자인을 적용하고[3] 마쓰다 타이탄 2세대 모델의 캡을 다듬어서[4] 1988년에 출시했다. 차명은 코뿔소와 함께 해당 단어의 속어적 의미인 '떼돈을 벌다'도 함께 의미한다. 즉, "이 차로 돈 많이 버세요!"라는거. 본래는 복사의 후속이면서도 윗급으로 내놓아서 5톤만 나왔으나, 1992년 3월에 와이드 복사와 함께 개별화물 시장을 대상으로 한 라이노 4.5톤도 나오면서 복사를 완전히 대체하게 되었다.
엔진은 원판에 장착된 171마력 히노 H07C 엔진이 탑재되었고,[5] 1993년에는 마이너체인지를 거쳐 라디에이터 그릴의 색상이 무도색에서 검은색으로 변경되었고, 조수석 안전창이 추가되었다. 주차브레이크는 승용, 승합차와 같은 기계식 파킹 브레이크를 사용했다.
2.2. 2세대 (1998~2004)
현대자동차가 기아자동차를 인수하기 직전인 1998년에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는데, 이쪽은 히노 레인저의 4세대 모델인 크루징 레인저/라이징 레인저/스페이스 레인저를 들여왔다. 엔진은 H07C(6.7L급)의 배기량을 약간 늘린 H07D(7.4L급) 엔진이 들어갔다. 참고로 설계 좌우반전이 아닌 진짜 크루징 레인저도 (수평와이퍼까지 그대로 적용한 채로) 소수 들여왔었다.[6] 이후 2000년에 전면 그릴을 세로줄 형식으로 교체하고 밀레니엄 기아 로고를 붙인 후기형이 출시되었고[7] 그만그만한 판매량을 보이다가, 2004년 9월에 개정 배기가스 규제 미충족, 현대 메가트럭과의 시장 중복등을 이유로 후속 없이 단종되면서 기아자동차는 중형트럭 사업을 접었다. 현재 4~5톤급 트럭은 현대와 타타대우에서 나오고 있다.
3. 기타
한편, 2006년에는 히노 레인저의 5세대 모델(레인저 프로)이 수출명인 500으로 직수입되기도 했지만 초반에만 반짝 팔렸을 뿐,[8] 판매는 저조했으며,[9] 이후에는 한국 시장에 맞게 프레임을 보강하기도 했지만 초반에 덧씌워진 과적에 약한 트럭이라는 인식 때문에 계속 고전하면서 2011년에 수입이 중단되었다.
삼성중공업이 기아 라이노 차체를 이용해 콘크리트 펌프카 MPC55BL16(3단유압 굴절식 16M 붐 장착.)을 생산한 적이 있다. 이외에도 타다노와 기술제휴해서 동일차체에 'SC8H'라는 소형크레인차량을 만든 적이 있다.
대한민국 소방청[10] 에 소방차량[11] 으로 공급된 차종이다.
4. 둘러보기
[1] 1999년 6월 30일까지는 아시아자동차에서 위탁 생산했다.[2] 일본어로 '''風のレンジャー'''(카제노 렌자)[3] 히노자동차와 기술제휴 관련기사[4] 정확하게 타이탄의 캡으로 제작한 차량은 트레이드로, 라이노는 컴퓨터 설계로 캡을 확장시켰다(애초에 트레이드의 캡 디자인 자체가 당시 일본에서 생산한 다이나믹 타이탄과는 전혀 다르게 생겼다). 그리고 1세대 라이노의 캡의 뒷모습은 영락없는 히노 레인저의 캡의 뒷모습으로, 히노 레인저와 마쓰다 타이탄의 캡을 짬뽕한 것. 참고로 원판 카제노 레인저는 대형트럭인 히노 슈퍼돌핀과 캡 디자인이 같다(라이트랑 와이퍼 부분에선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서로 공유).[5] 해당 엔진은 같은 급의 버스인 코스모스에도 장착된 이력이 있다.[6] 이 레인저는 주로 건설기계로 등록한 크레인 차량으로 간간히 보인다. 참고로 일본에서 중고로 수입된 차량이고, 수출용 모델은 헤드라이트가 각형 4등식이다.[7] 2000년부터 1세대 라이노부터 써오던 기계식 파킹브레이크가 공압식으로 바뀌고 2001년부터 운전대 모양이 현대차와 같은 것으로 바뀌었다.[8] 초반에는 라이노에 만족했던 차주들이 히노 엔진의 명성을 믿고 히노 500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었다.[9] 판매 부진에 시달린 이유는 히노 레인저(500)는 정량적재를 상정해서 만들었는데, 국내 운송시장은 과적이 비일비재하다 보니 결국 그것을 버티지 못하고 프레임이 휘어지는 문제(?)가 생긴 것(그나마 4세대는 한국 현지 생산 때 과적에 양호하게끔 처음부터 프레임을 보강한 것이다.)이다. 그 외에 다른 수입 카고 트럭들이 국내 시장에서 고전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10] 당시 내무부 소방국, 행정자치부 소방국, 소방방재청[11] 삼일자동차, 남영자동차가 이 차체를 이용해 소방차량을 제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