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석 2Nd

 


'''사랑했지만
김광석 2Nd
'''
[image]
'''가수'''
김광석
'''레이블'''
문화레코드
'''녹음'''
서울스튜디오
'''발매일'''
1991년 2월 20일
'''장르'''
포크송
'''길이'''
41:06
'''곡 수'''
10곡
1. 개요
2. 타이틀곡 - 사랑했지만
2.1. 가사
2.2. 영상
2.3. 커버 & 리메이크
2.4. Tim Davis
2.5. 기타

[clearfix]

1. 개요


1991년 2월 20일에 발매된 김광석의 정규 2집 앨범으로, 총 10곡이 수록되어 있다. 김광석을 대중적인 위치로 올려놓은 기폭제가 된 앨범이다.
'''곡명'''
'''작사'''
'''작곡'''
'''러닝타임'''
사랑했지만
한동준
한동준
4:28

문대현
문대현
4:32
사랑이라는 이유로
김형석
김형석
3:47
마음의 이야기
김창기
김창기
4:20
너 하나뿐임을
김광석
김현석
4:19
슬픈 노래
이장수
김광석
4:32
그날들
김창기
김창기
5:32
추억(연주곡)
-
김광석
2:56
마음속의 풍경
조규만
조규만
4:12
다시 아침
박용준
박용준
3:44

2. 타이틀곡 - 사랑했지만


'''사랑했지만'''
'''작사'''
한동준
'''작곡'''
한동준
'''노래'''
김광석
'''장르'''
포크송
'''음반'''
김광석 2Nd
'''발매일'''
1991년 2월 20일
'''녹음'''
서울스튜디오
'''레이블'''
문화레코드
'''길이'''
4:28


한동준이 작곡, 작사한 김광석의 대표곡 중 하나로,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아직까지도 사랑받는 노래. 김경호 등 많은 가수들이 리메이크한 곡이기도 하다.
[clearfix]

2.1. 가사


'''사랑했지만'''
어제는 하루종일 비가 내렸어
자욱하게 내려앉은 먼지 사이로
귓가에 은은하게 울려 퍼지는
그대 음성 빗속으로 사라져 버려
때론 눈물도 흐르겠지 그리움으로
때론 가슴도 저리겠지 외로움으로
사랑했지만 그대를 사랑했지만
그저 이렇게 멀리서 바라볼 뿐 다가설 수 없어
지친 그대 곁에 머물고 싶지만 떠날 수 밖에
그대를 사랑했지만
때론 눈물도 흐르겠지 그리움으로
때론 가슴도 저리겠지 외로움으로
사랑했지만 그대를 사랑했지만
그저 이렇게 멀리서 바라볼 뿐 다가설 수 없어
지친 그대 곁에 머물고 싶지만 떠날 수 밖에
그대를 사랑했지만
그대를 사랑했지만

2.2. 영상



김광석 슈퍼콘서트 사랑했지만
이 노래에 관련된 이야기도 나온다.

김광석 인생이야기 사랑했지만

2.3. 커버 & 리메이크



2.3.1. 김경호





원곡의 최고음은 '''2옥타브 라(A4)'''지만, 김경호는 2키를 올려서, '''2옥타브 시(B4)'''가 최고음이다.

2.3.2. 김연우




2.3.3. 김범수




2.3.4. 몽니(김신의)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glM3MMhnsYU"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2.3.5. 김성규&권선영




2.3.6. 최승열(히든싱어 김광석 모창능력자)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WTt5C1PqQ2g"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2.3.7. 허각




2.3.8. 이현




2.3.9. 케이윌




2.3.10. 이승기



집사부일체에서 불렀다.

2.3.11. 장범준




2.3.12. 오만석




2.4. Tim Davis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JRAVCRV2i8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Tim Davis의 번안곡이다. 원곡의 나긋한 분위기와는 달리 팝의 느낌이 물씬 느껴지는 곡이다.

2.5. 기타


김광석은 이 노래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사랑에 대한 태도가 다분히 수동적으로 그려져 있었기 때문이라고... 나중에 어느 할머니가 이 노래를 통해 소녀의 감성을 다시 느끼게 되었다고 하는 것을 듣고 마음을 바꾸고 더 열심히 노래를 불러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김광석의 노래를 잘 들어보면 '사랑했지만~' 부분을 부를 때 '만'을 '므아아아안~'으로 뭉개서 부르는 걸 들을 수 있는데 이는 고음을 내기 위해 성대가 크게 떨려 고음을 내기 수월한 'ㅡ'발음으로 고음을 내기 위해서다.
여담이지만, 2집에 수록된 사랑했지만은 D키(라장조)인 반면에 그 이후 나온 다시부르기 앨범의 사랑했지만과 라이브 버젼은 대부분 두 키 낮춘 C키(다장조)로 불러져 있다. 원곡으로는 최고음 2옥라(A4)로 너무 높기 때문에 낮춰 부른 것으로 추정. 두 키 낮춰도 2옥솔(G4)이다. TJ노래방은 원곡 기준으로 D키로 되어 있다. 금영노래방은 2키 낮춘 C키. 김광석 본인이 고음이 그렇게 빼어난 편은 아니었기도 했거니와[1] 발라드 편곡으로 된 원곡과 달리 공연에서는 기타, 하모니카, 베이스 세션 정도가 전부여서 키를 높여 고음으로 부르면 오히려 너무 격정적으로 되어 버려 나긋한 맛이 안 살기도 했을 것이다.

[1] 락커를 비롯, 고음을 난사하는 가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것이다. 김광석의 음역도 꽤 높은 편이다. 애초에 김광석의 주된 장르인 포크송은 감성과 가사 전달력이 중요한 장르이지 다루는 음폭 자체는 좁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