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론

 




1. 개요


노론에서 갈라진 학파이다. 후에 시파로 확대/이어진다.

2. 상세


낙론의 생성 배경은 호락논쟁인데, 호락논쟁(湖洛論爭)이란 노론 내부서 발생한 논쟁이다. 심성론의 성선의 강조로 인해 생기는 모순을 둘러싼 논쟁으로, 인물성동이론쟁(人物性同異論爭)[1]이라고도 한다. 이는 유교적 주체인 "성인"과 보통 사람의 성이 같은지 다른지에 관한 논쟁으로 확장되었으며, 인간의 본성 중에서도 도덕심에 관한 논쟁으로 정치와 관련된 주요 의제였다.
노론 내부에서 인물성동론[2]을 주장한 이들을 낙론이라 했다. 호락논쟁은 성리학에 내재된 모순을 둘러싼 논쟁으로서, 양란인 임진왜란병자호란 이후 악화된 강상윤리 관련 문제가 기득권에게 포착되고 해결을 위한 정쟁/논쟁이였다. 그리고 인간의 본성의 정의의 따라 청나라 문물의 도입 문제로 연결되기도 하였다. 주로 경기 서울 지방 등 기호서인이 주였다.
탕평책에 반대하지 않으면서도 탕평파와는 입장을 같이 하지 않아서 호론보단 낙론이 우세를 보였으며 낙론은 시파로 발전해 세도정치때 시파 출신 김조순풍양 조씨 조만영로 이어졌다. 다만 붕당은 상황에 따라 변화했기에 시파=낙론이라는 식을 성립하지 않는다.
한편 호론 내에 갈등 때문에 권상하의 후손인 권진응이 낙론에 합류하였다. 또한 문묘종사 이후 송준길의 후손인 송명흠이나 송문흠이 낙론인 이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3. 주요 인물


  • 이재
  • 송명흠
  • 송문흠
  • 권진응

[1] 사람의 성과 사람 이외 존재의 성이 같고 다름의 골자.[2] 본성의 선함을 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