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생설화

 

1. 개요
1.1. 해석1
1.2. 해석2
2. 여담
3. 관련 인물

卵生說話

1. 개요


에서 태어난 영웅을 소재로 한 신화.
특히 한국 신화 하면 떠오르는 건국 신화의 영웅, 즉 고대 주요 왕조의 시조들이 대부분 알에서 태어났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예외는 고조선 단군 신화백제 온조왕이 있다.[1]

1.1. 해석1


이는 시조에게 특별한 탄생의 비밀의 주어 신비감을 높이기 위해서로 추정된다. 해석상 '알'은 순우리말로 '''해''', 즉 한자어로 '''태양'''을 상징하는 것으로, 난생설화는 어떤 식으로든 천손사상과 관계가 있다.
자신들의 시조가 하늘에서 온 신성한 존재인 것을 강조하기 때문에, 다른 동아시아의 건국 신화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신화소이다.

1.2. 해석2


일반적으로 '''양막'''은 출산 전에 알아서 파열되는데, 드물게 파열되지 않은 양막에 둘러 싸인채로 아기가 태어나는 경우가 있다.#1, #2 이것이 마치 알에서 나온 것처럼 보여서, 여기에서 난생설화가 유래했을거라 추측하는 사람들도 있다. #1 #2
설령 난생설화로 유명한 인물들이 실제 저렇게 태어난게 아니더라도, 활용되었을 여지는 충분히 있다. 출산 시 양막이 파열되지 않는 현상은 과거에도 분명 존재했을 것이다. 이 현상은 현대인의 시각으로 봐도 충분히 신기한 광경인데 과거인들 기준으론 이를 상서롭게 여기거나 기이한 탄생이라고 여기는 믿음이 있었다 해도 이상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인물의 상서로움이나 권위를 강조하기 위해 이를 활용하여 '알에서 태어났다(=양막에 둘러 싸여 태어났다)'는 말을 퍼뜨린게 아닌가 하는 것.

2. 여담


'''단공류'''와는 관계가 전혀 없다. 물론 인간이 단공류의 위의 해석2에서 양막의 기원이 알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무관하지는 않지만 난생설화는 과학적 근거에 바탕한 게 아닌 정치적 지도자의 권위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덕일은 난생설화가 회이족~동이족 등에 걸친 문화이며, 은나라의 시조도 난생설화를 사용했음을 강조한다. 하지만 여기서 너무 나아가, 은나라가 동이족의 나라라는 주장을 한다. # 이와 비슷하게, 전북대 김인화 연구원은 중국 남부 먀오(묘)족이 고구려 유민이라는 학설의 근거로 이들의 난생설화를 들었다. #

3. 관련 인물


  • 수로왕
  • 동명성왕
  • 혁거세 거서간
  • 서언왕
  • 탈해 이사금
  • 아이신기오로 부쿠리용숀[2]

[1] 단 온조는 여러 가지 전승이 삼국사기에서 전하고 있고 그 중 첫 번째이자 가장 유명한 주몽의 아들설을 따른다면 결국은 알에서 난 주몽의 아들이기에 백제도 결국 난생 설화와 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셈이다.[2] 청의 건국 신화에서는 성스러운 까치가 물어다준 열매를 선녀가 먹고나서 임신하게 되는데, 그렇게해서 태어난게 부쿠리용숀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