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프리카 방송공사

 


'''설립일'''
1936년 8월 1일
'''슬로건'''
Vuka Sizwe (Nation Arise)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방송 채널
2.1. TV
2.2. 라디오
3. 영상
4. 기타


1. 개요


South African Broadcasting Corporation
Suid-Afrikaanse Uitsaaikorporasie
1936년에 설립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방송사이다. 영문약칭 SABC, 아프리칸스어 약칭 SAUK.
남아프리카 공화국 뿐만 아니라 레소토, 나미비아, 보츠와나, 짐바브웨, 에스와티니, 모잠비크도 방송권역이다.
남아공이 이래봐도 경제력이 되는 나라이고 SABC 자체도 큰 규모의 방송사이니 자체제작 프로그램도 있지만 미국과 영국에서 수급하는 비중이 높다.

2. 방송 채널



2.1. TV


아래 채널은 1996년 개편 이후의 채널이다.
  • SABC 1: 토착어 위주이며, 일부 영어 방송
  • SABC 2: 영어, 소토어 벤다어, 아프리칸스어 방송
  • SABC 3: 영어, 아프리칸스어 방송

2.2. 라디오


  • SAfm: 개국 당시인 1936년부터 방송되기 시작한 라디오 채널
  • 5FM
  • Metro FM
  • Radio 2000
  • Good Hope FM: 영어와 아프리칸스어의 음악FM 채널.
  • Lotus FM: 인도인 대상 영어방송 채널.
  • tru fm: 영어, 코서어 방송 채널.
  • Channel Africa: 남아프리카 방송공사에서 운영중인 국제방송. 1966년 5월에 개국한 남아프리카의 소리(The Voice of South Africa)가 전신이며, 남아프리카의 소리 시절에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시행중인 정권을 선전하고, 아프리카 민족회의를 비하하는 방송을 했다. 1992년 10월 1일에 남아프리카의 소리를 대신해 Channel Africa를 개국했다.
  • RSG: 아프리칸스어 단파채널.
  • Ukhozi FM: 줄루어 채널
  • Umhlobo Wenene FM: 코서어 채널
  • Thobela FM: 북소토어 채널
  • Lesedi FM: 소토어 채널
  • Motsweding FM: 츠와니어 채널
  • Phalaphala FM: 벤다어 채널
  • Munghana Lonene FM: 총다어 채널
  • Ligwalagwala FM: 스와티어 채널
  • iKwekwezi FM: 남은데벨레어 채널
  • X-K FM

3. 영상



처음으로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한 1976년 영상. 1분 2초경부터 나오는 인물은 발타사르 포르스터 전 총리이다.

1977년 12월 7일의 뉴스, 방송 종료 전 목사의 설교가 나오는 프로그램(17초 29초, Bill Price 목사 진행, 기도로 마침)과 방송종료 영상.(이 영상의 원본) 뉴스 오프닝과 엔딩 속 장면은 센테크 타워가 있는 요하네스버그의 야경이다. 방송종료를 하면서 나오는 국기와 국가(Die Stem van Suid-Afrika)는 1994년까지 사용되었다.

1980년대의 방송시작영상. 테스트카드, 편성표, 시계 순이며, 영상내용상 오후 12시부터 방송이 시작되었다.

1987년 아프리칸스어 뉴스

1976~2018년 SABC 뉴스 오프닝. 첫 장면(영상 시작부터 13초까지의 장면)은 1977년 뉴스의 엔딩.

4. 기타


  • 1975년에 텔레비전 시험방송을 시작한 후, 1976년에 텔레비전 방송을 처음 시작했는데 이것이 남아공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이라고 한다.[1] 이것은 다른 아프리카 국가보다도 늦었는데 이것은 당시 지배층 민족이던 보어인들의 금욕주의 성향 탓이 컸다. 특히 헨드릭 페르부르트는 TV를 아프리칸스 민족의 정체성을 파괴하는 악마의 산물로 간주하고 완전 금지하려고까지 했다. 그러나 페르부르트가 죽고 나서 집권한 포르스터는 TV에 관대하여 본격적으로 TV방송 개시를 추진했다.
[image]
1976년 방송당시의 채널은 4개 채널이었는데,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의한 인종과 민족을 구분한 채널로 아래와 같이 나뉘었다. 위 화면이 이에 따른 4개 채널 편성을 유지하던 1985년 당시의 언어별 뉴스 오프닝 중 3가지 언어(영어, 아프리칸스어, 코사어) 뉴스의 오프닝으로, 이러한 편성은 아파르트헤이트가 무너지고 나서도 1995년까지 이어졌다.
  • TV1: 보어인 등 유럽계(백인) 대상 채널(영어, 아프리칸스어)
  • TV2: 줄루어, 코사어 채널
  • TV3: 소토어, 츠와나어 채널
  • TV4: 도시 내 아프리카계(흑인) 대상 채널
  • 1986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방송권역으로 하는 방송사인 M-net이 개국할때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TV 방송을 독점하던 방송사였다.
  • 영어와 아프리칸스어 외에도 줄루어, 코사어 등 아프리카 토착언어도 나오기 때문에 토착어 뉴스의 제목명이 동아시아의 중국어의 신문(新聞), 한국어와 일본어의 보도(報道)에 해당되는 단어가 뉴스프로그램의 제목으로 사용된다.
    • 영어: 우리가 아는 그대로 News라는 명칭이 사용된다.
    • 아프리칸스어: Nuus
    • 줄루어: Izindaba
    • 코사어: Iindaba
    • 소토어: Ditaba
    • 츠와나어: Dikgang
    • 총가어: Mahungu
    • 벤다어: Mafhungo
  •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시절에는 인종차별주의적인 방송국, 국민당의 나팔수라는 악평이 많았다. 이후로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넬슨 만델라 정권 시절에는 남아공의 민주화가 이루워지면서 보도의 공정성이 올라가는 등의 변화가 있었지만 이후로는 무능하고 부패한 아프리카 국민회의 의원들의 눈치를 보는 딸랑이라며 까이는 경우가 많다.

[1] 1970년대 시기의 텔레비전 방송은 흑백방송에서 컬러 방송으로 바뀌고 있는 시기였으며, 남아공은 처음부터 컬러방송을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