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메일
[clearfix]
1. 개요
다음의 무료 웹메일 서비스. 2011년 5월부터는 '''다음 메일'''이란 이름으로 운영 중이다. 기존 도메인은 @hanmail.net이며 2001년 @daum.net이 추가되었다.
2. 역사
1997년 5월 국내 최초로 웹메일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경쟁자가 없었기 때문에 과거에는 "쩜넷"하면 한메일로 통했으며 2000년대 초반에는 점유율이 70%에 육박했다.[1] 한 예로 2001년에 나온 두사부일체라는 영화를 보면 한메일과 관련된 유쾌한 에피소드가 나온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다음에서 온라인 우표제라는 메일을 유료로 전환하는 악수를 둔다. 이는 결과적으로 최악의 선택이 되었고,[2] 한메일 점유율이 상당히 줄어듦과 동시에 다음의 점유율마저 하락하게 되는 연쇄반응으로 이어졌다. 결과도 결과지만 의도한 바와 달리 온라인 우표제 실시 이후에도 스팸은 여전히 끈질기게 수신됐다. 그 여파로 사이트 가입 시 @hanmail.net을 못쓰게 하는 경우가 많아져 다음 측에선 '''@hanmail2.net'''을 제공한다. 현재는 폐지된 지 오래된 정책이지만, 아직까지도 한메일 주소를 못 적게 하는 사이트들이 더러 있다.
2010년 5월 과감한 개편을 단행했는데 메일 용량이 10 GB로 변경되었다. 그와 더불어 한메일에 접속해 있는 동안 메일 용량이 조금씩 증가하도록 변경되었다.
2012년 5월 16일부터 일반파일첨부 25MB까지 가능하다.
2016년 10월 5일부터 다음 메일에 들어가면 바로 로그인 창이 뜨지 않고, 인트로 화면 같은 것이 나온다.
3. 여담
마이크로소프트의 핫메일과 혼동 주의. 자음동화 때문에 둘 다 한메일로 발음되기 때문. 핫메일이 아웃룩으로, 한메일이 다음 메일로 바뀌면서 문제가 해결되었다.
과거, 서비스를 중지한 야후! 코리아와 비슷하게 메일 서비스 화면이 둔중하기로 유명했다. 2010년대 이후 UI 트렌드가 바뀌면서 디자인이 개편되었지만, 여전히 10% 부족한 느낌. 한국 포탈 서비스들이 제공하는 이메일 서비스 UX의 문제점은, 그걸 만든 사람들의 상상 수준이 오프라인/온라인 아웃룩과 구글을 사용하던 이용자의 기대치를 못 따라간다는 데 있다. 그래서 서비스가 개편돼도 뚜렷하게 인상을 주지 못하고 아낄 필요가 없어 보이는 기능도 넣지 않는다. 카페니 블로그니 해도, 이메일이야말로 SNS와 함께 포탈의 핵심 서비스일 텐데….
가입자에 따라서 계정 1개에 최대 5개의 메일 주소를 가질 수 있다.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상단의 @hanmail.net, @hanmail2.net, @daum.net에 티스토리 사용자는 @tistory.com를 가질 수 있으며, 기존 파란 사용자 중 한메일로 메일 계정 이관을 한 경우 @paran.com도 가질 수 있다. paran 사용자 중 이전에 @hanmir.com 주소를 통합했던 사람은 혼용이 가능했으나 어느 시점부터 사용이 안 되는 현재 시점 2018년 10월-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스팸 메일이 삭제 없이 스팸메일함으로 걸러진다. 더 큰 문제는 발송 이메일 주소가 co.kr 등이 아닌 일회용 이메일 계정 즉, 알파벳, 숫자를 아예 막 적어놨다는 점.(예를 들어, d87254s@f9w89.q5f8w, 29f9352@c9659s.r84r5 등등...) 이 때문에 수신차단을 해놔도 해당 메일이 스팸메일로 걸러질 수밖에 없다. 현재는 스팸메일 차단 서비스가 제대로 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최소 3년 전부터 걸러가면 이메일이 해킹당한 것도 아닌데 스팸메일이 일반 메일함으로 수 십 개에서 수 백개나 쌓이는 사례가 많았다. 과도한 스팸 메일과 특정 사이트에서 이메일을 다음 메일로 설정하지 말라는 경고가 있어서 컴퓨터를 아는 젊은 층들은 거의 네이버 메일이나 지메일로 갈아타고 컴퓨터를 잘 모르는 중장~ 노년층부터 갈수록 메일을 제대로 청소하지 않고 방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일부 제한되는 확장자의 파일을 첨부한 정상적인 메일조차 삭제시켜 확인조차 안 되는 네이버보다는 나은 편이다.
다음 메일 스킨이 2017년에 들어서 다음카카오 병합에 따라 카카오 캐릭터들도 메일 스킨에 들어오게 되었다. 종류는 어피치, 라이언, 무지가 있다.
4. 스마트워크
2011년 5월에 오픈한 서비스로 개인이 보유한 도메인(pe.kr, co.kr, com, org 등등)을 연결하여 메일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내가 namu.wiki 도메인을 소유하고 있다면 id@namu.wiki 식의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가입비용은 무료이고 최대 500명까지 초대할 수 있다.[3]
비슷한 서비스로는 네이버 계열사에서 제공하는 웍스모바일이나 Google의 GSuite(지스위트, 구] Google Apps)이 있는데, 이 서비스들은 메일 외에도 클라우드, 웹오피스, 캘린더 등을 제공하는 것에 비해 스마트워크는 오로지 '이메일'과 '공용 주소록' 기능만 제공한다.[4][5]
장점이라면 다음 메일과 동일한 인터페이스와 기능이라 친숙하다는 점, 그리고 경쟁 서비스(웍스모바일, GSuite의 전신인 구글 앱스)가 모두 유료화된데 반해 아직도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경쟁 서비스들은 기존 메일 서비스와는 별도의 주소로 접속해 기존의 서비스(네이버 메일, 지메일 등)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데 반해, 스마트워크는 다음 아이디와 연동되어 다음 메일 한켠에 스마트웍스용 편지함을 제공하는 정도의 매우 원시적인 서비스라는 점[6] 과 기존 사용 중인 다음 메일의 용량을 공유한다는 점은 단점으로 꼽힌다.[7]
다만 경쟁 서비스들이 죄다 유료화된 마당에 형편이 넉넉지 않거나, 이런데 까지 돈 쓰는 게 싫은 사람 입장에선 감지덕지.
[1] 대표 이메일 한메일 '아, 옛날이여'[2] 2000년대 최악의 경영 실책 중 하나로 꼽으며 포털 업계만 놓고 보면 최악의 실책 부동의 넘버원으로 꼽힌다. 시류를 잘못 읽은 이 한 번의 판단 덕에 다음은 네이버와 격차를 줄일 수 없을 정도로 완벽하게 패배한다. 네이버 성장세의 1등 공신이 지식인 서비스라고 하나 그 배경에는 이 온라인 우표제가 있었다.[3] 물론 500명을 넘어가도 고객센터에 요청하면 더 초대할 수도 있다. 물론 이 때도 비용은 무료[4] 과거 다음 캘린더가 종료되기 전에는 캘린더도 제공[5] 다만 '공용 주소록'기능은 Microsoft Active Sync를 이용해 제공되므로 안드로이드 폰 등에서 메일 계정과 동시에 연동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별도로 주소록 계정을 추가해야 한다.[6] 그래도 맞춤 로고 기능은 지원한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다음 메일의 다음 로고 부분에 사이트 로고를 삽입할 수 있다. 하지만 2016년 다음 메일 개편 이후에는 구버전 다음 메일 모드에서만 표시된다. 새 버전 다음 메일에서는 맞춤 로고가 표시되지 않는 다.[7] 스마트워크 계정에는 다음 메일의 기본 10G에 추가로 10G를 더 얹어서 20G를 주기는 하지만, 어쨌든 2개의 메일 주소(id@daum.net + id@내 도메인)를 20G로 공유한다는 점은 상황에 따라서 단점이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