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

 


1. 설명
2. 역할과 위상
3. 알아두면 좋은 내용
3.1. 용어 설명
4. 웹메일
4.1. 각종 서비스 및 기능
4.2. 태그 붙이기
5. ID
5.1. 업무용 이메일의 ID
5.2. 개인용 이메일 주소
6. 주요 이메일 서비스 제공자들
6.1. 전 세계
6.2. 한국
6.3. 일본
6.4. 북미/유럽
6.5. 프라이버시 중시형 대안 이메일 서비스 제공자들
6.6. 기타 나무위키에 항목이 있는 서비스 제공자들
6.7. 서비스를 종료한 사업자
7. 주요 이메일 클라이언트 응용프로그램
8. 주요 이메일 서버 응용프로그램
9. 이메일 송수신 프로토콜
9.1. 이메일 송수신
9.2. 포맷 프로토콜
10. 서비스 제공 업체 변경
11. 이메일 마케팅
12. 기타
13. 관련 문서


1. 설명


E-MAIL[1]
네트워크, 그 중에서도 주로 인터넷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규약. 1970년대 초반에 발명되었다. 'Email'이라는 표현은 90년대에나 통용되기 시작했고, 전자 우편(electronic mail)이라는 용어는 팩스같이 전자기기를 통한 문서의 교환 방법에 구분 없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메일의 발명 시점을 정확히 집어서 말하긴 힘들다. 1969년 ARPANET이 만들어지면서 메시지들을 전송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1971년에는 골뱅이(@) 문자를 사용하는 메일이 처음으로 보내졌고, 메일 규격을 표준화하려는 시도가 1973년 RFC 561 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현재 사용되는 것과 같은 메일 전송 규약인 SMTP의 첫 표준 RFC 821이 등장한 것은 1982년.
간혹 인도계 미국 소년 시바 아야두라이(V.A. Shiva Ayyadurai)가 1978년에 이메일을 최초로 발명했다고 하는 기사를 찾을 수 있으나#, 이는 당사자의 일방적인 주장으로, 이것을 보도했던 워싱턴포스트에서도 정정보도를 낸 바 있다. 이메일의 최초 사용자라고 일반적으로 인정받는 사람은 ARPANET의 작업에 참여했던 레이 톰린슨이다. 인터넷은 원래 웹 서핑 하려고 만들어졌던 게 아니라, 문자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만들어진 네트워크였다. 즉 이메일은 인터넷의 탄생 목적과 연관이 있다. 메일주소 중간에 @를 사용해서 사용자 계정 이름과 이메일 서버 이름을 구분하는 방식 역시 1971년에 인터넷의 전신인 ARPANET 시절 처음 등장했을 정도로 그 역사가 깊다.[2]
국내에선 인터넷이 대중화되기 이전, 그러니까 PC통신 시절에도 '전자메일'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게 있었지만 이 시절에는 서비스 제공자끼리 협조가 안 돼서 같은 서비스 가입자끼리만 주고받을 수 있었다는 점이 좀 다르다. (예: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다가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천리안 namu0821이나 하이텔 namuking으로 메일 보내주세요.) 시간이 지나면서 인터넷이 대중화되자 이들 PC통신 서비스도 인터넷 이메일의 편지함을 자사의 전자메일과 연동시키는 방법으로 인터넷에서도 이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했다.
MS에서는 이메일을 이메일이라 부르지 않고 전자메일이라는 이름으로 부르지만 이는 PC통신 시절과는 달리, MS의 로컬라이징 정책상 e-mail을 풀어 쓴 Electronic Mail을 해석한 것. 메일은 왜 번역하지 않았냐면, 우체국을 통한 편지 전달체계와 직감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 그렇다.

2. 역할과 위상


기업 대 개인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에서 이메일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며, 개인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이메일은 일반 사용자들에게서는 인스턴트 메신저SNS등 기타 다른 채널에 의해 많이 그 위상을 빼앗겼지만, 업무상 메시지 교환에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메신저는 휘발성이라 자료남기기 어렵고, SNS는 보안성이 낮다). 그 덕분에 대부분의 경우 중-고-대학생 시절에는 이메일을 거의 '받기만'하지만, 직장인들은 하루에도 많게는 수십, 수백통의 이메일을 보내고 받고 해야 한다. 회사생활 처음 하는 사회초년생들이 가장 애먹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메일 쓰는 요령일 정도. (특히 참조(CC)기능[3]과 전체회신(reply all) 기능을 잘 몰라서 실수하는 경우가 많으니 모르면 지금이라도 한번 찾아보자.) 카카오톡 같은 소위 국민 메신저라고 해도 일개 기업이 운영하는 영리 서비스인지라 이걸 모든 사람들에게 사용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는 일이지만 이메일은 아무리 낡은 기술이라고 해도 기술 자체의 배타적인 소유권이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인터넷의 기반이 되는 표준 기술이니만치 기술 자체도 상대적으로 특정 정부나 기업의 영향력에서 중립적이라고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기초적인 커뮤니케이션 자리에서 내려올 수가 없는 것이다.[4]
법인(기업/회사)간 주고받는 메일은 사소한 것이라도 공문에 맞먹는 효력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대개 서로 국가에 활동하는 단체간의 계약에서는 이메일이 상대방 메일함에 들어가 있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으면 상대방이 "계약을 인지"한 것으로 판단하기도 한다. 따라서 메일을 읽지 않았다고 계약이 무효화 되는 것은 아니니 직장인이라면 메일함을 정리하는 걸 자기 업무용 책상 정리하듯이 "깔끔히 정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기도 하다.
일본에서는 갈라파고스화의 사례로 거론된다. '''2011년'''까지 휴대 전화문자메시지 규격 통일이 되어 있지 않아서 이메일이 대체재로 보급되었는데, 독자 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다 '''이 휴대전화 이메일로만 인증을 하는 서비스도 있어서'''(mixi가 대표적) 외국에서 엄청나게 까이고 있다. 한국의 휴대전화 본인인증만큼 이용이 불편한 인증 시스템이다.
종이 우편으로 우편함이 넘치던 상황을 종결시킨 장본인. 종이값, 배달 비용을 비롯해서 수많은 비용을 줄인 획기적인 발명품이다.
일단 카드 명세서부터 시작해서, 기업이 고객에게 전하는 각종 연락에 우편이 아닌 이메일이나 문자메세지를 이용하기 시작한 것 등을 생각하면 당연하다.
다만 아직까지도 공공영역에서는 대외적인 소통에는 팩스가 주로 쓰인다. 이메일에 비해 팩스는 송수신 자체가 법적 효력이 있기 때문.

3. 알아두면 좋은 내용


  • 이메일주소는 업무용과 개인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본 문서의 5번에 있는 ID를 참고할 것.
  • 다수의 받는 사람에게 보낼 때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전체 이메일주소가 나타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냥 받는 사람에 추가하여 보내면 이메일을 받은 사람들 각자의 이메일이 서로서로에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받는 사람은 보내는 사람과 같은 이메일로 하고, 이메일을 받을 실제 사람들의 이메일주소는 숨은참조(Bcc)에 넣어야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다만 받는 사람이 누구인지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거나 '이 사람들에게도 보냈습니다.'라는 것을 인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숨은참조'가 아니라 '참조(cc)'에 넣어야 한다.
  • 숨은참조(Bcc)는 보내는 사람이 받는 사람, 참조인 모르게 숨은 참조인에게 보내는 기능이다. 수신인과 같은 내용의 이메일을 업무상 관련이 있는 참조인에게도 보내는 것으로 업무 성격을 잘 검토하여 지정해야 한다.
  • 제목은 집약적으로 작성하되 내용과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 내용은 간단 명료하게 작성하며 빨간색, 밑줄, 진한 글자, 이모티콘의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
  • 전자서명은 미리 지정해두고 자동입력하면 편하다.
  • 특정한 서비스에서만 제공되는 고유의 기능은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 용량이 큰 파일을 전송 할때는 상대방 편지함 용량의 사정을 고려하여 되도록 '직접 첨부'하지 말고 클라우드 저장소 서비스를 사용한다.[5]


3.1. 용어 설명


  • from: 발신자
  • to: 수신자
  • cc (Carbon Copy) : 참조. 참조자는 답변 의무 없음[6]
  • bcc (Blind Carbon Copy) : 숨은 참조. 수신자에게 참조자가 알려지지 않음.

4. 웹메일


원래 인터넷에서 이메일이란 메일서버의 계정을 얻고, 자신의 PC나 터미널에서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아웃룩 등) 메일서버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다 월드 와이드 웹의 발전에 따라, 웹사이트에서 직접 계정을 발급하고 웹페이지로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이 나타났는데 이것이 웹메일이다. 웹메일 덕분에 서버 유지 및 관리를 어려워했던 많은 보통사람들도 이메일을 쉽게 쓸 수 있게 되었다. 국내에는 다음이 한메일을 도입하면서 웹메일 열풍이 불었다. 웬만한 포털사이트에서는 모두 웹메일을 제공하고 있으며, 예전에는 간혹 있었던 웹메일 전문 서비스 업체는 현재는 거의 사라진 상태다.
포털서비스 업체 입장에서 웹메일은 포털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미끼상품일 뿐, 그 자체는 그다지 돈이 되는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에 인색한 편이다.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전에는 대부분의 포털사이트들의 웹메일이 POP나 IMAP등 메일을 가져오는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았고, 지금도 외부로 메일을 자동으로 전달하는 기능은 찾아보기 힘들다. 저장공간도 인색했는데, 네이버메일이 고작 1GB인 시절도 있었고 다음메일이 100MB 용량인 시절도 있었다.
그 외에 오르지오가 웹메일 수신확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역시 돌풍을 일으켰지만, 현재는 망했다.[7] 구글은 7GB이상의 대용량을 제공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고 IMAP도 기본 제공하는 등 선진적인 서비스를 제공했다. 구글의 지메일 이후로 웹메일도 경쟁이 붙어서 지금은 꽤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4.1. 각종 서비스 및 기능


요즘 웹메일들의 다양한 기능들은 아래와 같다.
  • 수신확인 - 메일을 보낸 후 상대방이 읽었는지 확인 가능 (모든 국내 웹메일)
  • 발송취소 - 동일한 서비스업체의 메일로 보냈을 경우, 발송후 상대방이 확인전에 취소 가능 (네이버, 다음 등)
  • 일반 첨부파일 - 메일에 파일첨부 (다음 25M, 네이버 등 10M)
  • 대용량 첨부파일 - 일반 첨부파일 크기 이상 파일을 30(14)일간 링크 방식으로 제공 (다음 4G, 네이버 등 2G)
  • 무한용량 - 메일을 편지함에 지우지 않고도 무한히 받을 수 있음 (야후 등)
  • 도메인 서비스 - 별도의 메일서버 없이 자사·자신의 도메인을 웹메일에 적용시켜서 고유한 이메일 주소를 만들 수 있다.[8]
  • 예약발송 - 예약한 시간이 되어야 이메일이 발송되도록 한다.
  • 독특한 메일 분류 시스템 - 임시 보관함, 스팸, 중요 표시, 별표 표시, 발신자 그룹화 등등. 요즘은 아예 분류 자체를 자동으로 해주기도 한다. 다만 사생활 침해 논란이 있다.
  • POP(Post Office Protocol) 서버제공 - 웹메일로 받은 메일을 본인의 메일 클라이언트로 가져올 수 있음 (네이버, 다음 등)
  •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서버제공 - 본인의 메일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웹메일 서버를 거쳐 메일을 보낼 수 있음 (네이버, 다음 등)
  • 타 메일 가져오기 - POP서버를 제공하는 타 웹메일의 메일을 자기 웹메일로 가져올 수 있음 (거의 모든 웹메일 서비스)
  • IMAP(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서버제공 - 본인의 메일 클라이언트와 웹메일 편지함을 동기화시켜 사용 가능. 스마트폰에서 유리 (네이버, 다음, 구글 등)
하지만 위의 특별한 기능들은 대부분 그 웹메일 서비스 내에서만 호환되며, 다른 클라이언트에선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특정 웹메일을 위해 만들어진 클라이언트로 다른 웹메일을 연결해 쓰는 경우에도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4.2. 태그 붙이기


몇몇 이메일 서비스 제공자들은 아이디 뒤에 태그를 붙이는 걸 허용한다. 주로 +(더하기)가 쓰이는데 예를 들어 수신 주소 "hong.gildong+tag@example.com"로 이메일이 보내지더라도 "hong.gildong@example.com"로 받아볼 수 있다.
이를 잘 이용하면, 필터링으로 이메일을 정리할 수 있으며 아예 일회용 이메일 주소를 만들 수 있다. 뿐만이 아니라 로그인 아이디가 이메일 주소인 웹사이트에서 아이디를 여러개 만들 수 있다. 태그를 붙이면 이메일 주소가 중복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다만 모든 사이트가 태그를 지원하는 건 아니므로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지원하지 않을 경우 에러 메시지나 주의문이 뜨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가입시 확인차 보내는 이메일을 잘못 수신받는 경우가 있다.
태그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은 다음과 같다
  • 구글 지메일
  • Microsoft Outlook#s-4
  • 애플 아이클라우드
  • 야후! 메일[9]
  • 프로톤메일

5. ID



5.1. 업무용 이메일의 ID


이메일 ID는 여러가지 유형이 있으나 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GDHong, GilDongHONG같이 이름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니면 박대기 기자의 Waiting처럼 이름을 직역한 형태 혹은 유명한 별명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뜬금없이 숫자로만 아이디를 구성한다거나 영어, 일본어등의 외국어등으로 구성하게 되면 상대방기업측에서 신뢰를 못받을 확률이 높다. 거래처 담당자 아이디가 뜬금없이 KILLER, FateZZANG이면 상대방이 당황스럽지 않겠는가? 업무용 메일은 무조건 본명으로 하고, 회사 도메인을 사용하는 게 사실상의 업계 표준. 대신 개인용 메일은 별명 등을 맘껏 사용해도 좋다.
이는 사실 당연한 게, @의 원래 뜻은 at 이므로 gildong.hong@google.com 은 google.com의 gildong.hong 사용자에게 보내라는 뜻이 된다. 편지를 부칠 때도 To: Gildong Hong, Google Inc. 1600 Amphitheatre Parkway, Mountain View, CA 94043 하는 것처럼 이메일도 당연히 google company(com)의 gildong.hong 으로 보내라고 해야 정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자면
편지: 받는 사람: 문재인, 청와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
이메일: To: jaein.moon@president.go.kr → 한국 공공기관(go.kr)의 청와대(president) 의 jaein.moon(문재인)
와 같이 해석되는 것이다.
그런데 업무 메일을 네이버 개인 메일로 보낸다고 생각해 보자.
To: namuzzang1234@naver.com → 회사(com)인 naver의 namuzzang1234(???)
상대방 기업측에서 기본이 되지 않은 회사라고 생각할 확률이 매우 높다.
이메일 자동 수집을 막기 위해 @ 대신 (at)를 넣는 경우도 있다. 메일 주소가 admin@namu.com이라면 admin at namu.com 식으로 표현하는 것.
이메일 주소에 대한 표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정규표현식
요약하자면
1 : 업무용 메일주소의 도메인은 회사이름이 가장 좋지만, 어쩔 수 없이 웹메일을 사용한다면 ID를 제대로 지을 것
2 : ID는 본명 혹은 본명을 줄인 것 (예 : 홍길동(honggildong)→gdhong@도메인)으로 하자.

5.2. 개인용 이메일 주소


상대방에게 불쾌함만 주지 않는다면 ID는 마음대로 지어도 된다. 물론 도메인은 상관 없다.
하지만 개인정보 유출방지를 위해 본명 혹은 본명의 이니셜(예: 홍길동 - hgd@도메인)인 메일주소는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용으로 쓰지않는 것이 좋다.
또한 용도별로 2-3개로 나누는 것을 추천.
예를들어
인터넷 커뮤니티 이외의 용도[10] : gdhong@namu.com
아니메 커뮤니티 : anime@namu.com
게임 커뮤니티 : game@namu.com
이런 식으로 용도를 나누면 이메일 주소 공개로 인한 피해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6. 주요 이메일 서비스 제공자들


아래는 이메일서비스 제공자들 리스트이다. 몇몇 사이트는 영어로 표시되므로 이용에 유의 할 것.
2008년 이전에는 일부 공공기관이나 지자체가 시민을 위해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였으나 이명박 정부의 공공기관 상용이메일 서비스 차단 정책 및 행정안전부 권고 이후 대다수 지자체가 서비스를 중단하였다.

6.1. 전 세계


  • 구글 Gmail : http://gmail.com/ : 용량은 구글 개인화 서비스(예, 구글 드라이브)에 통합되어 총 15GB를 제공하며 메일주소는 계정@gmail.com으로 제공한다.
  • Microsoft Outlook[11] - http://www.outlook.com : 메일주소는 계정@outlook.kr / 계정@outlook.com / 계정@hotmail.com으로 제공한다. 과거 서비스명은 핫메일 / 윈도우라이브 핫메일이였다.
  • 애플 iCloud Mail - https://www.icloud.com : 저장공간은 기본 5GB이며 메일주소는 계정@icloud.com / 계정@mac.com / @me.com으로 제공하며 iTools/.Mac부터 사용했다면 @mac.com/@me.com/icloud.com 전부 사용가능하며 MobileMe부터 사용했다면 @me.com/@icloud.com, iCloud이후 가입자는 @icloud.com만 사용가능하다. iCloud 구독으로 최대 2TB까지 이용할 수 있다. 단, 최초 가입은 macOS 또는 iOS 환경에서 메일 기본 내장 앱을 이용해야 한다. 서비스명은 iTools → .Mac → MobileMe 순으로 변경되었다.

6.2. 한국


  • 네이버 메일 - http://mail.naver.com/ : 저장공간은 기본 5GB이며 메일주소는 계정@naver.com으로 제공한다. 네이버 MYBOX 용량 보내기로 총 30GB까지 가능하다.[12]
  • 다음 메일 - http://mail.daum.net : 저장공간은 기본 10GB이며 메일주소는 기본적으로 계정@hanmail.net / 계정@daum.net으로 제공한다. 저장공간은 사용일에 따라 늘어난다.[13]
  • 네이트 메일 - http://mail.nate.com/ : 저장공간은 30GB를 제공하며 메일주소는 계정@nate.com으로 제공한다.
  • 카카오 메일 - http://mail.kakao.com/ : 저장공간은 15GB를 제공하며 메일주소는 계정@kakao.com으로 제공한다. 아직은 베타 서비스이다.
  • 서울시청 전자우편 - https://citizen.seoul.kr: 저장공간은 1GB를 제공하며 메일주소는 계정@citizen.seoul.kr로 제공된다. 현재 지자체 중에서는 사실상 유일하게 자체솔루션으로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것으로 추정되며 2020년 10월 30일부로 부산시청 이메일도 서비스종료되면서 이메일서비스도 지자체 중에서는 사실상 유일하게 제공하는것으로 보인다.
  • 나라사랑포털 메일 - https://wm.narasarang.or.kr : 나라사랑카드를 발급시 자동으로 발급이 되는 이메일서비스로 저장공간은 ~20MB를 제공하며 메일주소는 계정@narasarang.or.kr로 제공된다.
  • 천리안 메일 - http://newwebmail.chol.com/ :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유료결제를 해야한다.
  • 코리아닷컴 메일 - http://mail.korea.com/ :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유료결제를 해야한다.

6.3. 일본


  • 야후! 재팬 메일 - https://mail.yahoo.co.jp : 저장공간 10GB 제공하며 메일주소는 계정@yahoo.co.jp로 제공된다. UI가 2000년 초중반 포털사이트에서 제공된 메일서비스와 비슷하며 스팸메일도 제대로 필터링을 못하고있다. 그래서 조금씩 유저 이탈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긴하다. 하지만 익사이트재팬이 2018년에 메일서비스를 종료한 이후로는 다국적 포털사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일본포털사이트중에서는 유일하게 가입만 하면 무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계속쓰는 사람도 있다.
2021년 1월 현재 휴대전화 본인인증 후 가입이 가능하도록 "본인인증과 회원가입을 일원화"하였다. 따라서 일본휴대전화번호를 갖고있지 않으면 가입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인인증과 회원가입 일원화 이전에 가입을 하였다면 계속 야후! 재팬 메일을 사용할 수 있다.

6.4. 북미/유럽



6.5. 프라이버시 중시형 대안 이메일 서비스 제공자들


정부와 기업으로부터의 사생활 침해를 경계하여 강력한 암호화 수단 등을 지원한다. 용량은 대기업의 서비스보다 적지만 일반적인 사용엔 무리가 없는 수준이다. 프리즘 폭로 사건 이후에 많은 서비스가 생겼지만 그전부터 운영된 서비스도 있다.
이 기사들을 참고하도록 하자.
링크1
링크2
링크3
모두 해외 이메일이라 영어 사용이 힘든 사람은 이용이 불편하다.

6.6. 기타 나무위키에 항목이 있는 서비스 제공자들



6.7. 서비스를 종료한 사업자



7. 주요 이메일 클라이언트 응용프로그램



8. 주요 이메일 서버 응용프로그램


  • Dovecot
  • Microsoft Exchange
  • OpenSMTPD
  • Postfix
  • qmail
  • Sendmail
  • hMailServer

9. 이메일 송수신 프로토콜


이메일 송수신에 쓰이는 주요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전송 프로토콜
  • 수신 프로토콜
    • POP (대개 POP3를 말한다)
    • IMAP
  • 포맷 프로토콜
    • MIME
    • S/MIME
    • 8bit MIME
이메일 프로토콜은 크게 나누어 데이터 포맷과 메시지 프로토콜로 나눌 수 있다. 메시지 프로토콜은 이메일의 송신자, 수신자, 내용 등을 명시하는 것이고, 데이터 포맷은 첨부파일 등을 어떻게 전송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것이다.

9.1. 이메일 송수신


이메일은 네트워크 기반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로 실세계의 우편 시스템을 모방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메일서버에 접속하지 않으면 메일서버에 수신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이메일 시스템은 사용자가 받는 사람의 메일서버까지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송신 프로토콜과 사용자가 메일서버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가져가기 위한 수신 프로토콜이 완전히 별개로 분리되어 있다. 이메일 클라이언트를 설정할 때 보내는 메일 서버(보통 SMTP) 주소와 받는 메일 서버(POP 또는 IMAP) 주소를 따로 등록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더불어 한국의 많은 이메일 서비스에서는 메일을 보낸 후에 상대가 읽었는지 안읽었는지를 알려주는 수신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해외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수신확인 기능 자체가 없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 한 가지 사실부터 이야기하면 '''현재 이메일 시스템에는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수신확인 방법 자체가 없다.'''
원래 이메일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에서 이러한 수신확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개념은 잡혀 있었다. 또한 ESMTP와 같은 일부 프로토콜에서는 수신확인 요청을 보낼 수 있도록 관련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 작동중인 거의 모든 메일서버는 이러한 수신확인 기능 자체를 꺼놓거나, 확인 요청이 들어와도 그냥 무시해버리거나, 기능 자체를 아예 미구현 상태로 내버려두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일부 정석적인 방식을 채택하여 수신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곳도 있지만 대부분 메일 안에 사용자는 인식하지 못하는 1픽셀짜리 이미지, 통칭 웹버그를 하나 삽입하여 상대가 이 이미지를 읽으면 수신한 것으로 간주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일종의 편법을 이용한 수신확인 시스템인데 이것도 받는 메일서버나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메일 내 이미지 표시하지 않기 기능을 적용하여 메시지와 첨부파일 이외의 요소를 필터링해버리면 무력화된다. 게다가 일부 서비스에선 저런 웹버그가 포함된 메일은 스팸으로 처리한다. 이유는 스팸메일 발송업자들이 실제 사용하는 이메일인지 판별하기 위한 용도로 악용하고 있고, 개인 프라이버시 유출 문제도 겹치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편리해 보이는 이 기능이 찬밥취급인 이유는 보안문제와 함께 스팸이 범람하는 현대의 네트워크 환경이 주 원인이다.
이메일 프로토콜을 이야기 할 때의 개체는 MDA(Mail Delivery Agent), MTA(Mail Transfer Agent), MUA(Mail User Agent)의 세 가지를 생각한다. MDA는 우편함(메일을 저장하는 로컬 서버), MTA는 우편국(메일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버), MUA는 우편 수신자(메일 클라이언트)이다.
예를 들어 sender@gmail.com 계정의 사용자가 receiver@naver.com 계정으로 이메일을 보낸다고 하자.
  1. sender는 이메일 클라이언트(MUA)을 통해 gmail서버(MTA)로 접속해 메일을 작성하고 전송 버튼을 누른다.
  2. gmail서버는 네이버 메일서버(MTA)로 메일을 전송한다.
  3. 네이버 메일서버는 내부 저장소(MDA)에 메일을 저장한다.
  4. 네이버 메일서버가 사용자 receiver의 이메일 클라이언트(MUA)로 메일이 왔음을 알린다.
  5. receiver의 이메일 클라이언트(MUA)가 네이버서버에서 메일을 다운로드한다.
이메일을 전송할 때(MUA→MTA; MTA→MTA)는 SMTP 혹은 ESMTP 등을 사용하며 메일을 받아올 때(MDA→MUA)는 POP, IMAP 등을 사용한다.

9.2. 포맷 프로토콜


이메일을 이용해 ASCII 텍스트 이외의 다른 데이터(유니코드, 영상파일 등)를 보낼 수 있도록 이메일 프로토콜에 맞춘 포맷 형식이다.

10. 서비스 제공 업체 변경


간혹가다가 서비스 제공 업체가 합병이나 폐업 등을 하게 되면 해당 이메일 주소가 사용 못하게 된다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국내외 막론하고 왠만해서는 어떤 업체가 해당 도메인을 인수하므로 메일 주소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예시
단 예외도 존재한다.
드림위즈가 2019년 7월 30일부로 이메일 서비스를 종료를 선언했는데, 8월 31일까지 메일 및 각종 주소록 백업을 하지 않으면 전부 삭제된다고 한다.#

11. 이메일 마케팅


1978년 스팸이라는 단어가 탄생한 이후 이메일을 통한 마케팅은 1990년대 중후반부터 Hotmail등과 같은 무료 이메일 제공 업체가 등장하면서 이메일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고, 이메일 마케팅에 대한 관심도도 급격히 증가되어 2000년대 Mailchimp과 같은 이메일 마케팅 제공자가 생겨나면서 이메일 마케팅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다. 특히 이메일 수신자의 시간대에 따른 타임워프 기능과 미리 써놓은 이메일이 나가는 자동화 시스템등은 현재 많은 기업등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스티비가 가장 대표적인 이메일 마케팅 제공자로서 뉴닉이벤터스등과 같은 많은 스타트업들이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서 이메일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는 아니지만 문자메시지와 이메일과 통합하여 시스템을 만들어낸 펜페이퍼앤플랏은 새로운 개념의 이메일 마케팅을 소개하고 있다.[14]

12. 기타



13. 관련 문서



[1] 하이픈 없이 Email이라고 적는 경우도 간혹 있는데, 법랑을 뜻하는 독일어 단어 Email과 글자가 같아서 붙임표 없이 쓸 경우 독일인이 오해할 수도 있다.[2] 현재도 UNIX기반으로 돌아가는 시스템 (리눅스, OSX 등)은 username@servername식으로 원격 접속이 가능하다. 즉 수신서버 측에서 이메일 포트로 들어오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스가 돌아가고 있으면 이메일, ssh나 ftp포트로 들어오는 요청은 포트에 따라 각 서비스가 처리한다.[3] 수신(To)과 완전히 동일하게 메일을 받기 때문에 기능상으로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의미상으로 메일에 대한 회신이나 반응할 의무가 없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예를 들면 법원에서 전달사항을 이메일로 보낸다면 피고와 원고는 수신인으로, 증인에게는 참조로, 신변보호 중인 증인은 숨은참조(BCC)로 보낸다고 이해하면 된다.[4] 지메일이나 한국 포털의 메일 서비스들이 아무리 시장지배적인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이걸 쓰기 싫은 사람은 본인이 직접 메일 서버를 구축하는 것은 여전히 가능하다.[5] 구글 드라이브, 구글 포토, 네이버나 다음 메일의 대용량 파일 첨부 등.[6] 의무만 없을 뿐이다. 답변을 해야된다고 생각되면 해도 무방하다.[7] 아카이브로 흔적은 볼 수 있다.오르지오 아카이브[8] 다만 개인용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중에서는 카카오의 다음만이 유일하게 무료로 제공한다.[9] 더하기 대신 하이픈이 쓰인다.[10] 업무 등[11] 자사의 동명의 이메일 클라이언트와는 이름만 같다.[12] 예전에 외부 이메일 계정을 등록시 저장공간 1GB 추가해주는 이벤트를 했으며 네이버Works 계정을 생성시 도메인당 5GB씩 저장공간를 추가로 준적이 있다.[13] 1년에 19,900원에 프리미엄 메일을 사용할 수 있는데, 무제한 용량에 광고 제거 기능 등이 있다. [14] 한국의 대표적인 마케팅 서밋콘텐츠 마케팅 서밋 2019년에 이메일 마케팅 주제로 강연한 사람이 회사 대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