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맞이꽃
[image]
바늘꽃과의 두해살이풀.
칠레 원산의 귀화 식물이다. 주로 길가나 빈터에서 자라며 최대 50∼90cm까지 자라고 줄기에는 짧은 털이 나 있다. 잎은 어긋나고 끝이 뾰족하다.
겨울에는 로제트 상태로 월동을 한다. 7월에 노란색 꽃을 피우며, 꽃말은 '기다림' 이다. 나방이나 박각시 등 밤에 활동하는 곤충을 수분의 매개체로 쓰기 때문에 밤에만 꽃을 피우고 낮에는 꽃이 오므라든다.
왜 밤에 꽃을 피우는가하면 고온의 햇빛이 내리쬐는 환경에서는 꽃이 필 수 없는 유전적 특징을 지녔기 때문이다. 다만, 햇빛이 없는 흐린 날이면 꽃을 활짝 피우고 있는 광경도 자주 볼 수 있다. 이러한 달맞이꽃의 개화성은 식물의 운동에서 빛과 온도의 세기가 자극이 될 때 나타나는 반응인 감열성과 감광성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큰달맞이꽃, 긴잎달맞이꽃, 애기달맞이꽃 등 다양한 아종이 있다.
약용으로 쓸모가 많은 식물이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달맞이꽃을 피부염이나 종기를 치료하는 약재로 썼으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월견초(月見草)라는 약재로 썼다. 그 외에 씨로 만드는 달맞이씨유는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건강 식품으로 인기가 높다. 달맞이꽃 한 포기에서 채취할 수 있는 씨가 적은 편이라 기름을 짤 만큼 씨앗을 모으려면 양이 많이 필요하므로 가격은 비싼 편이다.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서양사람은 달맞이꽃이 로제트일때 뿌리를 캐 먹는다. 한국에서도 이걸 나물로 먹을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 지 얼마 안 된다.
이름과 꽃말이 워낙 몽환적이고 신비스러운 이미지라 그런지 관련 설화들이 다른 식물들에 비해 많은 편이다. 여기서는 가장 잘 알려진 두 설화를 소개한다.
태양신을 숭배하는 어느 인디언 마을에 로즈라는 미모의 처녀가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태양신을 숭배하는만큼 낮에 주로 활동했는데, 유독 로즈만은 낮보다 밤을, 태양보다 달을 더 좋아했다.
로즈의 마을에서는 매년 여름이면 결혼 축제가 열렸는데, 이 축제에서 처녀를 고르는 순서는 규율로 정해져있었다. 이를테면 사냥감을 포획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던지, 아니면 전쟁터에서 승리를 쟁취하는데 일등공신이었다던지하는 순으로 해서 마음에 드는 처녀를 고를 수 있는 방식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청혼을 받은 처녀는 절대 거절을 하면 안되는 엄격한 규율이 있었다.'''
마침내 축제 날이 되었다. 로즈는 추장의 작은 아들이 자신을 선택해주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었다. 그들은 1년 전부터 사겼던 사이였고, 고백을 하는 것은 당연한 순리였다. 그러나 그는 로즈가 아닌 '''다른 처녀를 선택해버렸고,'''[3] 덕분에 로즈는 다른 남자의 청혼을 받고 말았다. 이 어이없는 상황에 너무나도 화가 난 로즈는 청혼을 건넨 남자의 손을 뿌리치고 나가버렸다.
축제는 발칵 뒤집어졌고, 로즈는 그녀를 따라나온 병사들에게 잡혀 규율에 따라 귀신의 골짜기라는 곳으로 즉시 추방되었다. 추방된 로즈는 그곳에서 달을 추장의 작은 아들로 동일시 여기며 매일 밤마다 달을 사모하기 시작했다.
축제가 있고 1년이 흘렀다. 추장의 작은 아들은 보는 눈을 피해 몰래 귀신의 골짜기를 찾았다. 그는 로즈에게 정말 '''미안하다고, 잘못했다고, 구하러왔다며''' 큰 소리로 그녀를 불렀지만 돌아오는 것은 자신의 메아리뿐이었다. 그 곳에는 추장의 작은 아들말고는 아무도 없었다. 단지, 달빛을 따라 피어난 한 송이 꽃만이 있을뿐이었다.
로즈는 죽어서 꽃이 되어 사랑했던 사람을 기다리듯이 밤이면 언제나 달을 보고 피어났던 것이었는데 이 꽃이 바로 달맞이꽃이다. 그리고 로즈가 추장의 아들과 사귀고 2년만에 죽은 것이 달맞이꽃이 두해살이풀인 이유라고 한다.
그리스 신화에도 달맞이꽃에 얽힌 전설 하나가 있다. 옛날에 별을 사랑하는 요정들 중에 유독 홀로 달을 사랑하는 님프가 살고 있었다. 그런데 이 님프는 별이 뜨면 달을 볼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무심코 이런 말을 하게 되었다. [4]
'''"별이 모두 없어졌으면…, 그럼 매일 매일 달을 볼 수 있을 텐데…."'''
그러자 이 말을 들은 곁에 있던 다른 님프들이 제우스에게 곧바로 달려가 이 사실을 고했다. 화가 난 제우스는 달이 비치지않는 곳으로 달을 사랑하는 님프를 쫓아버리고 말았다. 뒤늦게 그 사실을 알게 된 달의 신은 자기를 좋아했던 님프를 찾아 헤맸다. 그러나 곳곳에서 제우스가 방해를 하는 통에 둘은 끝내 만날 수 없었다.
결국 달을 사랑했던 님프는 너무나 지친 나머지 병들어 죽게 됐고, 님프가 죽은 후에야 찾아 올 수 있었던 달의 신은 눈물을 흘리며 님프를 땅에 묻어줬다. 이를 본 제우스는 너무 심했다고 생각했는지 죽은 그녀의 영혼을 '''달맞이꽃'''으로 환생시켜주었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달맞이꽃은 달을 따라 꽃을 밤에만 피우고 있다. 그래서인지 그리운 달을 기다리는 달맞이꽃은 '''기다림, 밤의 요정, 소원'''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
메이플스토리에서 차원의 도서관 에피소드 5에서 스토리의 주요 요소로 등장한다.
한국 드라마 호텔 델루나에서 구현모가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팔아넘겨야 했던 아들 구찬성에게 만월이 매년 선물로 보낸 꽃으로 언급된다. 아버지는 당시 일이 꿈이 아닌걸 깨닫고 아들을 해외로 도망시켜 보았지만 귀신 같이 찾아내서 꽃을 20년 동안 선물했다는게 가관.
또 한국드라마 구미호뎐에서도 달맞이꽃이 나온다. 3화에서 어화도 무녀에게 지아가 죽을 위기에 처했을때도 사방이 달맞이꽃으로 덮여있어서 이연이 바로 지아를 구하지 못했다. 15화에서는 이연이 직접 달맞이꽃을 먹고 자신을 약화시켜 이무기와 함께 삼도천으로 뛰어들기도 했음. 드라마 배경이 달맞이꽃이 구미호의 능력을 약화시키는 꽃인듯하다.
1. 개요
바늘꽃과의 두해살이풀.
2. 상세
칠레 원산의 귀화 식물이다. 주로 길가나 빈터에서 자라며 최대 50∼90cm까지 자라고 줄기에는 짧은 털이 나 있다. 잎은 어긋나고 끝이 뾰족하다.
겨울에는 로제트 상태로 월동을 한다. 7월에 노란색 꽃을 피우며, 꽃말은 '기다림' 이다. 나방이나 박각시 등 밤에 활동하는 곤충을 수분의 매개체로 쓰기 때문에 밤에만 꽃을 피우고 낮에는 꽃이 오므라든다.
왜 밤에 꽃을 피우는가하면 고온의 햇빛이 내리쬐는 환경에서는 꽃이 필 수 없는 유전적 특징을 지녔기 때문이다. 다만, 햇빛이 없는 흐린 날이면 꽃을 활짝 피우고 있는 광경도 자주 볼 수 있다. 이러한 달맞이꽃의 개화성은 식물의 운동에서 빛과 온도의 세기가 자극이 될 때 나타나는 반응인 감열성과 감광성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큰달맞이꽃, 긴잎달맞이꽃, 애기달맞이꽃 등 다양한 아종이 있다.
약용으로 쓸모가 많은 식물이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달맞이꽃을 피부염이나 종기를 치료하는 약재로 썼으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월견초(月見草)라는 약재로 썼다. 그 외에 씨로 만드는 달맞이씨유는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건강 식품으로 인기가 높다. 달맞이꽃 한 포기에서 채취할 수 있는 씨가 적은 편이라 기름을 짤 만큼 씨앗을 모으려면 양이 많이 필요하므로 가격은 비싼 편이다.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서양사람은 달맞이꽃이 로제트일때 뿌리를 캐 먹는다. 한국에서도 이걸 나물로 먹을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 지 얼마 안 된다.
3. 관련 설화
이름과 꽃말이 워낙 몽환적이고 신비스러운 이미지라 그런지 관련 설화들이 다른 식물들에 비해 많은 편이다. 여기서는 가장 잘 알려진 두 설화를 소개한다.
3.1. 인디언 전설
태양신을 숭배하는 어느 인디언 마을에 로즈라는 미모의 처녀가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태양신을 숭배하는만큼 낮에 주로 활동했는데, 유독 로즈만은 낮보다 밤을, 태양보다 달을 더 좋아했다.
로즈의 마을에서는 매년 여름이면 결혼 축제가 열렸는데, 이 축제에서 처녀를 고르는 순서는 규율로 정해져있었다. 이를테면 사냥감을 포획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던지, 아니면 전쟁터에서 승리를 쟁취하는데 일등공신이었다던지하는 순으로 해서 마음에 드는 처녀를 고를 수 있는 방식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청혼을 받은 처녀는 절대 거절을 하면 안되는 엄격한 규율이 있었다.'''
마침내 축제 날이 되었다. 로즈는 추장의 작은 아들이 자신을 선택해주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었다. 그들은 1년 전부터 사겼던 사이였고, 고백을 하는 것은 당연한 순리였다. 그러나 그는 로즈가 아닌 '''다른 처녀를 선택해버렸고,'''[3] 덕분에 로즈는 다른 남자의 청혼을 받고 말았다. 이 어이없는 상황에 너무나도 화가 난 로즈는 청혼을 건넨 남자의 손을 뿌리치고 나가버렸다.
축제는 발칵 뒤집어졌고, 로즈는 그녀를 따라나온 병사들에게 잡혀 규율에 따라 귀신의 골짜기라는 곳으로 즉시 추방되었다. 추방된 로즈는 그곳에서 달을 추장의 작은 아들로 동일시 여기며 매일 밤마다 달을 사모하기 시작했다.
축제가 있고 1년이 흘렀다. 추장의 작은 아들은 보는 눈을 피해 몰래 귀신의 골짜기를 찾았다. 그는 로즈에게 정말 '''미안하다고, 잘못했다고, 구하러왔다며''' 큰 소리로 그녀를 불렀지만 돌아오는 것은 자신의 메아리뿐이었다. 그 곳에는 추장의 작은 아들말고는 아무도 없었다. 단지, 달빛을 따라 피어난 한 송이 꽃만이 있을뿐이었다.
로즈는 죽어서 꽃이 되어 사랑했던 사람을 기다리듯이 밤이면 언제나 달을 보고 피어났던 것이었는데 이 꽃이 바로 달맞이꽃이다. 그리고 로즈가 추장의 아들과 사귀고 2년만에 죽은 것이 달맞이꽃이 두해살이풀인 이유라고 한다.
3.2. 그리스 신화
그리스 신화에도 달맞이꽃에 얽힌 전설 하나가 있다. 옛날에 별을 사랑하는 요정들 중에 유독 홀로 달을 사랑하는 님프가 살고 있었다. 그런데 이 님프는 별이 뜨면 달을 볼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무심코 이런 말을 하게 되었다. [4]
'''"별이 모두 없어졌으면…, 그럼 매일 매일 달을 볼 수 있을 텐데…."'''
그러자 이 말을 들은 곁에 있던 다른 님프들이 제우스에게 곧바로 달려가 이 사실을 고했다. 화가 난 제우스는 달이 비치지않는 곳으로 달을 사랑하는 님프를 쫓아버리고 말았다. 뒤늦게 그 사실을 알게 된 달의 신은 자기를 좋아했던 님프를 찾아 헤맸다. 그러나 곳곳에서 제우스가 방해를 하는 통에 둘은 끝내 만날 수 없었다.
결국 달을 사랑했던 님프는 너무나 지친 나머지 병들어 죽게 됐고, 님프가 죽은 후에야 찾아 올 수 있었던 달의 신은 눈물을 흘리며 님프를 땅에 묻어줬다. 이를 본 제우스는 너무 심했다고 생각했는지 죽은 그녀의 영혼을 '''달맞이꽃'''으로 환생시켜주었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달맞이꽃은 달을 따라 꽃을 밤에만 피우고 있다. 그래서인지 그리운 달을 기다리는 달맞이꽃은 '''기다림, 밤의 요정, 소원'''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
4. 미디어에서
메이플스토리에서 차원의 도서관 에피소드 5에서 스토리의 주요 요소로 등장한다.
한국 드라마 호텔 델루나에서 구현모가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팔아넘겨야 했던 아들 구찬성에게 만월이 매년 선물로 보낸 꽃으로 언급된다. 아버지는 당시 일이 꿈이 아닌걸 깨닫고 아들을 해외로 도망시켜 보았지만 귀신 같이 찾아내서 꽃을 20년 동안 선물했다는게 가관.
또 한국드라마 구미호뎐에서도 달맞이꽃이 나온다. 3화에서 어화도 무녀에게 지아가 죽을 위기에 처했을때도 사방이 달맞이꽃으로 덮여있어서 이연이 바로 지아를 구하지 못했다. 15화에서는 이연이 직접 달맞이꽃을 먹고 자신을 약화시켜 이무기와 함께 삼도천으로 뛰어들기도 했음. 드라마 배경이 달맞이꽃이 구미호의 능력을 약화시키는 꽃인듯하다.
[1] 달월 자에 볼견 자, 풀초 자를 써서 달을 보는 풀이란 의미[2] 겹달맞이꽃의 학명[3] 해당 이야기를 소개하는 어떤 동화책에서는 로즈를 포함한 마을 처녀들 모두 비슷하게 분장한 탓에 추장의 작은 아들이 로즈의 옆에 있던 다른 처녀를 로즈로 착각해 실수로 그 처녀를 선택한 것으로 나온 버전이 있다.[4] 실제론 달이 밝은 날엔 별이 빛을 잃는다. 별을 관측할 때 절대 달이 밝은 날을 고르면 안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