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큐 2000계 전동차

 

[image]
[image]
덴엔토시선에서 운행하던 시절
9020계로 개번된 후 9022F
1. 제원
2. 개요
3. 구조
3.1. 차체
3.2. 주요 장비
4. 차내
4.1. 승무실
5. 운용
6. 편성
7. 리뉴얼
8. 9020계
9. 관련 문서


1. 제원


'''東急とうきゅう2000にせんけい電車でんしゃ'''
'''東急とうきゅう9020きゅうせんにじゅうけい電車でんしゃ'''
열차 형식
통근형 전동차
급전 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제작 회사
도큐차량제조
도입 연도
1992년 ~ 1993년
제조 량수
30량
편성 대수
5량, 10량
궤간
1067mm
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영업최고속도
110km/h(도큐선), 80km/h(도쿄메트로 한조몬선)
설계최고속도
120km/h
기동가속도
3.3km/h/s
설정감속도
3.5km/h/s
설정비상감속도(EB)
4.5km/h/s
전장
20000mm
전폭
2800mm
전고
4035, 4050mm
대차
볼스타레스대차 TS-1010,1011
동력장치
농형 3상 유도 전동기
메인모터 출력
170kw
구동장치
TD피팅식 중실축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제어 방식
히타치제 GTO-VVVF 인버터 제어 IC8M (2000계 시절)
미츠비시제 SiC-VVVF 인버터 제어(9020계)
제동장치
ATC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신호방식
ATC-P(덴엔토시선, 오이마치선), CS-ATC(도쿄메트로 한조몬선)
운행노선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오이마치선
'''과거''' : 덴엔토시선, 도쿄메트로 한조몬선 직결운행
소속
나가츠타 검차구 (3편성 15량)

2. 개요


덴엔토시선의 수송력 증강을 위해 1992년부터 93년까지 1년동안 30량이 도큐차량에서 제조되었다.
1986년에 등장한 9000계를 기반으로 설계하여 제조하였다. 기본적으로 공통 차체와 디자인을 쓰면서 영단 한조몬선에 운행 대응하게끔 변경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설계에 있어서 '더 나은 거주성, 운전 조작성 향상, 에너지 절약화' 등 9000계의 기본 이념에 더해 90년대 당시에는 트렌트였던 '사람에게 좋은 차량'등을 목표로 하였다.
1992년에 제1,2편성이 덴엔토시선에 투입되었고, 1993년 2월에 제 3편성이 8량편성으로 잠시 도요코선에 투입되었다. 제3편성은 93년 11월에 2량의 부수차가 제조되고 나서야 비로소 덴엔토시선으로 복귀할수 있었다.
2003년 3월 19일부터 시작된 도큐, 도메, 도부 제3자 직통운행이 시작하였으나, 본 차량은 도부와의 운행 협정등으로 도부선에 입선하지 않는다. 이전에는 다른 덴엔토시선에 있는 신5000계8500계등 다른 네임드 차량이 있었고, 본 차량은 차량 갯수도 매우 적을뿐더러 도부와의 운행 협정 등으로 도부 ATS 미탑재 차량으로 되어 도부선에 입선하지 않는다. 전 차량이 츄오린칸~오시아게 구간만 반복운행하였다.[1]
2000계 이후 한동안 덴엔토시선에 신차 소식이 뜸해지다가 2002년 JRE231계를 기반으로한 5000계가 제작되어 운행에 투입되었고 이로 인해 노후화된 전동차들이 폐차되었다. 이후 8500계를 대체하기 위해 E235계를 기반으로 한 2020계가 등장한 상태.

3. 구조



3.1. 차체


[image]
2003년 11월 22일, 츠키미노역에서 배장기 설치 및 리뉴얼 이전.
9000계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스틸 경량 차체에다가 4도어 차량이다. 따라서 그냥 9000계에다가 지하철 직통+10량 버전이라고 보면 편할듯(..) 하지만 당시 차량 구매비용 절감등으로 전장을 공통화하여 수리제품 공통화, 운전 업무 공통화 등을 도모하는 목적이었다. 전면과 측면에서는 도쿄의 기업 컬러라고 할수 있는 빨간색 계통의 색상을 넣는다.
전면은 비상구 관통식으로 하고 지하철에서의 원활한 대피를 위해 비상용 사다리를 설치하였다.
목적지 지시자는 원래 제1편성과 제2편성만 롤지식, 제3편성은 3색 LED 식이었다. 그후 제 3편성은 2005년 3월에 5000계와 동일한 유형은 풀컬러 LED, 목적지는 3색 LED 방식으로 교환되었다. 같은 방식으로 1편성과 2편성도 교체되었다.
전면 행선 지시자 옆에 급행등 운행 등급 표지등이 있고 급행열차로 운행될떄 점등하고 있었지만, 2002년 4월부터 사용이 중지되고 위에 풀컬러 LED화때 철거후 그 부분이 막혔다. 3호차에 해당하는 데하 2200형의 아래부분과 바닥에는 한조몬선 유도 무선안테나와 무선 송수신기 본체가 탑재되어 있다.
냉방 장치는 1000계 1006F 이후에 설치된 제품과 같은 도시바 제품을 쓰며, 11.6kW 용량의 RPU-2214C형을 한량당 4개 탑재하고 있지만, 2대를 한번에 정리하여 팬터그래프 차량과 비장착 차량의 배치 공통화를 도모하였다. 냉각제어 방식은 1000계에서 검증된 인버터에 의한 능력가변제어를 채용해,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3.2. 주요 장비




GTO 구동음
SiC 구동음
GTO 소자를 이용한 히타치제 VVVF 인버터 VF-HR-132형을 채용한 제어장치로 2대분 8개의 모터를 제어하는 1C8M 제어 방식이다.
주 전동기는 TKM-92형 농형 3상 유도전동기이다.
브레이크 장치는 ATC 연동 HRA 방식이며, 회생 브레이크를 병용한 아날로그 지령식의 전체전기 지령식 공기브레이크다.
공기 압축기는 왕복식 저소음 HS-20-1형의 편성으로 4개 탑재하고 있다. 보조 전원공급 장치는 도시바제 GTO 소자를 사용한 170kVA 출력의 정지형인버터이며, 1편성당 3개 탑재하고 있다. 집전 장치는 강체가선에 대응한 마름모꼴 더블 팬터그래프이며, 9000계와 동일한 제품을 사용한다.
현재 보안 신호장치는 모두 도큐, 도쿄메트로의 ATC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대차는 9000계에서 채용하는 볼스타레스 대차를 기본으로 하되, 원통형 적층 고무식 축 상자 지지대를 채용하여 고속시 승차감을 향상시켰다. 형식은 TS-1010,1011이다.

4. 차내


[image]
1차차 2251호의 내부
제 1,2편성의 3,9호차 외의 차내 인테리어는 9000계와 거의 같은 제품을 쓰고 있다. 그러나 냉각 덕트를 이용한 냉풍 확산 방식이나 선반 끝을 연장해 물건을 쉽게 올리게 한것은 오히려 1000계와 똑같이 되어 있다. 또한 기존 객실벽에 설치한 소화기를 객실벽 안에 놓고 문을 달아놓았다.
모든 차량이 롱시트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차량에 우선석이 있다. 천장 보조 송풍기로 라인델리아를 설치하고 있지만, 덴엔토시선의 혼잡한 객실 내부덕에 선두차에 9대, 중간차에 10대를 설치하여 9000계보다 많아졌다.
1992년 제1차차인 3,9호차는 2000계 캐치프라이즈였던 '쾌적한 공간 만들기'를 목표로 제작되었으며, 각 계열에서 볼수 없었던 아이디어를 시험적으로나마 실시하고 있다. 이것이 향후 통근열차 내부의 모델 케이스로서의 의미도 있다.
  • 차량 단부에 휠체어 공간 설치.
  • 7인용 롱시트를 3+4명으로 구분하고 칸막이 설치, 칸막이 부분에 손잡이 설치.
  • 좌석 색상은 빨강+노랑의 무늬있는 모켓 작용.
  • 문 사이의 7인용 롱시트 밑에 공조장치를 철거해 발밑 공간을 확대.[2]
  • 커튼에 도큐 연선의 명소인 요코하마 베이브릿지, 시부야 109빌딩, 前 덴엔초후역 건물을 디자인.
  • 新 디자인의 관통문을 사용.
이러한 시도는 2차차 이후에 일부 차량의 개조때 전면적으로 채용하였다. 또한, 제작한 좌석 모켓과 커튼은 시간이 지나면서 얼룩이 확연하게 나서, 후에 기존 차량과 같은 제품으로 교환돠었다.
좌석 부의 수직 줌 막대는 1차 차량에 3호차와 9호차에 채용하였다. 본 계열에서 채용한 꽃무늬 좌석과 세로형 막대는 같은시기에 실내 갱신공사를 받던 7600계, 8000게에서도 채용되었다.

2차차인 제3편성은 도요코선에서 운행할 당시, 휠체어 공간 구성의 3,7호차 좌석 모켓은 시부야쪽으로 홀수호차가 꽃무늬, 짝수 호차가 줄무늬가 되었다.
제작 완성시부터 자동 방송장치를 탑재하고 있으나, 덴엔토시선 뿐만 아니라 한조몬선도 자동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조몬선의 영어 방송은 없다. 측면의 차외 스피커를 탑재하여 승강 촉진 방송을 할수 있다.
2003년 10월부터 2004년 3월에 걸쳐 측면 입구 윗 미닫이 틀에 3색 2단 LED를 설치하였다. 뿐만아니라 도어 개폐장치도 추가되었다. 문차임용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다.
[image]
2000계의 차내 2단 3색LED.

4.1. 승무실


[image]
2003F의 운전실 부근. 좌측 2개에 썬팅이 되어 있다.
승무실도 승무원이 취급 장비를 통일하기 위해 9000계와 기본적으로 큰 변화는 없다. 본 계열에서는 왼쪽 벽의 한조몬선 유도무선 송수화기가 있다. 승무원 실내의 아이보리색 운전대 계기판은 광택 갈색 색상을 채용하고 있다. 주제어 장치는 T자의 원핸들 마스콘이며, 데드맨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앞유리에 커튼이 설치되어 있다.
승무원실 칸막이는 전면 창과 같은 위치에 칸막이 창문이 3개 있으며, 그중 객실에서 볼때 왼쪽 두개창에는 하강식 차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차장 스위치는 처음에 기계식이었으나, 2007년에 간접 제어식으로 교체되었다.

5. 운용


  • 현재 전 차량이 나가츠타 검차구에 배치되어 덴엔토시선, 한조몬선에 운용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도부선에 직통을 못한다.
  • 2008년 3월 28일의 다이어 개정에서 평일 다이아 이후 약 2년만에 휴일 다이어에 2000계가 투입되었다. 도부선 비직통 운용인 36K-38K로 운용하였다.

6. 편성


  • 동력차 6량및 부수차 4량의 6M4T 10량 편성이다.

오시아게, 시부야 ↔ 츄오린칸
제작년도
리뉴얼
년도
호차
1
2
◇3
4
5
◇6
7
8
9
10
형식
쿠하
2000
(Tc2)
데하
2250
(M2)
데하
2200
(M1)
사하
2700
(T2)
데하
2350
(M1)
데하
2300
(M2)
사하
2800
(T1)
데하
2450
(M2)
데하
2400
(M1)
쿠하
2100
(Tc1)
탑재장비

SIV, CP
CONT

SIV, CP
CONT
CP
SIV, CP
CONT

차량 번호
2001
2251
2201
2701
2351
2301
2801
2451
2401
2101
1992년
"
2002
2252
2202
2702
2352
2302
2802
2452
2402
2102
"
'''2003'''
'''2253'''
<'''2203'''>
2703
'''2353'''
<'''2303'''>
2803
'''2453'''
<'''2403'''>
'''2103'''
1993년
2018년
  • 범례
    • CONT: 주제어
    • SIV: 보조전원공급장치
    • CP: 공기압축기
    • ◇: 팬터그래프
    • <>: 더블암 팬터그래프
    • 굵게: 리뉴얼 차량

7. 리뉴얼


2018년 2003F 부수차량을 제외한 8량이 기기 업데이트, 차내 리뉴얼 공사를 실시하였다. 팬터그래프가 2개형식의 싱글암으로 변경되었고 휠체어 공간이 추가되었다.
또한 2003F는 2018년 9월쯤에 나가츠타 공장으로 회송되어 5량으로 재편성되었으며 소자도 Sic로 교체하고, 현재 오이마치선에서 운용중이다.
2019년 2월부로 2000계 모든 편성이 5량화 된 후, 9020계로 개번됨에 따라, 도쿄메트로 한조몬선에서는 더 이상 이 열차를 볼 수 없게 되었지만, 덴엔토시선에서는 오이마치선과 공유하는 구간 한정으로 볼 수는 있다. 위의 2003F도 9023F로 개번되었다. 이후 2001F와 2002F도 차례로 개번되었다.
2018년에 7량이 재적폐차되었다.

오이마치 ↔ 미조노구치
전입년월
호차
1
<2>
3
<4>
5
형식
쿠하 2000
(Tc2)
데하 2300
(M)
데하 2450
(M2)
데하 2400
(M1)
쿠하 2100
(Tc1)
탑재장비
CP
SiC
SIV, CP
SiC
CP
차량 번호
2003
2303
2453
2403
2103
2018년 11월

8. 9020계


2019년 2월 11일, 2002F의 3량 및 2003F의 2량을 통합한 편성이 오이마치선에서 영업운전을 개시했다. 이즈음, 해당 차량들은 형식을 '''9020계'''로 개번하고 9022F로 개번되었다. 또한 2003F의 2호차가 데하 2303에서 데하 2302로 교체되었고 9023F에 개번되었다. 이후 3월 18일일에 데하 2303을 넣은 9021F도 공장에서 출차하였고, 3월 26일에 오이마치선 보통으로 운용을 개시했다. 이제 전체 3편성이 오이마치선에 모인 셈.
8500계가 8000계 패밀리인 만큼 9020계도 9000계 패밀리이다.[3]
전 차량이 개조공사를 받았다.

오이마치 ↔ 미조노쿠치, 사기누마
전입년월
비고
호차
1
<2
3
<4>
5
형식
쿠하 9020
(Tc2)
데하 9220
(M)
데하 9320
(M2)
데하 9420
(M1)
쿠하 9120
(Tc1)
탑재장비
CP
SiC
SIV, CP
SiC
CP
차량번호
9021
(2001)
9221
(2402)
9321
(2353)
9421
(2303)
9121
(2101)
2019년 3월
[4]
9022
(2002)
9222
(2202)
9322
(2253)
9422
(2203)
9122
(2102)
2019년 3월

9023
(2003)
9223
(2302)
9323
(2453)
9423
(2403)
9123
(2103)
2019년 2월
[5]

9. 관련 문서



[1] 참고로 도큐 전동차 내에서 도부와 직통 불가능한 편성은 전면 유리창에 'K서클' 스티커를 부착하여 도부선 미탑재 차량이란것을 나타내고 있다. 2000계, 1000계, 8500계, 심지어는 5000계 일부 열차에서도 보인다.[2] 한국에서는 부산 3호선이 이렇게 채용하였다. 원래 1,2호선 차량 내 좌석 밑에 공조장치와 난방장치가 있었으나, 3호선을 이렇게 채용하여 짐을 밑에 두게 한뒤 위에 선반 설치를 안하였다.[3] 애초에 제작당시부터 9000계를 기반으로 설계하였다.[4] 4호차의 데하 9421(元 데하 2303)은 2018년 11월 16일부터 2019년 1월까지 2003F의 2호차로 운행. 2003F가 9023F로 나눠질 때 데하 9421으로 9021F의 4호차에 이전.[5] 2018년 11월 16일 오이마치선 영업운전 개시부터 2019년 1월까지는 2003F로 운행. 다시 나눌때 2호차를 데하 2303에서 데하 2302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