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점박이사슴벌레

 



[image]
'''두점박이사슴벌레'''
''' ''Prosopocoilus astacoides blanchardi'' ''' Hope,1840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딱정벌레목(Coleoptera)

사슴벌레과(Lucanidae)

톱사슴벌레속(''Prosopocoilus'')

두점박이사슴벌레(''P. astacoides'')
'''아종'''
'''두점박이사슴벌레'''(''P. a. blanchardi'')
[image]
▲두점박이사슴벌레 pallidipennis아종(동남아 자바섬 서식)
1. 개요
2. 기타


1. 개요


몸길이가 수컷 45~65mm, 암컷 30~40mm정도인 중형 사슴벌레. 우화하고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에는 밝은 황갈색 빛이 나다가 점차 어두운 황갈색으로 변한다. 가슴 양쪽에 검은 2개의 점이 뚜렷이 나타나며 가슴 가운데에 적갈색의 세로선이 있다. 수컷의 경우 머리 부분 가운데에 2개의 돌기가 앞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큰턱이 시작되는 부분에는 안쪽으로 나온 큰 돌기가 있으며, 끝쪽에는 작은 돌기가 발달되어 있다. 6~8월경 썩은 나무에 산란을 하며, 약 2주 뒤에 부화한다. 애벌레와 어른벌레로 겨울나기를 한다. 생김새를 비롯하여 많은 부분이 톱사슴벌레를 닮았다.
한국에서는 제주도에서만 서식하며, 2012년 5월 31일부터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2008년 환경부 고시I급에서 2012년 II급으로 강등되었는데 제주도 내 개체수가 많고 흔하여 직접적인 멸종위기보다는 향후의 가치보존을 위해 멸종위기종으로 남겨두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경청에서 허가를 받고 키우는 사람들도 있다는듯 하다. 단 이들은 일반 곤충 사육가가 아니라 허가받은 것으로 인공증식을 목적으로 기르는것이다. 만약에 제주도 여행을 가서 두점박이사슴벌레를 발견한다면 가져와서 키우거나 박제를 하는 몰상식한 짓은 하지 말고 안전한 곳에 놓아주자.
톱사슴벌레의 특성처럼 제주도의 특정 구역마다 몰려 서식하여 개체수가 많은곳은 엄청나다. 그런 실정에서 왜 이종이 멸종위기종이 되었냐 하면, 국내 서식지가 제주도에 한정되고 모양과 색이 아름다워 남획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1] 개체수가 많은 사실이 알려진 이후 서식지평가를 통해 심각한 멸종위기상태인 I급에서 일반적인 상태이지만 보호가치가 있는 II급으로 강등한 것이다. 다만 현재 II급중에도 서식지 파괴나 자료부족으로 인해 심각한 상태인종들도 존재한다.
관련기관 관계자의 말을 들어보면, 사육 난이도 역시 다른 사슴벌레들처럼 쉽기 때문에 원하는 만큼 증식하려는 비용과 공간만 있으면 수월하다고 한다.
개채수가 많은 지역에 가면 로드킬을 당하거나 PC방 입구나 건물벽에 다닥다닥 붙어있다고 한다.
한국(제주도), 몽골, 타이완, 네팔,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 기타


서울에서 두점박이사슴벌레의 표본을 보려면 충우곤충박물관으로 가면 된다. 두점박이사슴벌레가 멸종위기화 되기 이전에 표본화 시킨것이다.
2010년에는 울산에서 인공증식에 성공했다. 이어서 2012년엔 강원도에서 인공증식에 성공..
두점박이사슴벌레가 번식이 매우 쉽다보니, 브리더에게 맡기면 수백마리 넘게 불어날거라는 댓글이 많다. 그러나 정부는 멸종위기란 이유로 두점박이사슴벌레의 사육을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인공증식 허가를 받은 기관에서는 사육이 가능하다. 브리더들 말대로 멸종위기에서 해제된다면 브리더나 수집가들에 의해 남획되거나 서식지가 파괴될 위험도 있고 왕사슴벌레처럼 희귀종이 될 수도 있다.

[1] 일부 몰상식한 곤충 동호인들은 두점박이를 몰래 잡아서 키우거나 거래하기도 한다.엄연한 불법인데도 안걸리면 된다는 생각으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