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본
1. 개요
標本 / sample
연구나 교육목적, 또는 그 분류군(分類群)에 의하여 몇 가지로 나누어져 있다. 보통 박제(剝製)표본 ·건조표본 ·액침(液浸)표본 ·현미경표본(프레파라트) 등이 있다. 박제표본에는 본박제와 가박제표본이 있다. 본박제는 소형의 양서류를 제외한 척추동물, 또는 대형의 갑각류에 사용되며 제작에는 고도의 전문기술을 요한다.
2. 종류
- 가박제표본은 포유류 ·조류의 분류학적 연구에 사용되며 대부분은 연구자에 의하여 제작된다. 건조표본은 교재 ·연구 모두에 사용되며, 척추동물의 골격, 불가사리 등의 극피동물, 곤충류, 각(殼)을 가지는 연체동물, 식물의 석엽(腊葉), 지의류 및 광물의 표본이 포함된다.
- 액침표본은 박제 ·건조로는 보존할 수 없는 것이나 연부(軟部)를 조사할 필요가 있는 많은 분류군에 사용되며, 용액에는 포르말린 ·알코올 또는 이것들을 혼합한 용액 등이 있다.
- 현미경표본은 세균 ·세포 ·조직편이나 미소한 기생충 등의 보존에 사용된다.
3. 제조법
3.1. 건조표본
건조 표본은 주로 식물조직, 곤충,척추동물의 골격, 패류등을 보존할 때 사용된다.
3.1.1. 곤충
곤충 표본 문서 참조.
3.1.2. 갑각류
죽은 갑각류의 내장을 긁어낸 빈 껍질을 사용하거나 탈피를 마친 갑각류의 탈피갑을 이용하여 약품을 주입하거나 방부처리를 한다.
자세를 잡고 건조시킨다. 건조가 끝나면 상자에 넣는다.
3.1.3. 골격
[image]
사체를 염기성 용액에 넣어 끓이는 등의 방식으로 사체에서 뼈를 분리하고 약품을 사용한다.
추려낸 뼈를 잘 말리고 뼈 조각들 사이에 자그마한 구멍을 뚫은 뒤, 그 안에 기다란 철사를 진주 목걸이 꿰듯이 연결해서 뼈의 형태를 잡아 전시한다.
3.2. 액침표본
[image]
액침표본은 바이알이나 유리로 된 병에 넣는다. 포르말린이나 에탄올을 쓰며 죽은 뒤, 상하기 쉬운 무른 곤충류, 갑각류, 거미류 등의 표본에 쓰이며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물인 줄 알고 뚜껑을 여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그럴 경우 상상을 초월하는 악취가 난다.
몇몇 초중고교 과학실에 보존된 해부표본 등도 액침표본이다.
4. 주의사항
이들 표본에는 학명(學名) ·채집지 ·채집 연월일, 채집자를 명기한 튼튼한 라벨을 붙인다. 글씨는 정자로 물에 녹지 않는 먹물 또는 제도용 잉크를 쓰는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 또 유형분류에서 중요시되는 기준표본 ·모식표본(type specimen)이 있다. 어느 분류군이 학명을 수반하여 처음으로 발표되었을 때에 학명의 유효성과 분류적 개념의 기준이 되는 표본이다. 이러한 기준표본의 보관이나 취급은 명명법 규약에 명기되어 있다. 즉, 표본은 안전하게 공공의 연구소 ·박물관 등에 보관되며 표본에는 명명법상의 지위를 명료하게 나타낼 수 있는 라벨을 붙여 후에 그 표본을 틀림없이 인지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 위 내용 출처 두산백과
5. 기타
오늘도 어딘가의 생물 관련 직종에서는 제작하고 있다.
채집한 생물을 가지고 표본을 만들었지만, 안에 들어있는 생물을 모를 경우, 학명을 제외한 내용을 기입한 라벨과 함께 동정[1] 을 맡긴다. 동정 후 학명을 다시 기입해서 완성. 라벨의 경우 표본병의 외벽에 부착하거나 액침표본의 경우에는 보존액에 같이 넣기도 한다.[2]
액침표본은 보존액으로 중성 포름알데히드 수용액(포르말린)[3] 과 에탄올을 사용하는데 표본병의 밀폐가 제대로 안될경우 기화하는 참사가 일어날 수 있다. 표본을 못 쓰게되거나 표본실이 포르말린 기체로 가득차 화생방을 경험할 수 있다.[4] 또한 액침표본은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에 비타민 c등을 섞어주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산화되어 하얗게 탈색될 수 있다.
연체동물 중 복족류(고둥)의 경우 에탄올로 표본을 제작할 시, 패각 위의 미세조류에의해 보존액이 초록색으로 변할 수 있다.
6. 관련 문서
[1] (同定) 생물의 분류학상의 소속이나 명칭을 바르게 정하는 일.[2] 외벽에 부착시 보관 상태가 안좋으면 라벨이 떨어지거나 삭아서 후에 확인이 어렵울 수 있다.[3] 중성이 아닌 그냥 포르말린을 사용할 경우, 탄산칼슘 등의 패각이 녹을 수 있다.[4] 포르말린은 정말 안좋다. '''발암물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