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욱트라 전투

 

'''레욱트라 전투'''
'''시기'''
BC 371년 7월 6일
'''장소'''
그리스 보이오티아
'''원인'''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내부 갈등.
'''교전국'''
보이아티아 연맹(테베)
스파르타
'''지휘관'''
에파미논다스
클레옴브로투스 1세†
'''병력'''
중보병 6,000~7,000 명
기병 1,500명
중보병 10,000~11,000명
기병 1,000명
'''피해'''
디오도로스 주장
크세노폰 주장
300 명
1,000 명
파우시니아스 주장
디오도로스 주장
47명
4,000명+@
'''결과'''
테베의 승리
'''영향'''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붕괴. 서구 전술학의 전환.
1. 레욱트라 전투의 서막
2. 레욱트라 전투의 전개
3. 레욱트라 전투의 영향
4. 정말 혁신인가?

[clearfix]

1. 레욱트라 전투의 서막


기원전 371년, 테베는 보이오티아 연맹의 재건을 선언하고 연맹의 집정관인 '보이오타르크' 7인을 뽑아 중부 그리스에 영향력을 끼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 전 그리스의 맹주이자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맹주였던 스파르타는 이를 반대했고, 보이오티아 대표 에파미논다스에게 보이오티아 대표가 아닌 테베 대표라고 할 것이 아니면 조약에 서명하지 말라며 강하게 나온다. 마침 중부 그리스까지 영향력을 넓히고 싶었던 스파르타는 테베로 번개같이 진군하여 요새를 점령하고 군함을 노획한 후, 레욱트라로 진군한다.
[image]

2. 레욱트라 전투의 전개


스파르타 펠타스트가 테베의 민간인들을 공격하면서 전투가 시작된다. 이어서 스파르타 기병이 공격을 시도했으나 완전히 삽을 푸고, 이들이 도망치면서 스파르타 정예보병들의 진군을 방해하는 팀킬을 한다. 당시 스파르타는 중보병들을 12겹으로 평평하게 배치하는 매우 일반적인 진형을 썼는데, 이때 정예를 우익에 놓는 역시 이 시대의 일반적인 배치를 들고 나왔다. 다시말해 잔꾀 하나도 안부리고 아주 솔직담백한 진형을 짠 것.
그런데 테베군은 이렇게 정공을 고집하는 스파르타의 특성을 이용해 전략을 구사한다. 좌익을 '''50겹'''으로 짜고 신성부대에 기병까지 곁들여 우익으로 갈수록 뒤쪽으로 기울어진 사선대형을 짠 것이다. 한마디로 오로지 스파르타의 정예부대를 분쇄할 목적으로 좌익에 올인을 한셈. 이것은 적중하여 스파르타 최정예인 우익이 질적 우위도 보장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수까지 밀려 박살나고 달아나기 시작하자, 사정을 잘 모르는 나머지 중앙과 좌익 또한 동요하면서 모랄빵이 도미노처럼 터져, 스파르타는 패배하고 만다.
[image]

3. 레욱트라 전투의 영향


스파르타는 이 전투로 완전히 패권을 잃어 끝없는 추락을 겪게 되고, 테베가 그리스의 패권을 잡으나 하필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가 내려오면서 머지않아 잃고 만다. 하지만 이 전투에서 등장한 사선진과 유기적인 공격은 마케도니아군의 전술교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그야말로 고대 유럽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4. 정말 혁신인가?


레욱트라 전투는 일반적으로 번뜩이는 재치로 피아의 강세를 뒤집은, 혁신적인 전술의 본보기처럼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우선 이것이 정말 고대 그리스사에서 흔히 발견되는 호플리타이 전투의 상궤를 벗어나는 '혁신'인지, 아니면 '그저 전통대로 싸우다 보니 이긴'전투인지는 논란이 있다. 다시 말해 이전 세대의 전술적 흐름의 고리를 끊고 새로운 전술을 에파미논다스가 개발해낸 것인지, 아니면 기존에 있던 고대 그리스[1]의 전술적 전통을 잘 조합해내서 이루어낸 결과인지는 논란이 있다는 것이다.

[1] 정확히는 테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