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 QM5

 

[image]
1. 개요
2. 역사
2.1. 1세대 (2007~2016)
2.1.1. 논란과 문제점
3. 단종
3.1. 후속 모델
4. 둘러보기

'''RENAULT-SAMSUNG Q'''uest '''M'''otoring series '''5'''
'''RENAULT KOLEOS'''

1. 개요


'''THE CROSSOVER'''

2007년 12월 10일에 출시된 르노삼성의 첫 SUV. 부산 공장에서 생산되어 유럽 현지에서는 "르노 콜레오스(Koleos)"라는 이름으로 판매된다. 부산광역시 강서구에서 생산되었으며, 프랑스 메이커에서 최초로 내놓은 크로스오버 SUV 차종이기도 하다.
형제 모델로는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소속인 닛산 캐시카이, 닛산 로그 등이 있다. QM5 2.5 가솔린이 나왔을 때 로그에는 QM5 2.5 가솔린에는 없었던 4WD가 있었다. CVT는 둘 다 공용했다.[1] 2016년 6월에는 가솔린 2.0 2륜구동만 나오다 2016년 7월까지 생산하고 단종되었다.

2. 역사



2.1. 1세대 (2007~2016)


[image]
르노 그릴을 달았을 때는 문제가 없는 외모인데 르노삼성 그릴을 달았을 때 외모가 지나치게 우락부락하고 괴물마냥 못생겨져서 퀘물5라는 별명을 얻었다 (...)
[image]
[image]
초기형 QM5 (2007~2011)
뉴 QM5 (2011~2014)
[image]
[image]
QM5 네오 (2014~2015)
2015 QM5 네오 (2015~2016)
그래서인지 페이스리프트(디자인 변경)가 유독 잦은 차다. 뒷모습의 변화는 거의 없었고 전면부에만 변화를 주었다. 2015 QM5 네오는 기존 QM5 네오에서 ㄷ자 모양의 LED DRL 옵션이 생긴 것만 다르다.
4기통 2.5리터 가솔린과(2014년식 부터는 2.0리터 가솔린으로 대체) (유로6 규제로 인해 현재는 2.0리터 가솔린만 판매하므로 SUV를 구매할 분들은 주의를 요한다.). 르노 콜레오스와의 차이점은 차체 전면부 그릴 형상과 라디에이터 그릴과 스티어링 휠, 트렁크 도어 부분에 붙어있는 제작사 엠블럼이 어디 것이냐의 차이 정도이다.
레인지로버의 상징 중 하나인 클램 쉘 리어 게이트가 달려 있다.
르노삼성차의 한국 내수 시장의 효자차가 SM5라면, 수출 실적의 효자차는 단연 QM5다.[2] 수출 실적이 그다지 좋지 않은 르노삼성자동차 입장에서는 나름 쏠쏠하게 돈을 벌어다 주는 모델인데, 묘하게 8년째 단일 모델로 판매되는 중.
어정쩡한 차급[3]과 다소 높은 가격 때문에 내수 시장에서는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르노삼성의 효자 수출차라고 표현은 했지만, 유럽 전역에 판매될 차를 수출한 것 치곤 턱없이 적은 실적이었다. 실제 유럽에서의 판매량도 흥행참패에 가까운 수준이었고.
여담으로 극장판 또봇 : 로봇군단의 습격에서는 중기형 QM5가 MM 레이버의 베이스 모델로 등장하며, 만화 요르문간드의 애니메이션에서 QM5의 수출형인 르노 콜레오스가 나온다. 문제는 후자가 출연하자마자 총에 맞아 벌집이 된다(...).

2.1.1. 논란과 문제점


QM5 엔진에는 피에조 인젝터를 달아놔서 출력이 싼타페보다 높다라는 등 한등급 높은 모델과 스스로를 비교한 바가 있다. 하지만 QM5는 크기상으로는 4.55m정도로 싼타페와 동급으로 보기는 무리가 있는 정도이다. [4]
인테리어나 좌석을 본다면 앞좌석은 그런대로 괜찮다는 평이 있지만, 뒷좌석의 경우 투싼이나 스포티지보다도 약간 좁고, 뒷좌석 전후 이동이 불가하다.
간단한 소모품 교환에도 공임이 상당히 들어가는 차다. 가장 악명높은 사례는 르노삼성 수리센터 정비사들도 학을 뗀다는 에어컨 필터 교환. 작업과정을 보면 알겠지만, 대시보드 하단을 다 뜯어내는 대형공사를 해야 한다. 다른 차종들은 보통 글로브박스만 열어 5분도 안돼서 뚝딱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경우가 많아 차주가 혼자서도 할 수 있는데, 누가 프랑스 차 아니라 할까봐 유독 이런 이해하기 어려운 설계적 특징이 있다. 참고로 르노 브랜드로 수출되기 시작한 2010년대 모든 르노삼성차들에 해당되는 일이다.
2012년에 스트레스 적은 차로 꼽히기도 했고, 차주들 사이에서 잔고장이 적다는 호평이 많으나 알려진 문제점도 상당수 있다. #. 닛산 마크가 붙은 부품이 많아 믿음이 간다는 의견도 있고 어느정도는 맞으나, 유상수리를 하게 되면 비용이 상당히 크다. 정비편의성도 좋지 않은데다 뭐만 하면 통교환되는 일이 많다.
여담이지만 2010년 10월 23일 오전 1시쯤 'qm5'라는 단어가 네이버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서 1위를 차지했다. 엠넷 슈퍼스타K2에서 우승자에게 이 차를 상품으로 주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 근데 그 우승자는 부상으로 받은 후에 되팔아 작은 아버지께 다른 차를 사줬다고 한다. 그러나 다시 산 차가 SM5라 큰 문제는 없는 모양.

3. 단종


[image]
많은 사람들이 르노 카자르를 QM5의 후속 모델로 예상했지만 카자르가 준중형 SUV로 출시하게 되면서 QM5의 후속 모델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후 2015년 7월 30일, 진짜 후속으로 추정되는 콜레오스라는 차의 스파이샷이 잡혔다. 눈에 띌 만한 변화로는 클렘 쉘 리어 게이트의 실종, 넓어진 뒷좌석 및 트렁크 공간, 뭉툭해진 앞, 뒷모습 등이 있다.
그러나 르노삼성은 이 콜레오스의 국내 시판명을 QM6로 결정하였다. 이후 QM5는 QM6에게 자리를 내주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3.1. 후속 모델


[image]


4. 둘러보기





[1] 디젤은 자동변속기를 사용한다.[2] 사실 QM5가 잘 나서라기보다, 그냥 나머지 차들의 수출이 전부 망했다.[3] 차체 크기로 따졌을시 QM5의 차급은 준중형 SUV에 가깝다고 볼 수 있으며 실제로도 자사의 준중형 세단인 르노삼성 SM3와 같은 르노-닛산 C플랫폼 기반 인데다가 QM5의 형제차인 닛산 로그는 북미 시장에서 현대 투싼과 경쟁하는 관계 였으나, 르노삼성에서는 경쟁상태로 중형 SUV인 싼타페를 직접 지목하고 네이밍도 중형급을 뜻하는 QM'''5'''로 명명하면서 사실상 중형 SUV 급으로 포지션을 정하였으며 가격대도 싼타페에 가까운 수준으로 책정하였다. 물론 현대자동차 측에서는 발끈하면서 이를 인정하지 않고 QM5는 준중형 SUV인 투싼과 경쟁해야 한다고 되받아쳤고#, 시장에서도 사실상 준중형 SUV로 간주 되었었다.[4] 싼타페는 4.7m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