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고자

 

[image]
회색 바지저고리위에 걸친 남색 마고자
한복의 한 종류. 저고리 위에 덧입는 웃옷으로, 깃과 고름이 없고 마주 여미는 옷이다. 마고자의 섶 부분은 기와의 모양과 닮았으며, 섶코쪽이 올라가며 가운데로 내려오는 것이 특징이다.
저고리와 비슷하나 깃과 고름이 없고 앞을 여미지 않는다. 대개 비단으로 만들며 호박(Amber) 등의 보석을 단추로 단다. 마고자는 원래 청나라 때 옷인 마과에서 유래하였는데, '''1887년'''에 흥선대원군만주의 유거 생활에서 풀려나 귀국할 때 입고 온 후부터 한국에서도 입기 시작한 것이다. 원래 한복에는 잘 안 쓰던 알 형태의 단추를 사용하는 것도 그렇고,[1] 엄밀히 말하면 전통 한복은 아니라는 이유로 21세기 들어 배척되고 대신 배자를 널리 입게 되었다. 그러나 개화기에 들어서 비로소 유행한 것이지, 마고자 자체는 종래부터 있었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image]
한국화되는 과정에서 겉에 나와 있던 중국식 단추끈이 옷감 뒤로 숨겨져서 여미게 되면 단추밖에 안 보이게 된다.
주로 견직물로 만들며 따뜻하고 보기 좋아 남자들이 방한용으로 입었지만 나중에는 여자들도 입게 되었다. 남자의 경우, 저고리 위에 조끼를 입고 그 위에 덧입는 옷이므로 옷의 모양을 갖추기 위해서 입기도 한다.
참고로 마고자를 이나 니트 재질로 만들게 되면 기능은 물론 형태까지 가디건과 매우 유사하게 된다. 여기에 단추 재질도 적당히 바꿔 달아 입는다면, 와이셔츠를 비롯한 서양식 의복과 조합해도 어색하지 않다.

[1] 한복, 두정갑 항목에도 보이듯이 사용빈도가 낮았을 뿐 한복도 단추가 있었다. 하지만 한복의 단추는 끈을 둥글게 꼬아 만든 맺음단추나 원삼단추 등을 쓰는데 반해 마고자의 단추는 보석알을 단추로 쓰는 중국식 단추를 사용하는 것이 결정적인 차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