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동맥질환
Peripheral Vascular Disease (Chronic Arterial Insufficiency)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이 몸의 하지에 발생하여 생기는 질환으로 대부분 말초동맥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관상동맥질환(CAD)이나 당뇨등을 동반하게 된다. 가장 흔하게 표재성 대퇴동맥(superficial femoral artery)과 슬와동맥(popliteal artery)에서 발생된다고 한다. 사지 동맥혈류가 동맥경화로 인해 차단이 될 경우 산소와 영양공급이 되지 않아 사지의 조직에 경련이 일어나게 되고 심한경우 손상이 되어 썩어 들어가게 된다.
비슷한 자매품으로 말초동맥폐색이란 질환이 존재한다.
가장 먼저 사지의 산소부족으로 인해 다리에 쥐가 나는 증상을 겪게 되는데, 특히 걷거나 뛸때 다리에 경련이 나게 되면 말초동맥질환을 의심해볼수 있다. 이 경우 걸음을 멈추고 쉬게 될경우 증상이 없어진다. 하지만 동맥질환이 더욱 진행될 경우 주로 저녁에 가만히 있어도 발허리뼈(metatarsal) 밑으로 통증이 일어나게 된다. 또 다리털이 없어지게 되고 근육이 퇴화하며, 사지가 차갑고 다리 밑 맥박이 느껴지지 않기도 한다. 말초동맥질환의 끝판왕으로 궤양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주로 외상에 의해 발생된 상처가 낫지 않고 괴사하는 경우이다. 주로 이 궤양은 발가락 끝부분에서 보이며 점점 발 위쪽으로 퍼지게 되며 발가락이 괴저가 될수 있고 심한 냄새를 동반하게 된다.
말초동맥질환이 의심될 경우 먼저 발목상완지수(ankle-brachial-index)를 검사하는데 발목과 팔 혈압의 비율을 비교해 질병을 진단하게 된다. 정상일 경우 비율이 0.9-1.3 사이이나, 경련이 일어날 정도로 진행되었을 경우 0.7 밑으로 떨어지게 되고, 안정시 통증(rest pain)으로 진행되었을 경우 0.4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1] . 가장 정확한 진단을 위해 도플러 탐침이나 하지의 동맥조영술(arteriography)이 시술되기도 한다.
간헐적 파행증으로 인해 걷거나 운동시에만 증상이 나타날 경우 비수술적 관리를 통해 환자를 치료하게 된다. 먼저 금연과 운동이 필수로 요구되며, 그 외에도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의 투여가 권장된다. 또 실로브이정(cilostazol)이라는 혈관확장제/항혈소판제가 효과가 좋다고 한다.
만일 안정시 통증이나 궤양이 발견될 정도로 진행이 되었을 경우 혈관성형술(angioplasty), 죽종절제술(atherectomy), 동맥 우회술(bypass graft)을 통해 외과적 수술을 통해 치료하게 된다.
1. 개요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이 몸의 하지에 발생하여 생기는 질환으로 대부분 말초동맥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관상동맥질환(CAD)이나 당뇨등을 동반하게 된다. 가장 흔하게 표재성 대퇴동맥(superficial femoral artery)과 슬와동맥(popliteal artery)에서 발생된다고 한다. 사지 동맥혈류가 동맥경화로 인해 차단이 될 경우 산소와 영양공급이 되지 않아 사지의 조직에 경련이 일어나게 되고 심한경우 손상이 되어 썩어 들어가게 된다.
비슷한 자매품으로 말초동맥폐색이란 질환이 존재한다.
2. 증상 및 진단
가장 먼저 사지의 산소부족으로 인해 다리에 쥐가 나는 증상을 겪게 되는데, 특히 걷거나 뛸때 다리에 경련이 나게 되면 말초동맥질환을 의심해볼수 있다. 이 경우 걸음을 멈추고 쉬게 될경우 증상이 없어진다. 하지만 동맥질환이 더욱 진행될 경우 주로 저녁에 가만히 있어도 발허리뼈(metatarsal) 밑으로 통증이 일어나게 된다. 또 다리털이 없어지게 되고 근육이 퇴화하며, 사지가 차갑고 다리 밑 맥박이 느껴지지 않기도 한다. 말초동맥질환의 끝판왕으로 궤양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주로 외상에 의해 발생된 상처가 낫지 않고 괴사하는 경우이다. 주로 이 궤양은 발가락 끝부분에서 보이며 점점 발 위쪽으로 퍼지게 되며 발가락이 괴저가 될수 있고 심한 냄새를 동반하게 된다.
말초동맥질환이 의심될 경우 먼저 발목상완지수(ankle-brachial-index)를 검사하는데 발목과 팔 혈압의 비율을 비교해 질병을 진단하게 된다. 정상일 경우 비율이 0.9-1.3 사이이나, 경련이 일어날 정도로 진행되었을 경우 0.7 밑으로 떨어지게 되고, 안정시 통증(rest pain)으로 진행되었을 경우 0.4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1] . 가장 정확한 진단을 위해 도플러 탐침이나 하지의 동맥조영술(arteriography)이 시술되기도 한다.
3. 치료
간헐적 파행증으로 인해 걷거나 운동시에만 증상이 나타날 경우 비수술적 관리를 통해 환자를 치료하게 된다. 먼저 금연과 운동이 필수로 요구되며, 그 외에도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의 투여가 권장된다. 또 실로브이정(cilostazol)이라는 혈관확장제/항혈소판제가 효과가 좋다고 한다.
만일 안정시 통증이나 궤양이 발견될 정도로 진행이 되었을 경우 혈관성형술(angioplasty), 죽종절제술(atherectomy), 동맥 우회술(bypass graft)을 통해 외과적 수술을 통해 치료하게 된다.
[1] 발목혈압이 떨어질수록 비율이 줄어들게 되는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