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6년 정변
1. 개요
[image]
明治 六年 政変
1873년, 정한론에서 빚어진 메이지 시대 초기의 정변. 당시 정부 수뇌였던 참의의 반 이상과 군인, 관료 약 600명이 사퇴했다. 정한론이 발단이 되어, 정한론 정변(征韓論政変)이라고도 한다.
2. 배경
정변의 발단은 사이고 다카모리의 조선 사절 파견 문제였다. 왕정복고 후 전면개국을 시작한 일본은 조선에게 사절단을 몇 번 파견했다. 또한 당시의 조선에서는 흥선대원군이 정권을 장악, 유교의 부흥과 양이 정책을 국시로 채택했기 때문에 이를 이유로 일본과 단교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사이고의 사절 파견에 찬성한 참의(參議)는 이타가키 다이스케, 고토 쇼지로, 에토 신페이, 소에지마 다네오미, 오쿠마 시게노부 등이며 반대 측은 오쿠보 도시미치, 이와쿠라 도모미, 기도 다카요시, 이토 히로부미였다. 반대 이유 중 첫번째로 이와쿠라 사절단의 파견중에 중대한 국사 결정의 어떤 것도 하지 않는다는 맹약을 맺은 것이며, 두번째로 일본 국내가 급격한 개화로 혼란스럽고 구미 열강과의 불평등 조약 철폐, 사할린 문제 등 여러가지 문제가 산적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사절단이 귀국하기 이전인 8월 17일, 각의로 사이고를 대 조선 전권대사로 파견하기로 결정되었으나, 다음 날 이 안을 제출받은 메이지 덴노는 상기한 맹약을 바탕으로 이와쿠라 사절단이 귀국할 때까지 최종 결재를 연기, 1달 뒤인 9월 13일에 이와쿠라와 논의 끝에 다시 제출되었지만 최종적으로 각하한다.
3. 사건의 발생
4. 사건의 결과
사이고 다카모리 및 이타가키 다이스케, 고토 쇼지로, 에토 신페이 등은 사직서를 제출, 사이고 다카모리를 따르는 키리노 도시아키 포함 사쓰마 번 출신 군인들이 일제히 사직한다.
조선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채 이듬해 1874년 미야코 섬 조난 사건을 구실로 타이완 출병을 강행했다. 그리고 또 이듬해인 1875년에는 운요호 사건을 일으켜 조선과 강화도 조약을 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