뭇국

 



[image]
'''뭇국 '''
다른 명칭
소고기뭇국
1. 개요
2. 요리 방법
3. 호불호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가 재료로 들어가는 국의 일종이다. 조리 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교과 과목인 가정 시간에 실습으로 나오기도 한다.
주로 소고기나 바지락을 넣어서 끓인다. 저렴하면서도 양이 많은 무가 주재료이므로, 처리하기 곤란한 무를 빨리 소비하기에 좋은 음식이다. 양이 많아서 혼자 해 먹기는 어렵겠지만 최근에는 무를 3분의 1 크기 정도로 토막 내서 파는 곳도 있다.
'무꾹' 또는 '묻꾹'으로 발음하므로 사이시옷을 받쳐서 '''뭇국'''이라고 적는 것이 맞춤법에 맞지만 '무국'이라는 표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1]
서울에서는 소고기 뭇국이라고 하면 이 요리를 떠올린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소고기 뭇국을 끓일 때 고춧가루를 첨가해서 빨갛고 얼큰하게 끓이고는 여기에 콩나물을 넣어서 칼칼한 맛을 내기도 한다. 그래서 다른 지역에서는 소고기 뭇국이 맑은 국물이라고 하면 놀라는 경우도 많다. 대신 하얀 뭇국은 탕국으로 부른다. 예외적으로 경상도에서도 소고기 뭇국을 흰색으로 먹는 경우가 있다. 바로 차례를 지내는 명절이나 제사 때. 이유는 동지날 먹는 팥죽과 동일하다. 귀신이 빨간색을 싫어하므로 조상신께 드리는 밥상에 빨간 소고기 뭇국을 올릴 수 없기 때문. 차례나 제사가 끝나고 식사가 시작되면 어르신들이 칼칼하게 드신다고 고춧가루를 더하는 광경도 볼 수 있다.
또 강원도와 경북 북부에서는 소고기를 넣지 않고 무와 들깨 가루만 이용한 국을 끓이기도 하는데 이게 생각보다 맛있다. 밋밋한 맛이지만 시원하고 구수한 게 소고기로 끓일 때와는 다른 독특한 느낌이 든다.전라도식 무국은 쇠고기가 들어가지 않으며 무만 듬뿍 채썰어 넣는데, 덕분에 시원한 맛이 난다.

2. 요리 방법


만들기 어렵지 않기 때문에 가정에서도 쉽게 맛볼 수 있다. 무의 시원한 국물 맛과 소고기나 바지락의 감칠맛이 더해지며 맵거나 짜지 않아 특별히 입맛을 타는 요리는 아니다. 무는 가을이나 겨울이 제철이기 때문에 이 때 만들어 먹으면 더욱 맛있다. 무엇보다 시원한 소고기 뭇국에 고봉밥 하나 말아 국밥처럼 팍팍 퍼먹으면 그야말로 예술이다. 각종 야채, 밥, 고기 등 있을만한 영양소도 다 들어있지, 얼큰하니 술술 넘어가지, 귀찮을 때 한 끼 제대로 챙겨 먹기 더할 나위 없다.
  • 재료: 무(두 줌), 소고기(100~200g/ 양지 또는 국거리용), 참기름, 국간장, 다진마늘 1/2 숟가락, 후춧가루, 소금
  • 무는 깍두기 정도의 넓이로 두께는 1cm 미만으로 얇게 썰어둔다.
  • 냄비에 소고기와 참기름, 다진마늘을 넣어 살짝 볶다가 무를 투입해서 조금 더 볶아준다. 큼직한 양지고기를 준비했다면 찬물에 30분 이상 담가 핏물을 빼는게 좋다.
  • 파뿌리 + 건다시마 + 건새우 + 양파껍질로 육수를 내면 좋겠지만 이건 꽤나 시간도 걸리고 귀찮은 관계로 생략해도 된다. 어쨌든 볶아낸 재료에 육수나 물을 부어 끓인다. 육수가 없지만 더 깊은맛을 원한다면 시중에서 파는 조미료를 사용해도 좋다. 이 때 물(육수)의 양은 재료의 2배 정도가 좋다.
  • 끓으면 국간장(위 재료 기준으로 2숟갈 정도가 적당하지만 맛을 보며 조절하자)과 소금으로 간을 하고 후추와 대파를 넣으면 끌. 입맛에 따라 표고버섯(말린 것이면 더욱 좋다)을 넣어 깊은 맛을 내거나, 고춧가루를 넣어 더욱 매콤한 맛을 즐겨도 좋다.
참고로 소고기와 뭇국을 오래 끓이면 더욱 진하고 시원한 국물 맛을 느낄 수 있다. 대신 무가 뭉개지기 때문에 모양은 별로다. 이 레시피에서 소고기를 빼고 마지막에 들깨 가루를 뿌려주면 경상도나 강원도식 뭇국이 된다. 전라도식 무국은 쇠고기가 들어가지 않으며 무를 채썰어 넣는데, 다소 어두운 색이며 무가 듬뿍 들어가 시원한 맛이 강하다.

3. 호불호


익힌 무의 호불호가 굉장히 갈리기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들은 정말 싫어한다. 특히 아이들이 이 끓인 무를 싫어해서, 학교 급식에서 뭇국 계열이 나오면 학생들이 잔반을 비울 때 국 칸에 무만 잔뜩 남아 있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2]
아무튼 무국을 싫어하는 학생들도 나이를 조금씩 먹어가면서 무국을 선호하게 되는 경우도 잦다. 삼겹살 구이의 선호 부위와 더불어 나이를 먹게 되는걸 진득하게 알 수 있는 음식.

4. 관련 문서


[1] (무꾹·묻꾹)으로 뒷음절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발음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것이 맞다[2] 싫어하는 사람들은 익힌 무의 설컹거리는 식감을 싫어하는 경우가 많다. 이게 또 세밀하게 갈려서 일반적으로 뭇국에 들어간 작게 썬 무는 잘 먹는 반면 조림에 들어간 크게 썬 무는 기겁하는 사람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