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Республика Северная Осетия — Алания'''[러시아어] '''PRespublika Severnaya Osetiya — Alaniya'''
|
[image]
| [image]
|
'''국기'''
| '''국장'''
|
|
'''행정'''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ff0><colcolor=#000> '''국가'''
|
| '''주도'''
| 블라디캅카스
| '''시간대'''
| UTC+3
|
|
'''인문 환경'''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ff0><colcolor=#000> '''인구'''
| 696,837명(2020년)
| '''인구 밀도'''
| 87.3명/km²
| '''면적'''
| 7,987km²
|
|
'''정치'''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ff0><colcolor=#000> '''수반'''
| 뱌체슬라프 비타로프[1] Вячеслав Битаров(Vyacheslav Bitarov)
| '''지방의회'''
|
| '''46석 / 70석'''
|
| '''19석 / 70석'''
|
| '''5석 / 70석'''
|
|
<colbgcolor=#ff0><colcolor=#000> '''ISO 3166-2'''
| '''RU-SE'''
|
'''공식 사이트'''
| 홈페이지
|
[image]1. 개요
'''【언어별 명칭】'''
|
- [ 펼치기 · 접기 ]
오세트어
| Республикӕ Цӕгат Ирыстон — Алани 레스푸블리카 사가트 이러슈톤-알라니
| 러시아어
| Респу́блика Се́верная Осе́тия — Ала́ния 레스푸블리카 세베르나야 오세티야-알라니야[2] 알라니야는 중세 알란족의 왕국 이름으로, 소련 붕괴 이후 민족주의가 고조되면서 인기있는 이름이 되었고 1994년 국호에 추가되었다.
| 인구시어
| ГӀинбухера ХӀирийче 긴부헤라 히리체
| 카바르다어
| Республикэ Ищхъэрэ Ӏэсетиэ 레스푸블리카 이시하라 아세티아
| 발카르어
| Шимал Тегей — Алания Республика 시말 테게이-알라니야 레스푸블리카
|
|
러시아 연방 북캅카스 연방관구의
자치공화국이다. 동쪽으로
인구셰티야, 서쪽으로
카바르디노-발카리야, 남쪽으로는
조지아 /
남오세티야, 북쪽으로
스타브로폴 지방과 접하고 있다.
수도는
블라디캅카스(Владикавказ, Vladikavkaz)이다.
소련 치하에서
1936년 12월 5일에 수립된 북오세티야 ASSR를
1991년 소련 해체 이후인
1993년 11월 9일에 계승했다.
국토 면적은 7,987㎢, 인구는 69만 명(2021)이다. 2010년 통계에 따르면
오세트인이 65%, 러시아인이 20%를 차지한다. 오세트인은 12세기 이후
조지아의 영향을 받아
정교회를 믿지만 북오세티야에는 무슬림도 소수 존재한다. 인구는 감소세에 있다.
국명에서 알 수 있듯이 남오세티야도 있는데 남오세티야는 러시아 연방의 영토가 아니라
조지아에 속한다.
남오세티야 전쟁 종전 이후 조지아로부터 사실상 독립했지만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하는
미승인국 상태이다.
2. 치안
과거 분쟁지역이었던 체첸과 가깝기 때문에 불똥이 튀어 덩달아 치안 상태가 좋지 못했다. 체첸이 안정화된 2020년대에는 많이 나아졌다.
3. 사건사고
2004년에
베슬란 학교 인질사건이 발생하였다.
4. 대외관계
북오세티야 지역이 19세기에 러시아 제국에 의해 정복당한 이후, 우호적이다.
5. 기타
좌익 군소정당
러시아의 애국자들의 최대 지지기반이었고 의석도 12석으로
정의 러시아당보다 많았다.